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제: 국제화 : 외국어 지원과 과제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일본어 로케일을 담당하는 Louice P., 루이체입니다. 이번 화제를 올리면서 제가 맡는 파트가 일본어이다 보니 예를 들 때 일본어를 기준으로 한 예시가 꽤 있을 겁니다. 글 자체가 별로 문장력도 없고, 설득력도 없고, 뜬금없으며 개념도 없는(??) 사람이 쓴 글이지만 잘 읽어주신다면 고맙겠습니다.


○현재 태터툴즈의 언어 지원 상태
현재 태터툴즈에서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언어는 4가지입니다. 한국어와 영어, 일본어와 중국어의 네가지가 있으며 아직 패키지에 들어가지는 않았지만 독일어도 부분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렇게만 놓고 보면 태터툴즈도 전 세계 주요 언어 중 프랑스어와 스페인어, 러시아어를 제외한 많은 언어를 지원하고 있다고 봐도 될 듯 싶습니다. 지원하는 언어가 많다는 것은 그만큼 쉬운 접근이 가능하다는 얘기가 되니까요. 하지만, 그것이 전부일까요?

○태터툴즈 언어 지원의 현실
앞서 말하였지만 태터툴즈가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언어는 한국어를 제외하면 3개입니다. 이 중에서 사용자지원, 스킨 및 플러그인과 매뉴얼 등 태터툴즈 한국어판에 버금가는 유저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곳은 오직 태터툴즈 차이나(http://www.tattertools.cn/) 뿐입니다. 이전의 각종 인터넷 언론에 뜬 기사로는 태터툴즈의 국제화가 구상 중이라고 기억합니다만, 현재 태터툴즈의 한국어 매뉴얼이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은 상태이다보니 국제화 파트에서는 어떻게 아직 손을 쓸 수가 없습니다. 또한, 로컬라이징에 현지인의 참여가 역시 중국을 제외하면 적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이것은 인지도의 문제일 수도 있겠습니다만, 인지도가 어떻든간에 로컬라이징에 현지인이 없다는 것은 생각해보면 치명적입니다. 이번 MT에서도 쿨엔지니어님께서 제게 말씀하신 것 중 하나가, 현재 태터툴즈의 로컬라이징이 한국인이 외국어로 바꾸기는 쉬우나, 각 언어에 해당하는 현지인이 참여가 힘든 구조라고 하였습니다. 이것은 원산지가 한국이다보니 어쩔 수 없지만 태터툴즈의 기본 언어가 한국어인 것도 한 몫 한다고 생각합니다.

저와 徐하늘님이 같이 작업하던 일본어의 예를 들면, 주 작업 인원이 한국인이다보니 초기 로케일에 일본에서 사용하지 않는 표현과 문법적인 오류가 상당히 발견되어 김성철님과 사토님, 스기모토님께서 지적을 해 주셨고 거기에 noctiluca님께서 MS Word 파일로 20페이지에 달하는 문서로서 일일히 체크해 주셔서 일본어 로케일의 완성도가 많이 높아졌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일본어 로케일에 대해서만큼은 주도적으로 나가고 싶지만, 아무래도 일본어가 모국어가 아니다보니 앞으로 새로 생기는 기능에 대해서 번역할 때도 현지에서 사용하지 않는 표현이나 문법적인 오류가 숨어있을 수 있습니다. 한 나라의 말은 그 나라 사람이 가장 잘 하는 법입니다. 제가 기억하기로는 중국어 로케일의 경우는 상당히 완성도가 높다고 알고 있습니다. 영어나 독일어 로케일에 있어서도 잘은 모르겠지만, 현지인이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비단 이것은 로케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태터툴즈가 국제화를 생각하고 있다면 반드시 필요한 것입니다.

○성공적인 국제화를 위해서는
제목이 거창하지만 사실 별 거 없습니다. 절대적으로 필요한 현지인과 현재 한국어를 모르면 국제화가 불가능한 구조가 문제가 됩니다. 한국어를 모르면 국제화가 불가능한 구조의 해결을 위해서는 한국어와 현지어를 전부 구사할 수 있는 현지인 내지는 현지 한국인이 필요합니다. 혹은 아예 태터툴즈의 국제판은 영어를 베이스로 만드는 방법도 있습니다. 하지만 사실상 후자는 개발팀의 부담을 가중시킬 거 같고, 태터툴즈의 로케일 구조 자체가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당장 실행하기에는 현실성이 없다고 판단됩니다.)

