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제: 스킨의 몇몇 부분에 사용된 영어 표현들.

전부터 조금 궁금했는데, 기본 스킨이나, 많은 분들이 만드시는 스킨에 보면

'Trackback', 'Comment', Trackback Address', 'Name', 'Password', 'Homepage' 등의 영문 표현들이 있는데요,

가급적이면 한국어 스킨에서는 이것들을 한글 표현으로 바꾸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트랙백', '홈페이지' 같은 것들처럼 한국어로 변경해서 큰 의미가 없을 지도 모르는 것들이 있는 반면에,

'Write a Comment'나, 'Submit Comment'같은 것들은 무리해서 알파벳으로 표현하지 않아도 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다른 분들의 의견은 어떠신지요.

2

답글: 스킨의 몇몇 부분에 사용된 영어 표현들.

예 동의합니다.

트랙백, 댓글, 트랙백 주소, 이름, 비밀번호, 홈페이지, 댓글 작성, 입력 정도면 충분할 것 같네요.

"우리말 어쩌고 저째기 협회인가에서 '댓글'로 통일하자고 했다더군요"

‘리플’은 ‘댓글’로

lunamoth (2006-05-14 03:51:45)에 의해 마지막으로 수정

3

답글: 스킨의 몇몇 부분에 사용된 영어 표현들.

lunamoth 작성:

예 동의합니다.

트랙백, 댓글, 트랙백 주소, 이름, 비밀번호, 홈페이지, 댓글 작성, 입력 정도면 충분할 것 같네요.

"우리말 어쩌고 저째기 협회인가에서 '댓글'로 통일하자고 했다더군요"

‘리플’은 ‘댓글’로

트랙백은 엮인글로 표현하면 어떨까요? 이렇게 표현된 곳을 종종 보는데 괜찮은 것 같습니다. 생판 모르는 분이 봤을때 트랙백 보다는 엮인글쪽이 더 쉽게 이해가 가지 않을까 합니다.

마잇 (2006-05-29 04:14:45)에 의해 마지막으로 수정

4

답글: 스킨의 몇몇 부분에 사용된 영어 표현들.

마잇 작성:
lunamoth 작성:

예 동의합니다.

트랙백, 댓글, 트랙백 주소, 이름, 비밀번호, 홈페이지, 댓글 작성, 입력 정도면 충분할 것 같네요.

"우리말 어쩌고 저째기 협회인가에서 '댓글'로 통일하자고 했다더군요"

‘리플’은 ‘댓글’로

트랙백은 엮인글로 표현하면 어떨까요? 이렇게 표현된 곳을 종종 보는데 괜찮은 것 같습니다. 생판 모르는 분이 봤을때 트랙백 보다는 엮인글쪽이 더 쉽게 이해가 가지 않을까 합니다.

스킨 제작자 입장에서는 아무래도 색상폰트 선택이 가장 큰 문제일 텐데요, 폰트의 특성상 사용할 수 있는 폰트는 크게 제한을 받습니다.

한글은 궁서, 굴림, 바탕, 돋움 정도의 4개를 기본으로 쓰고 있고
영문은 Verdana, Tahoma, Arial, Comic Sans MS, Trebuchet MS, 정도가 Windows 기본 폰트로 기억이 납니다.

문제는 한글에 있는 것이지요.
아무래도 만족스런 한글 폰트가 없다는 데 있습니다.
돋움이나 굴림 9pt 가 가장 널리 쓰이는 폰트일거라 생각하는데, 두 폰트의 모양이 같습니다.
오히려 8pt, 10pt 에서는 모서리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지만, 그 차이가 적다는 것이 문제구요.

