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막판에 티켓 줄어지는 거 보고 있자니 기분이 묘하더군요 ^_^

(교주님의 낚시에 걸려서) 현재 Textcube -관리자 화면중 플러그인 아이콘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플러그인 마다 각자의 아이콘이 있다는 얘기죠 ^_^ )

문제는... 플러그인의 성격을 아이콘으로 형상화하는데 있어서 자꾸 제 머리의 한계에 부딪혀서...
여러분들의 생각을 들어보면..일이 좀 쉽게 풀리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이렇게 SOS를 칩니다.

1. 블로그API(metaweblogAPI)를 사용해서 글을 쓸 수 있게 해주는 플러그인 : BlogAPI
2. 다른 태터툴즈에 블로그 아이콘을 사용하는 경우 댓글에 표시해주는 blogIcon
3. 날짜 표시 형식을 변경해주는 DateConverter
4. 댓글에 이모티콘 ( : )이나 : D 등을 쓰면 그림으로 바꿔줍니다)을 적용해주는 EmoticonOnComment

5. 텍스트큐브 기본 위지윅 에디터 FM_Modern
6. 텍스트큐브 기본 문법 해석기 FM_TTML
7. 키워드 기능을 사용하게 해주는 KeywordUI

8. 관리자 화면에서 리퍼러 목록을 볼 수 있게 해주는 PN_Referer
9. 관리자 화면에서 RSS를 누가 구독하는지 볼 수 있게 해주는 PN_Subscription
10. 관리자 화면에서 방문자 통계를 보여주는 PN_Visitor

11. 사이드바에 배너를 달 수 있게 해주는 SB_Banner
12. 사이드바에 코드를 넣을 수 있게 해주는 SB_Replacer
13. 사이드바에 빈칸을 넣어주는 SB_Spacer

어떤 이야기라도 좋으니.. 수다 부탁 드려요~
(예: 3번- 달력 두개를 날짜 표시 형식을 틀리게 두 개 만들고 두 달력 사이에 화살표를 두는 건? )

안녕하세요? funny4u입니다~

그동안 계속해서 이런저런 아이콘을 만들고 있는 중에 문득 텍스트큐브가 떠올라서 들어와 봤는데...
(한참만에 들렀더니..개념 잡는 것 조차 어렵군요 cool)
정식 로고는 차후에 공개된다는 이야기만 간신히 볼 수 있었습니다.

따로 로고 작업을 하고 계시는 분이 있나요?

1.혹시 없다면...저도 시안 좀 만들어 볼까요?
2. 이미 정식 로고가 완성됐다면..제가 아이콘으로 컨버전 좀 해 볼 수 있도록 자료 공유를 요청해도 될까요?

1&1 호스팅 사양을 보니.. 고사양(Bussiness이상)에서만 SSH를 지원하네요.
아무래도 1&1에서 태터 설치는 요원한 것 처럼 보이는군요 ^_^;;

(gendoh님, 설명 고맙습니다 - 뒷부분의 고급 설정은 저한테 거의 외계어로 보이네요 ^_^ )

inureyes 작성:

루트의 경우 설치하는 순간만 777이면 됩니다. (config.php를 생성해야 하니까요)

이후에는 cache, attach, skin/customize만 777이면 됩니다. smile

그냥 저 혼자만의 문제라면 이해가 안되더라도 넘어가겠는데...
(바쁘신 inureyes님을 자꾸 귀찮게 해서 정말 죄송합니다)

디렉토리 권한을 755까지 정할 수 있고, 777은 안 되던데요, 어떻게 777로 설정을 해야 하는 건지...???
(참고로 저는 권한설정을 FileZilla를 통해서나 바꿀 수 있고, CHMOD 거시기 하는 건 눈동냥 정도만 해 본 수준입니다)

* 어떤 결과를 얻든 간에 오늘 배운 걸 블로그 포스팅을 통해 저와 비슷한 분들과 정보를 나눠야 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inureyes 작성:

쓰기가 필요한 디렉토리의 경우 사용자가 아니라 아파치 서버가 권한을 가지도록 셋팅되기 때문에 755라도 앞의 7 권한을 아파치 서버도 가지므로 동작합니다.
국내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많기 때문에 일단은 777로 주고 이후에 수정합니다. 777로 주고 설치 후 쓰기가 필요한 디렉토리의 권한을 아파치에게도 주면 태터툴즈도 디렉토리의 권한이 777이 아니라도 상관은 없습니다.^^

디렉토리 권한이 755라도 태터툴즈를 설치하고 계속 사용하는 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말씀이지요?

yikes교주님 답변 요망~~

위에 laziel님과 교주님의 설명을 들으니 777이라는 권한은 너무 당연한 거 같은데요,
국내에서는 너무나 당연한 이 조건이 왜 해외 호스팅 업체에서는 받아 들여지고 있지 않은지 혹시 아십니까?