또한, 로케일만큼 중요한 것은 매뉴얼과 사용자 지원입니다. 잠시 아래의 문서를 참조하여 주십시오.

日本でのテト・ツールズの位置
1.0以降のUTF-8の対応により日本語の利用は可能となったが、2006年現在、日本では他のブログ・ツール(Wordpress、MovableTypeなど)と比べ、ユーザー数も少なく、認知度も低い。これは韓国や中国圏での活発なユーザー活動や、高いダウンロード数、高い認知度とは対照的である。理由の一つとして、日本語のドキュメントが公式サイトも含めて少ない点がある。しかし、TnC は日本への進出を構想しており、状況の変化も予想される。

일본에서의 태터툴즈의 위치
1.0 이후 UTF-8 지원을 시작하면서 일본어의 이용이 가능해졌지만, 2006년 현재, 일본에서 사용되는 여타 설치형 블로그(워드프레스, 무버블타입 등)에 비교하면, 유저 수도 적고 인지도도 낮다. 이것은 한국과 중국에서의 활발한 유저 활동과 많은 다운로드 수치, 높은 인지도와는 대조적이다. 이러한 이유의 하나로 일본어로 된 기술문서(내지는 매뉴얼)가 태터툴즈 오피셜 사이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점을 들 수 있겠다. 그러나 TnC는 일본으로의 진출을 구상하고 있고 이에 따른 변화도 예상된다.

(출처 : Wikipedia Japan http://ja.wikipedia.org/wiki/Tattertools)

위키피디아 재팬의 태터툴즈 관련 글에서는 '일본에서의 태터툴즈의 위치'라는 항목으로 태터툴즈가 한-중에서의 높은 인지도와 달리 일본에서 성공적인 모델을 만들지 못하는 것에 대하여 가장 큰 이유로 매뉴얼과 관련 문서의 부족을 꼽았습니다 (위키피디아 재팬의 태터툴즈 문서 자체는 제가 만들었습니다만 '일본에서의 태터툴즈의 위치'는 현지인이 수정/보완한 듯 싶습니다). 이 해결을 위해서는 최소한 태터툴즈 영문 공식 사이트의 오픈 및 그에 대한 준비를 해야합니다. 현재 태터툴즈 영문 사이트(http://www.tattertools.com/en/)는 '현재 한국어/중국어만 지원하고 있습니다.'라고 몇 달째 걸려있습니다. 사실 위에서 말한 현지인의 모집과 성공적인 국제화에는 국제공용어로서의 위치가 확고한 영어의 역할이 절대적입니다. 현지인의 참여가 적은 것은 최소한 이 국제화의 기초 역할을 하는 태터툴즈의 영문 자료가 적기 때문이고, 때문에 한국어를 모르면 태터툴즈를 알 수 없는 구조가 되어 태터툴즈에 대한 관심도를 낮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고 봅니다.

로케일 작업을 하는 입장에서 이런 말은 자폭일지도 모르겠지만, 이번에 느낀 바로는 태터툴즈의 로케일 작업이 점점 빡세지고 있습니다. 슬슬 실력의 한계가 찾아오고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습니다. 촉박한 시간의 압박보다도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면서 현지의 새로운 용어와 그에 맞는 표현을 번역하는데에 번역 시간보다 관련 용어 검색 시간이 더 걸렸으니까요.

○하지만, 태터툴즈의 국제화는 현재진행형
아직도 현재진행형인 태터툴즈의 성공적인 국제화 모델은 단연 중국어입니다. 이미 태터툴즈는 단 1개 언어긴 해도 성공적인 국제화를 이루어 냈습니다. 태터툴즈 차이나의 성공적인 국제화를 참고한다면, 현재 태터툴즈가 국제화를 위해서 해야 할 일과, 지금 발목을 잡고 있는 것들을 볼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이미 한 번 이루어 냈던 일, 다시 못 이루어내라는 법도 없지않습니까.