또 하나는 트루타입 폰트의 장점인 벡터 방식의 아웃라인을 살릴 수 없다는 것입니다.
IE 기준으로 한글 기본 폰트 4종은 29px부터 벡터로 표현이 됩니다. (pt 값은 사실 잘 안써서 모르겠습니다)
29px 보다 낮은 값에서는 흔히 말하는 계단 현상이 발생합니다.
그러나 영문 기본 폰트는 벡터 표현이 한글 기본 폰트보다 낮은 값에서 시작합니다.
글자의 크키가 부담스럽게 크지 않으면서도, 깔끔하게 표현되는 것이지요.

아주 작은 글자를 쓸때에도, 영문은 5*5px만 있으면 대문자를 모두 구별해서 쓸 수 있죠.
한글은 보다 더 큰 크기가 필요합니다.

이런 이유에서 영문을 더 선호하게 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용어가 정확하지 못할 수 있고, 내용 또한 조리있게 쓰지 못했을 수 있습니다.
저의 개인적 주관으로, 다수의 생각과 다를 수 있습니다.
약간 길어진 것 양해를 부탁드리구요, 좋은 하루 되세요^^

마모루 (2006-05-30 01:58:18)에 의해 마지막으로 수정

현재 사용중인 서버 세팅 - Apache 2.2.3 / mysql 5.0.24 / php 5.1.6
메인블로그 - http://sumomo.tistory.com/
스킨블로그 - http://mamoru.homeip.net/skin/

5

답글: 스킨의 몇몇 부분에 사용된 영어 표현들.

음.. 홈피의 성격에 따라서 글자 스킨을 영문모드, 한글모드로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저 같은 경우.. 외국인 친구(달랑 1명 ^^;;)를 위해서 영문 블러그를 같이 병행할려고 하다보니..

어쩔수 없이 영문 블러그만을 쓰게 되더라고요..

메뉴명등은 그래도 다 짧은 영문으로 가능하니까요.. ㅎㅎ

이런 서비스.. ~~ 좋을 듯~~

티히스토리에 둥지 트는 그날 까지.. 달리삼 ~~

6

답글: 스킨의 몇몇 부분에 사용된 영어 표현들.

아카이브는 어떻게 번역하면 좋을까요? 저장소?

7

답글: 스킨의 몇몇 부분에 사용된 영어 표현들.

graphittie 작성:

아카이브는 어떻게 번역하면 좋을까요? 저장소?

지난 글? 지난 글 모음? 으음 -_-

8

답글: 스킨의 몇몇 부분에 사용된 영어 표현들.

핫핫. 저 같은 경우에는
trackback은 관련글 / comment는 짧은글 / article은 최근글 이라고 해두었는데
보통 trackback은 엮인글이라는 표현을 더 많이 쓰는 듯 합니다 smile

참, archive는 저장소라고 하는게 가장 근접한(....근접하다기보다는 직역 수준이지만;; )게 아닌가 생각됩니다..

하늘은 스스로 삽질하는 자를 삽으로 팬다

9

답글: 스킨의 몇몇 부분에 사용된 영어 표현들.

마모루 작성:

한글은 궁서, 굴림, 바탕, 돋움 정도의 4개를 기본으로 쓰고 있고
영문은 Verdana, Tahoma, Arial, Comic Sans MS, Trebuchet MS, 정도가 Windows 기본 폰트로 기억이 납니다.

문제는 한글에 있는 것이지요.
아무래도 만족스런 한글 폰트가 없다는 데 있습니다.
돋움이나 굴림 9pt 가 가장 널리 쓰이는 폰트일거라 생각하는데, 두 폰트의 모양이 같습니다.
오히려 8pt, 10pt 에서는 모서리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지만, 그 차이가 적다는 것이 문제구요.

Windows의 경우는 마모루님 말씀대로 이구요..
맥에서는 한글 font에 대해서 어떤 font를 기본으로 사용하는지가 궁금하네요.. Windows와는
다른 체계(?)로 진행이 될 듯 싶은데요.. 그럴 경우를 고려해서 한글 font쪽은 기본 font를 결정해야
할 것 같습니다..(그러고 보니 그렇게 되면 리눅스도 걸리는군요.. 한이 없네요.. smile)

후회가 꿈을 대신하는 순간부터 우리는 늙기 시작한다..

