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제: 스킨에 관한 초보적인 질문드려요T-T

안녕하세요.
테터툴즈 설치하고나서 계속 기본스킨을 편집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도 시간이 지나니 질리네요.
막상 바꾸려고 일단 다시 기본스킨을 받았더랬습니다.
그래서 뜯어본 결과...
우와, 정말.. 하나도 모르겠어요!
중학1학년때부터 만져온 홈페이지라 별반 다를거 없다 생각하고 뜯긴 했는데...
이거 무지 겁나네요;;
잡설은 그만 접고.. 질문할게요 smile;;
여기서 제가 살펴본건 coolant스킨입니다.



1. 브라우저에 보여지는 skin.html에 관한건데요.

<body>
<s_t3>
<div id="set">
    <div id="header">

이렇게 있는데
<s_t3>와 <div id="set">이란게 정확히 뭘 지정하는건가요?
스타일시트에도 안나와있던데...
이게 테터 블로그의 전체적인 묶음(?)택인건가요?


2. skin.html에 보면 위치지정이랄까, 아무것도 없는데
<div id="header"> 이 부분에서 위치를 정하는건가요?
이게 스타일시트에서 #header 라고 정해져있더라구요.
그래서 대충 짐작은 하고 있는데 그럼 스킨을 만들때
왼쪽 -> 오른쪽으로 정해지는건가요?

스타일시트에서 임의로 header를 width=50px 으로 정해놓고 header2를 width=100px로 정해놓은 후
<div id="header"> ... blah blah blah .... </div>
<div id="header2"> ... blah blah blah .... </div> 라고 skin.html에 쓴다면
가장 왼쪽 위에 header가 가로50px로 나오고 그 옆에 header2가 가로100px로 나오는건가요?

div를 쓰는 순서에 따라 위치가 바뀌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아 그리고 저렇게 썼을때 저 두개가 옆으로 나란히 붙어나오나요? 아님 header밑에 header2가 나오나요?



3. 일반 홈페이지에 diary란 메뉴를 만들고 그 메뉴를 눌렀을 때
테터블로그에 쓴 일기 카테고리를 뜨게 하고싶은데요.
그냥 http://aaa.com/tc/category/1 로 불러오면 스킨 그대로 딸려오잖아요.
그치만 제가 원하는건 사이드바가 없이 그냥 '일기에 해당되는 글 * posts' 랑 밑에 내용만 왔으면 좋겠거든요.
이건 따로 띄울 수 없나요?
아예 스킨을 바꿔야만 하나요?




4. 만약 3번 질문에서 아예 사이드바가 없는 레이아웃 스킨으로 바꿔야 가능하다... 면
내용은 그대로에 레이아웃 스킨만 틀린 걸 두개로 만들어서
하나는 저렇게 링크용으로 쓰고 하나는 블로그 그 자체로 쓰고싶은데
과연 가능할까..요?;;




질문이 허접하기도 하고 말주변이 없어서 난해하실 것 같지만 제 최선으로 머리굴려서 적어봤어요 ㅇ<-<
메뉴얼 읽었는데 이런 질문에 대한 답은 없어서리 =_=;;;
아무도 궁금해하시는 분이 없으신듯... 저만 혼자서 끙끙대고 있는건가요ㅎ;;
다들 자연적으로 습득이 되신건가!!;;
답변 부탁드릴게요.
질문이 길어 죄송합니다 big_smile;;;

2

답글: 스킨에 관한 초보적인 질문드려요T-T

몇몇 질문이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는데요..
<s_t3> 는 텍스트큐브의 스킨영역의 시작을 알리는 치환자입니다.
이를 설명하려면, html기본 문법으로 가야하는데 header영역와 body영역을 구분해주는 치환자라고 생각하는게 가장 쉬울것 같습니다. javascript는 웹표준규격상 header에 들어가는걸 권장하는데, 텍스트큐브 플러그인에서 javascript가 들어가야하는경우 header에 삽입하기 위해 규정짓는 경우라 봐도 되겠습니다.
<div id="set">이 스킨에서 지정해준것인지, 아님 플러그인의 활용을 위한것인지는 스킨제작자에게 물어야할 것 같습니다. 스킨폴더의 css파일에 없다면 플러그인을 위한 클래스 일수도 있습니다.
div는 table과 달리 위에서 아래로 표현됩니다.
물론 table도 tr  td와 함께해야하는경우가 아니면 위아래로 표현되지만요..
html코드는 위에서 아래로 해석됩니다.
위에 있는 코드가 먼저 표현되고 담이 아래로 갑니다. 물론 이역시도 변수는 있지만요.
통상적으로 div에서 100을 지정하고 다음을 200을 지정하면 위에 100의 공간아래 200의 폭이 들어갑니다.
옆으로 붙지 않지요. 옆으로 붙게 하려면 다른 속성(float)를 지정해줘야합니다.
3번의 경우 하나의 스킨에서 body-id를 달리해서 지정하면 가능할 것같습니다.
이는 스킨제작 메뉴얼을 참조하시구요. 굳이 두개로 하지않고 하나로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이게 좀 어렵다 생각하시면 언급하신대로 별도의 블로그를 하나더 만들어서 링크하는 방법도 있겠습니다.

텍스트큐브를 이용하시다 불편하신 점 있으시면 아래로 연락주세요.
Needlworks/TNF - LonnieNa
nateon : y12x2 (a.t) nate.com / mail : lonniena (a.t) needlworks.org
http://twitter.com/@textc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