○맺으며
글의 내용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1. 태터툴즈의 국제화, 비단 로케일만이 아닌 국제화를 생각한다면 현지인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2. 영어를 제외하면 최소 현지 한국인이 아닌 순수 한국인이 하는 국제화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3. 하지만 현재 태터툴즈의 국제화는 현재 한국어를 모르면 참여할 수 없는 상황이다.
4. 이를 위해서는 국제화의 초석이 되는 상세한 영어 문서와 영문 공식 사이트의 오픈이 필요하다.
5. 이미 태터툴즈 차이나는 성공적인 국제화가 진행중인 이상, 다른 언어로의 진출도 태터툴즈 차이나의 경우를 보고 배운다면 좋을 것이다.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태터툴즈를 보며, 관리자 화면 한 구석에 새겨진 자신의 이름을 보며 기쁨과 책임을 동시에 느낍니다.
앞으로도 태터툴즈의 혁명적인(...) 발전을 기대합니다.

추운 날씨, 감기 조심하세요 smile

ps. 써 놓고 나니 뭔가 자폭성 글인 거 같습니다...|||orz

Sanctus dominus illuminatio mea, Veritas lux domini.

2

답글: 국제화 : 외국어 지원과 과제

현지인의 참여를 어떻게 늘릴 수 있을까요?

일단 언어팩 제작을 쉽게 하기 위해서 영문 기반의 인어팩 사용 시스템을 생각하고는 있습니다. 이 경우 언어팩이 3단 구성이 되겠지만, 다양한 언어의 언어팩이 제작되는 것은 훨씬 쉬워지겠죠^^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뿌리는 것 이외에 또 다른 활성화 방법은 없을까요? 시스템적으로 우리가 할 수 있는 부분이 분명히 있을겁니다.

"Everything looks different on the other side."

-Ian Malcomm, from Michael Crichton's 'The Jurassic Park'

3

답글: 국제화 : 외국어 지원과 과제

루이체님께는 간단히 po 포맷에 대해 소개해드렸지만, 시간이 나는대로 현재 language 밑에 있는 파일들과 po 파일간의 상호 변환 프로그램을 제작해보겠습니다. po 파일은 inureyes 님의 참여에 앞서 준비해야할 문제인듯합니다.

심지어 TortoiseSVN에서는 도움말도 po 파일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po가 단지 gettext 의 도구가 아니라 번역의 중심에 있는 포맷이라고 생각하고 변환기는 각 응용에서 맞게 사용하는 것이지요.

4

답글: 국제화 : 외국어 지원과 과제

사실... 차이나를 빼고는 외국에 있더라도 한국인이 태터를 사용하는 중이지요.
옆나라 일본만 보더라도 태터를 잘 안쓰는 것 같습니다.

일단 홍보가 절실하게 필요하겠네요. 자기네들이 필요하게 되면 무슨 수를 쓰더라도 참여하게 되니까요. 차이나처럼.
그렇다면, 어느 정도의 홍보를 해야 될까요? 기업에서 하는 홍보가 필요할까요? 아니면 그냥 블로그에서 포스팅을 하는 홍보만으로도 충분할까요?

지금은 너무 앞서 나가서 모든 언어권을 지원하겠다 라는 마음 보다는(그 나라 사람들이 관심도 없는데 준비부터?)
차라리 우리나라는 당연한 것이고 영어권과 외국어 지원의 담당자가 맡고 계신 일어권만이라도 확실히 하는 게 어떨까요?

영어권만이라도 철저히 한다면 왠만한 다른 언어권이라도 관심을 가지고 사용할 수는 있습니다. 물론, 한국어로도 충분히 그렇게 되어야 하지만.
아직은 한글이 영어보다는 그리 늘리 알려져 있지 않으니..

저는 차라리 한글로만 배포해 다른 외국인이 한글을 배우게 했으면............ 싶기도 하지만 -- 국제화 사회에 그렇게 하면 안되죠... --a

그러니, 다른 나라에서 관심을 가지게 만들어야 함이 첫째이고, 일단 가능한 언어권만이라도 확실히 정리하고 정립하여 차후에 다른 언어권이 필요할 때 보다 빨리 번역하고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둘째라고 생각합니다.

그 다음은........ 다른 언어권이 눈앞에 닥쳐와 필요하다... 어찌 해달라고 할 때까지는... 묻어놓는 것도 괜찮으리라 생각합니다.

