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제: 왜 국내 웹어플들은 폴더권한 707/777을 요구하나요?

예전부터 질문하고 싶었던 글인데 오늘에야 물어 봅니다.
국내 프로그램을 통틀어 다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제가 주로 쓰는 것들인 태터툴즈, 제로보드, 그누보드만 해도
국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꽤 높은 거로 알고 있는데
이 프로그램들 모두 웹서버에 설치할 때 폴더 권한을 707이나 777로 바꿔야 하더군요.
그런데 비교가 되는 게 외국의 유명한(?) 프로그램인 WP나 기타 BB프로그램들은
그런 설정이 필요없이 설치가 된다는 거.

이게 (한)국내용으로만 쓰일 때는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저처럼 외국에 있는 사람이나 국내에 있으면서 외국의 호스팅을 사용하려는 사람들에게는 커다란 제약이 되는군요.
(외국의 대부분의 호스팅 업체들은 폴더 권한을 707이나 777로 바꾸는 걸 허용하지 않습니다
-절대적인 건 아닌 거 같은데..일단 제가 알아본 바로는 그렇습니다)

그누보드나 제로보드 까지는 그렇다 치더라도
언어설정에서 다양한 외국어까지 지원하(려)는 태터 같은 경우에는
분명히 글로벌화 까지 감안하고 있는 것 같은데...

뭔가 국내-외를 구분하는 배경/시스템/정서가 틀려서 그런건지..
아니면 제가 모르는 다른 해결책이 있는건지..
저 같은 문제로 고민하시는 분들은 종종 봐 왔는데,
각 개인이 알아서 설치가 되는 호스팅을 찾아 봐라..라는 식의 결론 밖에는 안 나더군요.

이에 대한 이유나 해결 방법을 아시는 분이 있으면 의견을 좀 듣고 싶습니다.

funny4u (2007-04-01 05:29:06)에 의해 마지막으로 수정

2

답글: 왜 국내 웹어플들은 폴더권한 707/777을 요구하나요?

제 기억이 잘못 된건가 해서(Wp깔아 본 지 한참 됐거든요), 다시 WP를 구해서 제가 호스팅 받는 계정에 깔아 봤습니다.
티즈님이 링크 걸어 주신 WP의 공식 설치 방법에 나온 이야기와는 다르게
폴더의 권한과는 무관하게 아무 이상없이 설치가 되더군요 roll

그럼, 다시 제가 궁금해 하는 문제로 돌아가도 되겠지요?
왜 국내 웹어플들은 폴더권한 707/777 등을 요구하나요?

티즈 작성:

만우절 장난이셨다면 할 말이 없지만요.. -_-;;

설마요, 이런 거 가지고... lol

3

답글: 왜 국내 웹어플들은 폴더권한 707/777을 요구하나요?

설치과정에서 문제없이 되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모든 환경에서 파일업로드가 가능하진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707/777 을 요구하는 것은 첨부파일등의 업로드를 위해서는 폴더에 쓰기 권한이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웹서버 설정이나 서버 환경에 의해 딱히 707/777이 아니더라도 가능한 상황이 있을 수 있겠지만 국내 호스팅 환경의 대부분은 이러한 설정이 필요합니다a

확실히 말씀하신 것 처럼, 불편한 부분이 많아 개선할 방법을 찾아보긴 해야 할 것 같습니다만 딱 떠오르진 않네요 smile

4

답글: 왜 국내 웹어플들은 폴더권한 707/777을 요구하나요?

설치시에 환경설정 파일 및 첨부파일 디렉토리, 캐시 디렉토리를 생성해야 하므로 루트가 777이기를 요구합니다. 초기 설치시에 환경 설정을 위해서 777을 요구하지 않는 웹 어플리케이션이 가능할까요? 지금 여기 punBB도 설치시에는 config.php가 만들어지는 디렉토리는 777이어야 하고, 첨부파일 디렉토리도 777이어야 합니다.