10

답글: 스킨의 몇몇 부분에 사용된 영어 표현들.

graphittie 작성:

아카이브는 어떻게 번역하면 좋을까요? 저장소?

아카이브를 보는 순간 '저장소'만이 떠올랐습니다.. 흐..
공돌이의 머릿 속에서는 '저장소'로 자동번역이 되버리는군요.. --a

후회가 꿈을 대신하는 순간부터 우리는 늙기 시작한다..

11

답글: 스킨의 몇몇 부분에 사용된 영어 표현들.

graphittie 작성:

아카이브는 어떻게 번역하면 좋을까요? 저장소?

마잇 작성:

지난 글? 지난 글 모음? 으음 -_-

저장소 보다는 지난 글이나 지난 글 모음이 모음이 더 예쁘지 않나요?
한자어는 괜히 딱딱해서 ^^

12

답글: 스킨의 몇몇 부분에 사용된 영어 표현들.

맥퓨처 작성:
마모루 작성:

한글은 궁서, 굴림, 바탕, 돋움 정도의 4개를 기본으로 쓰고 있고
영문은 Verdana, Tahoma, Arial, Comic Sans MS, Trebuchet MS, 정도가 Windows 기본 폰트로 기억이 납니다.

문제는 한글에 있는 것이지요.
아무래도 만족스런 한글 폰트가 없다는 데 있습니다.
돋움이나 굴림 9pt 가 가장 널리 쓰이는 폰트일거라 생각하는데, 두 폰트의 모양이 같습니다.
오히려 8pt, 10pt 에서는 모서리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지만, 그 차이가 적다는 것이 문제구요.

Windows의 경우는 마모루님 말씀대로 이구요..
맥에서는 한글 font에 대해서 어떤 font를 기본으로 사용하는지가 궁금하네요.. Windows와는
다른 체계(?)로 진행이 될 듯 싶은데요.. 그럴 경우를 고려해서 한글 font쪽은 기본 font를 결정해야
할 것 같습니다..(그러고 보니 그렇게 되면 리눅스도 걸리는군요.. 한이 없네요.. smile)

음...  제가 생각하는 영단어 사용 이유는 약간 틀립니다.

안타깝게도 영어가 더 나아보이는게 사실이긴 합니다.  모든 디자이너들이 당연 하다는 듯이 영어를 선택하게 되는 이유이고, 그래서 스킨 뿐만이 아닌 거의 모든 사이트들이 영어의 사용도가 높습니다.  하지만 아시다시피 얼만큼 제작자가 이미지의 사용을 감안하면서 적절히 한글로 변화 시키느냐가 다른점일뿐, 한글 사용도 영문 사용같은 비슷한 효과를 나타낼수 있습니다.  백터폰트의 효과를 직접 가져올수 없다는걸 알았기에 일찍이 부터 한국은 이미지로 텍스트를 대체하였고, 뛰어난 디자인 감각으로 해외 사이트들보다 월등하게 멋지게 웹사이트들이 제작되고 있습니다.  편법이라고 하더래도 기술적인 부분은 거의 동등한 수준까지  표현이 가능하긴 한거죠.  '기술적으로, technically 차이가 나기 때문에 영어를 선택한다'는 요즘에는 하기 힘든 말이 되었습니다.