예전에 호스팅 업체 측(1and1.com)에 질문을 한 적이 있는데, 보안 상의 이유로 그렇다고 하더군요(755까지는 된다더군요)
전 속으로...'그러면 국내 호스팅 업체들이 777을 허용하는 건, 그 보안 문제라는 걸 해결했기 때문인가, 몰라서인가?'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도대체 이 쪽으로는 지식이 전무한 저에게는 너무나 어려운 질문입니다.
(위의 두 분의 답변을 듣고 나니까 더 이상하네요 ^_^;; )

질문을 바꿔보자면...
용량 넉넉하고 트래픽 빠방하면서 가격도 저렴한 외국 호스팅 업체중에서(1and1.com 정도만 되도 충분한데..^_^ )
태터툴즈 설치가 가능한 곳 아시는 분 계십니까?
(국내 업체중에서 외국 신용 카드가 사용 가능한 곳도 괜찮습니다)

제 기억이 잘못 된건가 해서(Wp깔아 본 지 한참 됐거든요), 다시 WP를 구해서 제가 호스팅 받는 계정에 깔아 봤습니다.
티즈님이 링크 걸어 주신 WP의 공식 설치 방법에 나온 이야기와는 다르게
폴더의 권한과는 무관하게 아무 이상없이 설치가 되더군요 roll

그럼, 다시 제가 궁금해 하는 문제로 돌아가도 되겠지요?
왜 국내 웹어플들은 폴더권한 707/777 등을 요구하나요?

티즈 작성:

만우절 장난이셨다면 할 말이 없지만요.. -_-;;

설마요, 이런 거 가지고... lol

예전부터 질문하고 싶었던 글인데 오늘에야 물어 봅니다.
국내 프로그램을 통틀어 다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제가 주로 쓰는 것들인 태터툴즈, 제로보드, 그누보드만 해도
국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꽤 높은 거로 알고 있는데
이 프로그램들 모두 웹서버에 설치할 때 폴더 권한을 707이나 777로 바꿔야 하더군요.
그런데 비교가 되는 게 외국의 유명한(?) 프로그램인 WP나 기타 BB프로그램들은
그런 설정이 필요없이 설치가 된다는 거.

이게 (한)국내용으로만 쓰일 때는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저처럼 외국에 있는 사람이나 국내에 있으면서 외국의 호스팅을 사용하려는 사람들에게는 커다란 제약이 되는군요.
(외국의 대부분의 호스팅 업체들은 폴더 권한을 707이나 777로 바꾸는 걸 허용하지 않습니다
-절대적인 건 아닌 거 같은데..일단 제가 알아본 바로는 그렇습니다)

그누보드나 제로보드 까지는 그렇다 치더라도
언어설정에서 다양한 외국어까지 지원하(려)는 태터 같은 경우에는
분명히 글로벌화 까지 감안하고 있는 것 같은데...

뭔가 국내-외를 구분하는 배경/시스템/정서가 틀려서 그런건지..
아니면 제가 모르는 다른 해결책이 있는건지..
저 같은 문제로 고민하시는 분들은 종종 봐 왔는데,
각 개인이 알아서 설치가 되는 호스팅을 찾아 봐라..라는 식의 결론 밖에는 안 나더군요.

이에 대한 이유나 해결 방법을 아시는 분이 있으면 의견을 좀 듣고 싶습니다.

Louice P. 작성:

<!-- 그리고 오늘은 만우절입니다, 설마 잊진 않으셨겠지요 smile -->

뻥..이신 겁니까? 그렇다면..허무 합니다~!

제목을 바꿔야 겠네요. 이올린 아이콘도 만들었습니다 ^^
http://cfs1.tistory.com/upload_control/download.blog?fhandle=YmxvZzM5MTE2QGZzMS50aXN0b3J5LmNvbTovYXR0YWNoLzAvMzIuanBn

laziel 작성:

내친김에 이올린도 좀[...?!]

이올린 아이콘도 좋긴 한데요, 이올린은 제대로 된 로고가 없는 거 아닌가요?
(이곳은 결자해지가 대세던데..왠지 불안하네요 neutral )

얼마 전에 새롭게 시작한 블로그 인데요, 아이콘 워크샵을 구한(?) 기념으로 티스토리 아이콘을 만들어 봤다가
호응이 좋길래 태터툴즈 아이콘도 만들어 봤습니다.
구경 한 번 오세요 cool
http://design.funny4u.com/

14

(4 답글들, 공지사항에 작성)

이벤트 진행에 좀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공지페이지는 안 열리기가 일쑤고, 어제 열렸을 때 봤더니 마감 날짜가 9월 10일로 바뀌어 있더군요(꽃밭 블로그의 날짜는 여전히 9월 3일 이구요)
+ 매일 업데이트 된다는 "팁"에 대한 이야기도 전혀 추가가 안되고 있고, 기타 설명도 준비중이라는 죽은 링크만 있으니...