5

답글: 국제화 : 외국어 지원과 과제

coolengineer 작성:

루이체님께는 간단히 po 포맷에 대해 소개해드렸지만, 시간이 나는대로 현재 language 밑에 있는 파일들과 po 파일간의 상호 변환 프로그램을 제작해보겠습니다. po 파일은 inureyes 님의 참여에 앞서 준비해야할 문제인듯합니다.

심지어 TortoiseSVN에서는 도움말도 po 파일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po가 단지 gettext 의 도구가 아니라 번역의 중심에 있는 포맷이라고 생각하고 변환기는 각 응용에서 맞게 사용하는 것이지요.

얼마전에 태터툴즈의 빈 언어팩 파일을 기준으로 poEdit 처럼 쉽게 작업할 수 있는 웹인터페이스라도 만들어볼까 하고 아주 조금! 끄적대다가 미뤄놨습니다ㆀ
말씀하신대로 일반적으로 translation 에 사용되는 po 포맷에 대한 문제는 여러모로 고려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smile

6

답글: 국제화 : 외국어 지원과 과제

Ikaris C. Faust 작성:

그런데 제가 정작 궁금한 것은, 이미 언어팩이 제작이 됐다 하더라도, 태터툴즈를 그 나라에 어떻게 광고하느냐 입니다. 아무리 상품을 생산해놔도 소비자가 선택하지 않는다면 그 상품은 실패한 것이나 다름 없으니까요. 태터툴즈의 효과적인 배급(..)의 방법도 찾아봐야 할 것 같습니다.

영어 공식 사이트에 관해서는... 이것에 대해서 새로운 개발 프로젝트를 발족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말만 개발이지, 실제로는 번역작업이네요...
프로젝트를 일단 발족하고 나면, TnC의,아니 TnC뿐만 아니라 태터를 사용하는, 영어를 아는 모든 사람들은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겁니다. 보안이 걱정되기는 하겠지만, 누군가가 번역해 놓은것을 다른이가 보충하거나 수정하고 할 수 있도록요. 백짓장도 맞들면 낫다고 했습니다. 어느 한 사람의 작업으로만 이루어져 생겨나는 여러가지 문제들을 다른 사람이 보충해 조금이라도 더 완벽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여기까지, 저의 생각을 조금 두서없이 늘어놓아 보았습니다. 아직 고등학생이라 생각의 폭이 좁을 수도 있습니다. 이해 부탁드립니다.

확실히, 이 면을 위해서 소스포지 등록을 해야 되겠다는 생각이 다시 한 번 듭니다.

"Everything looks different on the other side."

-Ian Malcomm, from Michael Crichton's 'The Jurassic Park'

7

답글: 국제화 : 외국어 지원과 과제

현재... 스킨 변경점 문서를 작성하고 있습니다만, 이걸 하면서 느낀 점이 "아, 전체 (서면) 매뉴얼이 필요하구나"였습니다. 그래서 추후 개인 작업 목록에 "매뉴얼 작업"도 추가되었지요. 흐흐흐... 앞으로 온라인 개발 레퍼런스 사이트가 만들어지면 Ikaris C. Faust님이 말씀하시는 번역작업의 타겟이 확실히 생기는 것이 될테니 그 때가 아마 해외 지원을 위한 스타트 점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되도록 빨리 작업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8

답글: 국제화 : 외국어 지원과 과제

1. po 방식의 번역툴이 제공되는 것이 편리할지, 아니면 걍 php의 스트링매치가 편리할지는 우선 생각을 해 봐야 겠습니다. 아니면 전용 번역 툴을 제공해서 그 언어팩에서 영문 언어팩을 참조해서 한국 언어팩의 스트링의 뜻을 보여 주는 방식도 좋겠군요.

역시 이 때 즈음 되면 나오는 말이, 누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 수 있을까요^^

"Everything looks different on the other side."

-Ian Malcomm, from Michael Crichton's 'The Jurassic Park'

9

답글: 국제화 : 외국어 지원과 과제

inureyes 작성:

역시 이 때 즈음 되면 나오는 말이, 누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 수 있을까요^^

줄여서, '결자해지' big_smile

10

답글: 국제화 : 외국어 지원과 과제

laziel 작성:
inureyes 작성:

역시 이 때 즈음 되면 나오는 말이, 누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 수 있을까요^^

줄여서, '결자해지' big_smile

저 위에, 좀 끄적거려 보시던 분이 누군지 생각을 해 볼 시간이군요 smile

"Everything looks different on the other side."