오히려 장애물이 있다면, 영단어를 사용할 때에 간단명료하게 표현할수 있다는 점, 웹세계에선 이미 영어로 알려지고 사용되고 있는 영단어들이 많은 점, 한글로 해석하기에는 약간 어색한 단어들이 존재한다는 점들 이라고 생각됩니다.  blogsphere 같은 것들이죠.  하지만 다행이도 위 Milfy 님께서 제시하신 단어들은 꽤 명백하게 한글로 간단명료하게 표현할수 있는 것들이고, 또한 좋은 의미와 영향도 갖는 것들이니 크게 문제될꺼 같지는 않습니다.  헌데 archive 도 블로그스피어와 같은 분류같습니다.  애매하게 뜻표현이 가능한거 같으면서 써보면 아닌거 같기도 한것들 말이죠 ^^; 

해서 저는 뜻이 제대로 전해지며 디자인에도 잘 스며든다면 여러 메뉴의 한글화는 절대 찬성입니다.

<!--[if IE]>
<p>잘못 실행하신 브라우저 이거나 국번이 없는 브라우저 이오니, 다시한번 확인하시고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유해브 컬드 롱 브라우저 오어 노 브라우저.  플리즈 트라이 어게인 땡큐</p>
<! [endif] -->

13

답글: 스킨의 몇몇 부분에 사용된 영어 표현들.

일모리 작성:

하지만 아시다시피 얼만큼 제작자가 이미지의 사용을 감안하면서 적절히 한글로 변화 시키느냐가 다른점일뿐, 한글 사용도 영문 사용같은 비슷한 효과를 나타낼수 있습니다.  백터폰트의 효과를 직접 가져올수 없다는걸 알았기에 일찍이 부터 한국은 이미지로 텍스트를 대체하였고, 뛰어난 디자인 감각으로 해외 사이트들보다 월등하게 멋지게 웹사이트들이 제작되고 있습니다.  편법이라고 하더래도 기술적인 부분은 거의 동등한 수준까지  표현이 가능하긴 한거죠.  '기술적으로, technically 차이가 나기 때문에 영어를 선택한다'는 요즘에는 하기 힘든 말이 되었습니다.

디자인적인 측면에서는 어떻게 보면 서양애들보다 더 뛰어나다고 볼 수 있기는 한데요, 이미지로 텍스트를 표현해 버리면 지역화가 까다로워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태터툴즈 관리자 화면 같은 거요... select 박스 설정 하나만 바꿔주는 것만으로 전체 언어설정이 왔다갔다 하는데, 그 중 한 텍스트가 이미지로 되어 있다고 하면 초난감(초난강 아님!!!) 하지요...:/

14

답글: 스킨의 몇몇 부분에 사용된 영어 표현들.

^^ 네 맞습니다 하지만 현재 한글들이 관리자 화면에서 잘 쓰여지고 있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아닌가요?
폰트크기가 12px 이상으로 폰트가 깨어져 갈때에 이미지를 생각해 봐야 하겠지만 보통 관리자 화면이나 Milfy님께서 말씀하신 한글화가 필요한 'Trackback', 'Comment', Trackback Address', 'Name', 'Password', 'Homepage' 등등은 한글표기도 문제 없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if IE]>
<p>잘못 실행하신 브라우저 이거나 국번이 없는 브라우저 이오니, 다시한번 확인하시고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유해브 컬드 롱 브라우저 오어 노 브라우저.  플리즈 트라이 어게인 땡큐</p>
<! [endif] -->

15

답글: 스킨의 몇몇 부분에 사용된 영어 표현들.

일모리 작성:

^^ 네 맞습니다 하지만 현재 한글들이 관리자 화면에서 잘 쓰여지고 있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아닌가요?
폰트크기가 12px 이상으로 폰트가 깨어져 갈때에 이미지를 생각해 봐야 하겠지만 보통 관리자 화면이나 Milfy님께서 말씀하신 한글화가 필요한 'Trackback', 'Comment', Trackback Address', 'Name', 'Password', 'Homepage' 등등은 한글표기도 문제 없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아, 그냥 그렇다는 말이었습니다. 별로 의미를 담고 하는 말이니 신경 쓰지 마세요.:cool: 그나저나 앞으로 관리자 화면 스킨을 제작하실 유저분들이 이미지 텍스트의 단점을 잘 인식해 주셔야 할 텐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