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ureyes 작성:카테고리별 body id는 현재 지원이 되지 않습니다. 똑같이 category로만 나오죠 
이유는, id명에 한글이나 특수문자가 들어갈 수 없는데 대부분의 국내 블로그의 경우 한글명으로 카테고리를 정하기 때문입니다 
그냥 id 입력부분에 정규식으로 유효성을 판단해 주면 안 되나요?
qwer999 작성:아이고, 아무래도 텍스트만으론 내용 전달이 잘 안되는것 같네요.
이미지를 첨부합니다;
http://www.pink-hman.com/pink/qwerqwer.jpg
카테고리1을 만들고 body id를 이용해 그곳만 다른 CSS 효과를 주었습니다.
카테고리1 리스트 첫화면에서는 적용이 잘 됩니다.
하지만 동일 카테고리의 동일한 내용의 포스트라도 그곳에서 리스트를 클릭하냐 아님 페이징을 클릭하냐에 따라서 각기 다른 body id를 불러옵니다.
그래서 첨부 이미지-_-와 같은 현상이 발생합니다.
리스트에는 고유 url로 링크가 되어있고 페이징에는 /카테고리1?page=2 처럼 링크가 되어있어서 벌어지는 일입니다.
전 고유 url로 들어가던 페이지 넘버로 들어가던 body id는 page가 아니라 카테고리1로 불러와야 하는것 아닐까 하는거죠.
이게 안된다면 최소한 리스트 페이지에서의 포스트 링크들을 /카테고리1?page=no. 로 통일을 시켜야 할것 같습니다.
qwer999님의 보고와 관련해서는 저는 일단 저 구현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아마도 페이지당 포스트 수를 1로 설정하고 사용하시는 것 같은데, 페이지 번호를 2 이상으로 변경해 보시고 다시 생각해 보시면 이해하시리라 생각합니다.
현재 최신 게시물이 1, 2, 3, 4, 5가 올라와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각 번호는 숫자 슬로건이며, 1이 가장 늦게 올라온(가장 최근의) 게시물입니다. 분류는 1, 2, 3이 "엄마" 분류로 동일하고 4, 5가 "아빠"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여기에 페이지 당 포스트 수가 2로 설정되어 있다고 치고 어떤 방문자가 qwer999님의 블로그를 방문하는 절차를 서술해 보겠습니다.
방문자 A가 "http://www.pink-hman.com/pink"를 입력하여 블로그 메인에 접속했습니다. 표시되는 포스트는 1과 2입니다. 페이지 당 포스트가 2이니까요. 포스트를 대강 살펴본 방문자 A가 하단에 있는 페이지 이동 번호 중에서 2를 클릭합니다. 3, 4 포스트가 출력됩니다. 그렇다면 디자인은 어느 포스트의 분류 id를 따라야 할까요? 3은 "엄마" 분류이고 4는 "아빠" 분류니까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만 됩니다. 그러나 사실은 둘 중 하나를 선택할 상황이 아니죠. 여기에 표시되는 포스트는 분류 개념이 아니고 리스트 개념이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3의 제목을 클릭하면 "엄마" 분류의 디자인이 적용된 포스트 3이 출력될 것이고, 4를 클릭한다면 "아빠" 분류의 디자인이 적용된 포스트 4가 출력되겠지요.
페이지 당 포스트 수를 1로 놓고 사용하셔서 개념을 혼동하신 것 같습니다.
아울러 이 문제에 대해 추가로 제안하면 다음과 같이 카테고리를 묶는 것이 어떨까요.
1. 메인 페이지 - 리스트 페이지(카테고리 리스트 제외) : 같은 카테고리(예:tt-page)
2. 카테고리 리스트 - 개별 포스트 entry 화면 : 카테고리 분류에서 주어지는 id 값으로 묶기.
3. 태그 클라우드 화면 : tt-tag-log
4. 방명록 화면 : tt-guestbook
5. 위치로그 : tt-location-log
1의 리스트 페이지에는 카테고리명을 클릭해서 나오는 카테고리 리스트를 제외한 모든 리스트가 포함됩니다. 댓글 리스트, 태그를 클릭해서 나오는 태그 사용 포스트 리스트 등은 메인 화면과 같은 디자인을 따르게 하는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