처음 이벤트를 기획했던 목적대로 마무리가 되려면 좀 더 진행이 매끄러워야 할 것 같습니다.

funny4u 작성:

저도 한 번 다른 거로 테스트를 해 볼까 합니다.

저도 테스트 해보고 나름대로(?!) 리뷰해 봤습니다.
아래 주소 참고하시고..블로그 방문차 인사도 남겨 주시면 감사~~~~

http://gui.funny4u.com/entry/다음-동영상과-엠엔캐스트의-화질-비교

예전에 어디선가 유투브와 다음의 동영상을 비교한 글을 봤습니다만
화질은 다음이 좋았고, 사운드는 유투브가 좋더라구요.

그런데 빌리디안님, 똑같은 동영상이라고 했는데 동영상 싸이즈가 어떻게 되나요?
다음은 400x300을 꽉 채우는데, 엠엔캐스트에서는 화면보다 작은 동영상이 보이네요...

저도 한 번 다른 거로 테스트를 해 볼까 합니다.

inureyes 작성:

몇백메가 단위로 xml 백업 리스토어가 한꺼번에 몰려서 일어나고 있으니 당연히 느려집니다 하하 smile

초대권의 소진과 함께 점점 빨라질거에요^^

몇 백 메가 단위로 옮길 xml 데이타가 있으신 분들이 부럽고 존경스러울 따름입니다. yikes

LonnieNa 작성:

분명.. 저처럼.. 등급확인하러 리플다는 분이 계실듯.. -_-;;
어디보자..

제가 LonnieNa님의 낚시에 걸렸습니다. cool
살짝이군요 roll

(사실 전에 구걸해서 받은 티스토리도 제대로 운영 못하면서(도메인 문제떄문에 버티고 있었다는 변명:lol:),
또 하나 구걸해볼까하고 돌아다니는 살짝(?) 욕심쟁이 입니다)

저도 Rukxer님 글 1,2,3 모두에 동갑합니다.
베타라는 딱지 빨리 풀고 좀 더 멋진 모습으로 나타나는 티스토리가 등장하기를 기대합니다.

시간을 바꿔가면서 테스트 해봤는데, 아무래도 제가 미국에 있는 것(=컴 셋팅이 미국 서부 시간대)과 상관이 있는 것 같습니다. 한국의 시간을 고려해서 예약을 해도 어김없이 +16시간이 붙네요.
그렇다는 건 관리자 환경에서 시간대 설정과 안 맞아 떨어지는 거..아닌가요?

chester 작성:

저도 한달동안 못본 아들녀석 얼굴 보러 지방에 좀 가야 될듯 합니다.

저도 비슷한 또래의 아이가 있는 아빠로써 Chester님의 그 열정이 심히 걱정되곤 합니다.
정말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은 아이를 못보고 계속 태터에만 매달려 계시니...

(제가 지난 2주동안 본의 아니게 불량주부 노릇을 했거든요.
확실히 아이는 같이 있는 시간에 비례해서 사랑의 수위가 틀려지더군요)

얼마나 계실지... 지방 가시면 컴은 저만치 두고 아드님이랑 많이많이 놀아 주세요~

제가 원래 예약 포스팅을 애용하는 편이 아니라 버전에 따른 차이인지 어쩐지 모르겠습니다만,
느낌상으로 1.05로 넘어오면서 좀 이상해진 거 같습니다.

글 다 쓴 후에 시간을 정하고 저장 버튼을 눌러서 글쓰기 모드 빠져 나오고...
글 목록에서 선택해서 다시 들어가 보면 엉뚱한 시간으로 바뀌어져 있네요.

혹시나해서 티스토리 계정 얻자마자 테스트 해 봤더니 마찬가지네요.

제가 뭔가 잘못한 게 있는게 아닌가 좀 조심스럽긴 합니다만...
다른 분들은 이런 문제가 없으십니까?:|

저도 티스토리의 가장 큰 매력은 무료+개인 도메인 연결 기능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이제 베타 테스트 기간이니까 이것저것 체크하면서 보완해 나갈거라고 생각하며 느긋하게 기다리고 있습니다

Chester님이 티스토리 요청 창구를 여신 꼴이 됐네요 cool

뻔뻔하지만..저도 한 번 구걸을 해 보렵니다 ^^;
누구 좀 주세요~~~~~~~~~~~~~~~~~

수정) 서너군데 돌아다니면서 구걸했더니 어디선가 초대장이 날라왔습니다.:l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