설치 이후에는 캐시 및 첨부파일, 스킨 디렉토리의 customize 디렉토리를 제외하고는 777일 필요는 없습니다. smile

"Everything looks different on the other side."

-Ian Malcomm, from Michael Crichton's 'The Jurassic Park'

5

답글: 왜 국내 웹어플들은 폴더권한 707/777을 요구하나요?

위에 laziel님과 교주님의 설명을 들으니 777이라는 권한은 너무 당연한 거 같은데요,
국내에서는 너무나 당연한 이 조건이 왜 해외 호스팅 업체에서는 받아 들여지고 있지 않은지 혹시 아십니까?

예전에 호스팅 업체 측(1and1.com)에 질문을 한 적이 있는데, 보안 상의 이유로 그렇다고 하더군요(755까지는 된다더군요)
전 속으로...'그러면 국내 호스팅 업체들이 777을 허용하는 건, 그 보안 문제라는 걸 해결했기 때문인가, 몰라서인가?'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도대체 이 쪽으로는 지식이 전무한 저에게는 너무나 어려운 질문입니다.
(위의 두 분의 답변을 듣고 나니까 더 이상하네요 ^_^;; )

질문을 바꿔보자면...
용량 넉넉하고 트래픽 빠방하면서 가격도 저렴한 외국 호스팅 업체중에서(1and1.com 정도만 되도 충분한데..^_^ )
태터툴즈 설치가 가능한 곳 아시는 분 계십니까?
(국내 업체중에서 외국 신용 카드가 사용 가능한 곳도 괜찮습니다)

6

답글: 왜 국내 웹어플들은 폴더권한 707/777을 요구하나요?

funny4u 작성:

위에 laziel님과 교주님의 설명을 들으니 777이라는 권한은 너무 당연한 거 같은데요,
국내에서는 너무나 당연한 이 조건이 왜 해외 호스팅 업체에서는 받아 들여지고 있지 않은지 혹시 아십니까?

예전에 호스팅 업체 측(1and1.com)에 질문을 한 적이 있는데, 보안 상의 이유로 그렇다고 하더군요(755까지는 된다더군요)
전 속으로...'그러면 국내 호스팅 업체들이 777을 허용하는 건, 그 보안 문제라는 걸 해결했기 때문인가, 몰라서인가?'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도대체 이 쪽으로는 지식이 전무한 저에게는 너무나 어려운 질문입니다.
(위의 두 분의 답변을 듣고 나니까 더 이상하네요 ^_^;; )

질문을 바꿔보자면...
용량 넉넉하고 트래픽 빠방하면서 가격도 저렴한 외국 호스팅 업체중에서(1and1.com 정도만 되도 충분한데..^_^ )
태터툴즈 설치가 가능한 곳 아시는 분 계십니까?
(국내 업체중에서 외국 신용 카드가 사용 가능한 곳도 괜찮습니다)

경험상 외국 업체들은 아파치 서버한테 쓰기 권한을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쓰기가 필요한 디렉토리의 경우 사용자가 아니라 아파치 서버가 권한을 가지도록 셋팅되기 때문에 755라도 앞의 7 권한을 아파치 서버도 가지므로 동작합니다.

국내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많기 때문에 일단은 777로 주고 이후에 수정합니다. 777로 주고 설치 후 쓰기가 필요한 디렉토리의 권한을 아파치에게도 주면 태터툴즈도 디렉토리의 권한이 777이 아니라도 상관은 없습니다.^^ 어느쪽이 잘못 되었다는 것보다는, 정책적 차이가 있는 것이지요. 웹서버 후킹과 권한 획득 후 파일 접근 중 어느쪽의 보안 위험을 더 크게 보느냐에 대한 인식의 차이인 것 같습니다.

"Everything looks different on the other side."

