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memcached: 추가정보 + 로그인 문제
1.82에 memcached가 활성화 될 경우의 질문 2개.
(환경: 서버box의 gui에서 testing/debian+centos/opera+firefox/qualifed DNS pointing to localhost box)
1) 1.7x에서 eaccelator+apc 적용에 별 무리가 없었는데,
1.8x에서는 memcached+xcache+zendoptimizer 조건에 상기 조합보다 빠른 느낌이 드나
문제 하나는 로그인하면 다시 로그인 페이지로 돌아와 dashbord에의 접근이 않됩니다.
따라서 로그인이 필요할때 마다 config.php에서 memcached를 비활성하게 되는 반복 작업이
계속되어 혹시 이와 유사한 문제점/해결책이 보고되었는지 문의.
(서버box의 gui에서 testing되어 그러는지? 서버가 아닌 다른 PC에서 로그인 시도를 아직 않해보아서..
윈도우2008서버에서는 Zend Optimizer가 php5.3 버전이 없어 memcached+xcache 상황에
TC의 페이지cache를 비활성화하여야만 로그인 되었든 것으로 기억됩니다.)
2) memcached 활용 예로써 서버에 2개 이상의 TC가 운영될때 config.php에 적용될 수 있는
$memcached['server'] 의 올바른 syntax의 예를 들어 주십시요.
하나더
3) php.ini에서 'session.save_handler'의 성공적 활용 예?
default인
'session.save_handler = files'
;session.save_path =
아니면
session.save_handler = memcache
session.save_path = "tcp://localhost:11211?persistent=1&weight=1&timeout=1&retry_interval=15"
와 같이 files 대신 memcache와 path의 지정?. 현재 후자에 에러가 나와서 default로 이용.
1.8x부터 TC에서 memcached의 정식 지원을 위해 준비된 테스트 결과가 있으리라 보고 여기에 최적화된 개발 환경의
변수들이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