-Ian Malcomm, from Michael Crichton's 'The Jurassic Park'

11

답글: 국제화 : 외국어 지원과 과제

inureyes 작성:

저 위에, 좀 끄적거려 보시던 분이 누군지 생각을 해 볼 시간이군요 smile

반전!!;; 역시 교주님;; (그나저나 전 딱히 도와드릴 게 없네요;; 가방끈이 짧아서;; )

하늘은 스스로 삽질하는 자를 삽으로 팬다

12

답글: 국제화 : 외국어 지원과 과제

현재 po로 작업할 수 있는 일을 거의 끝마쳤습니다. 지난주 말에 거의 끝내긴 했는데,
주초에 갑자기 생각이 하나 들어서 수정하느라 시간이 좀 들었습니다.

두서 없이 정리하면,

1. php 코드에서 _t, _f, _text, _textf 함수에 넘어가는 문자열을 뽑아 tattertools_ko.pot 파일을 만듭니다.
   (msgid 로 사용합니다.)

2. 기존의 ja.php, en.php, de.php, zh-CN.php 를 ja.po, en.po, de.po, zh-CN.po 파일로 변환하는 도구를 만들었습니다.
   (php2po.pl) 이 도구는 이관하는데만 사용될 것이므로, 실제 번역자들은 사용하실일이 없으실 것입니다.

3. 번역하시는 분들은 이제 자동으로 만들어지는 tattertools_ko.pot 파일을 po 파일에 업데이트하여 추가되는
   문자열을 번역만해주시면 됩니다.

4. 소스 코드가 한글로 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번역의 기준 문자열은 한글이 될 것입니다.
   그런데, 영어로 된 기준 문자열이 필요하므로 영어의 번역이 만들어지면 자동으로 tattertools_en.pot 를 기준으로
   만들 생각입니다. 그렇게 되면 한글을 모르는 곳에서도 영어를 기준으로 지역화를 할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5. 추가 언어들은 대개 tattertools_en.pot 를 이름 바꾸어 복사하여 fr.po, es.po, my.po 등을 만들어 번역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영어 번역자의 압박이 좀 있으리라 생각되는 군요.
5.1 이 번역들은 tattertools_en.pot 를 수시로 업데이트하여 번역하여야합니다.
5.2 번역이 한 단계를 거쳐서 되는 특수성은 우리의 키가 한글이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인데, 두 단계로 번역되는 것 때문에
    생기는 오류가 있으리라 봅니다.

6. 영어를 번역한 언어들은 두 단계를 거쳐 한글 키를 가진 각 언어의 php가 만들어질 것입니다.

7. 번역된 po 파일이 php로 바뀌는 것은 두 가지 방법으로 가능합니다.
7.1 po2php.pl 도구를 이용하면 linux 명령행에서 php로 만듭니다.
    (지난주말에 이렇게 개발해 놓았는데 생각이 7.2로 바뀌어 작업하였습니다.)
7.2 po2php.php 도구를 이용하면 화면상에서 자동으로 날짜가 최신인 po 파일이 올라오면 php가 만들어 집니다.
    이 경우 아파치의 권한으로 language 디렉토리에 쓰기가 가능하여야합니다.
    권한이 이미 설정되어 있는 cache 쪽으로 언어파일을 옮기는 것도 생각 중입니다.

조만간 sandbox에 올려 보겠습니다.

13

답글: 국제화 : 외국어 지원과 과제

수고하셨습니다 smile

아예 dev.tattersite.com 에 디렉토리 하나 차리셔야 겠습니다^^

"Everything looks different on the other side."

-Ian Malcomm, from Michael Crichton's 'The Jurassic Park'

14

답글: 국제화 : 외국어 지원과 과제

모질라 쪽에서도 국제화가 지속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현재 개발자를 위한 문서는 인터위키로 언어를 연결해주고 있으나 확장기능과 같은 부분들은 국가별로 독립된 사이트를 쓰고 있습니다. 모질라 측에서는 이런 이질적인 환경도 국가별 사용자의 장벽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모질라 쪽은 사이트 차원에서도 전세계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내용을 이용할 수 있게 개편 중입니다. 태터의 공식 사이트도 동일한 프로그램으로 국제화에 대응할 수 있다면 이상적이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