-Ian Malcomm, from Michael Crichton's 'The Jurassic Park'

7

답글: 왜 국내 웹어플들은 폴더권한 707/777을 요구하나요?

inureyes 작성:

쓰기가 필요한 디렉토리의 경우 사용자가 아니라 아파치 서버가 권한을 가지도록 셋팅되기 때문에 755라도 앞의 7 권한을 아파치 서버도 가지므로 동작합니다.
국내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많기 때문에 일단은 777로 주고 이후에 수정합니다. 777로 주고 설치 후 쓰기가 필요한 디렉토리의 권한을 아파치에게도 주면 태터툴즈도 디렉토리의 권한이 777이 아니라도 상관은 없습니다.^^

디렉토리 권한이 755라도 태터툴즈를 설치하고 계속 사용하는 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말씀이지요?

yikes교주님 답변 요망~~

8

답글: 왜 국내 웹어플들은 폴더권한 707/777을 요구하나요?

루트의 경우 설치하는 순간만 777이면 됩니다. (config.php를 생성해야 하니까요)

이후에는 cache, attach, skin/customize만 777이면 됩니다. smile

"Everything looks different on the other side."

-Ian Malcomm, from Michael Crichton's 'The Jurassic Park'

9

답글: 왜 국내 웹어플들은 폴더권한 707/777을 요구하나요?

inureyes 작성:

루트의 경우 설치하는 순간만 777이면 됩니다. (config.php를 생성해야 하니까요)

이후에는 cache, attach, skin/customize만 777이면 됩니다. smile

그냥 저 혼자만의 문제라면 이해가 안되더라도 넘어가겠는데...
(바쁘신 inureyes님을 자꾸 귀찮게 해서 정말 죄송합니다)

디렉토리 권한을 755까지 정할 수 있고, 777은 안 되던데요, 어떻게 777로 설정을 해야 하는 건지...???
(참고로 저는 권한설정을 FileZilla를 통해서나 바꿀 수 있고, CHMOD 거시기 하는 건 눈동냥 정도만 해 본 수준입니다)

* 어떤 결과를 얻든 간에 오늘 배운 걸 블로그 포스팅을 통해 저와 비슷한 분들과 정보를 나눠야 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10

답글: 왜 국내 웹어플들은 폴더권한 707/777을 요구하나요?

쉘(이름하여 telnet이나 ssh로 접근)에서 수정하셔야 할것입니다. FTP는 보안 설정에 따라 777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태터가 설치된 폴더에서 "chmod 777 . skin attach"를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최초 설치시에 루트와 skin/customize, attach 폴더가 777이거나 Apache 서비스 계정에게 권한이 있어야 합니다. 보통 setup.php에서 어디어디 권한 없음 이라고 하는 부분들을 풀어주는게 일반인에게는 편합니다.

사실 config.php를 직접 작성할 수 있다면 "skin/customize"와 "attach"폴더만 777이면 되고 루트 권한이 있다면 해당 폴더를 755로 만든 후 apache에게 권한을 넘겨주는 고급 설정법도 있습니다.

11

답글: 왜 국내 웹어플들은 폴더권한 707/777을 요구하나요?

1&1 호스팅 사양을 보니.. 고사양(Bussiness이상)에서만 SSH를 지원하네요.
아무래도 1&1에서 태터 설치는 요원한 것 처럼 보이는군요 ^_^;;

(gendoh님, 설명 고맙습니다 - 뒷부분의 고급 설정은 저한테 거의 외계어로 보이네요 ^_^ )

12

답글: 왜 국내 웹어플들은 폴더권한 707/777을 요구하나요?

funny4u 작성:

(gendoh님, 설명 고맙습니다 - 뒷부분의 고급 설정은 저한테 거의 외계어로 보이네요 ^_^ )

메뉴얼 쓸때 항상 고민되는 부분이죠. 매우 자세하게 쓰면 쓸수록 사용자들은 점점 외계어로 보이게 되는;;;;
사실 그런 이유로 태터 setup에서는 대충 대충 퍼미션을 제시해 주고 있습니다.(물론 그래도 어렵지만 -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