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추가해 주셨으면 하는 플러그인들...
로봇은 카운팅에 제외
리퍼러 로그 알아보기 쉽게 만드는
라이트박스
EXIF 출력
최소한 이 4가지는 꼭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아직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로그인 또는 회원 등록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
로봇은 카운팅에 제외
리퍼러 로그 알아보기 쉽게 만드는
라이트박스
EXIF 출력
최소한 이 4가지는 꼭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로봇은 카운팅에 제외
리퍼러 로그 알아보기 쉽게 만드는
라이트박스
EXIF 출력최소한 이 4가지는 꼭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네 .. 고려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킨의 추가나 플러그인의 추가는 본격적으로 다음주부터 시작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현재 플러그인 게시판에 올라온 라이트 박스 종류는 기본 플러그인으로 포함하지 않는 편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것들은 body에 코드를 붙여놓고 display로 조정하여 가렸다가 보였다가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css를 off 해놓을 경우 깨진 이미지가 다 드러납니다. 이런 방식은 공식 배포 플러그인으로서 인정 받기는 조금 부족한 것 같습니다. 기타 비슷한 방식의 플러그인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생각입니다. css로 왔다갔다 하는 방식은 그다지 좋은 방식이 아닙니다. 구현방식을 바꾼 새 형태의 라이트박스 플러그인이 필요할 듯 싶습니다.
기본적으로 플러그인이 좀 더 추가되어야 한다는데는 동의합니다.:)
graphittie (2006-05-27 12:32:57)에 의해 마지막으로 수정
현재 플러그인 게시판에 올라온 라이트 박스 종류는 기본 플러그인으로 포함하지 않는 편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것들은 body에 코드를 붙여놓고 display로 조정하여 가렸다가 보였다가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css를 off 해놓을 경우 깨진 이미지가 다 드러납니다. 이런 방식은 공식 배포 플러그인으로서 인정 받기는 조금 부족한 것 같습니다. 기타 비슷한 방식의 플러그인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생각입니다. css로 왔다갔다 하는 방식은 그다지 좋은 방식이 아닙니다. 구현방식을 바꾼 새 형태의 라이트박스 플러그인이 필요할 듯 싶습니다.
기본적으로 플러그인이 좀 더 추가되어야 한다는데는 동의합니다.:)
티스토리에서는 기본 플러그인에 포함 되지 않으면.. 쓰지 말라는 말이겠지요?..
근데, 태터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플러그인 중 하나가 바로 라이트 박스 플러그인이고.. 그리고, 썸네일.. 랜던 포토 등의 갤러리류 플러그인 이지요.
어떤 해상도에서도 각기 맞게 이미지를 클릭 했을 때 한 화면에 보여주는.. 기능은 그리 많지 않고.. 이미지를 보기에도 깔끔하기에 그만한 플러그인이 없는데..
사용하기 어렵다면.... 훔..
태터 툴즈의 플로그 인은 사용 유무를 사용자가 결정할 수 있습니다.
그런 만큼 약간의 주의 사항만 알려주면 그 플로그인의 사용에 있어서 권한과 책임 모두 사용자의 몫입니다.
그러한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이 많아지는 것이 오히려 더 좋은 일이라고 생각됩니다.
마음에 안 들면 사용하지 않으면 되는 것 아니겠습니까?
실제로 저도 티스토리의 기본 제공 플로그인 중 몇 가지는 비 활성화 중입니다.
그러므로 저는 라이트 박스 등의 플로그인 추가에 적극 찬성입니다.
제 말을 오해하지는 마시고... 저도 tistory가 잘 되기를 바라는 사람이니 좋은 의도로 하는 소리입니다. 쓰지 말라는 게 아니고 새로 제작하자입니다.
제가 현존하는 라이트박스 플러그인에 딴지를 거는 이유는 '공식'이라는 말 때문입니다. 각계각층 다취향의 사람을 상대해야 하는 것이 '공식'의 숙명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용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보수적인(나쁜 의미가 아닙니다) 결정이 필연적이지 않을까요? 물론, 사용자가 선택해야 할 문제겠지만 '공식'이라는 말이 붙는 것은 의미가 다릅니다. 누구든 쓸 수 있고 안 써도 그만이고 쓰는 경우 문제가 없을 때 '공식'이라는 타이틀이 붙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CSS로 조절한다는 소리는 CSS를 끄면 드러난다는 말이고, CSS를 사용하지 않는 유저는 불쾌한 화면을 접하게 된는 의미입니다. 이 경우, 이 사용자가 욕을 하는 것은 서비스 주체가 됩니다. 블로거는 서비스만을 이용하는 것 뿐이니까요. 행여 블로거를 욕한다고 해도 블로거는 '내가 올렸나? 쓰라고 올린 것을 쓰는 것 뿐'이라고 하면 그만입니다.
사용자 측에서는 여러가지가 올라오면 좋겠지만 운영자 측면에서는 상황이 많이 달라진다는 점을 의식해 주셔야 합니다. 사용자는 운영자 한 명만 상대하면 되나, 운영자는 다수의 사용자를 상대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곧 다수의 사용자의 공통기호를 찾아야 한다는 말이고, 그 만큼 운영자의 선택의 폭은 제한될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라이트박스 플러그인이 인기 플러그인인 만큼, TnC에서 여러 사용자를 고려한 다른 형태로 제작하는 편지 낫지 않은가 합니다. CSS를 비롯한 접근성을 고려해서 제작하는 것이 그다지 어렵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graphittie (2006-05-27 17:00:43)에 의해 마지막으로 수정
제 말을 오해하지는 마시고... 저도 tistory가 잘 되기를 바라는 사람이니 좋은 의도로 하는 소리입니다. 쓰지 말라는 게 아니고 새로 제작하자입니다.
제가 현존하는 라이트박스 플러그인에 딴지를 거는 이유는 '공식'이라는 말 때문입니다. 각계각층 다취향의 사람을 상대해야 하는 것이 '공식'의 숙명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용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보수적인(나쁜 의미가 아닙니다) 결정이 필연적이지 않을까요? 물론, 사용자가 선택해야 할 문제겠지만 '공식'이라는 말이 붙는 것은 의미가 다릅니다. 누구든 쓸 수 있고 안 써도 그만이고 쓰는 경우 문제가 없을 때 '공식'이라는 타이틀이 붙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CSS로 조절한다는 소리는 CSS를 끄면 드러난다는 말이고, CSS를 사용하지 않는 유저는 불쾌한 화면을 접하게 된는 의미입니다. 이 경우, 이 사용자가 욕을 하는 것은 서비스 주체가 됩니다. 블로거는 서비스만을 이용하는 것 뿐이니까요. 행여 블로거를 욕한다고 해도 블로거는 '내가 올렸나? 쓰라고 올린 것을 쓰는 것 뿐'이라고 하면 그만입니다.
사용자 측에서는 여러가지가 올라오면 좋겠지만 운영자 측면에서는 상황이 많이 달라진다는 점을 의식해 주셔야 합니다. 사용자는 운영자 한 명만 상대하면 되나, 운영자는 다수의 사용자를 상대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곧 다수의 사용자의 공통기호를 찾아야 한다는 말이고, 그 만큼 운영자의 선택의 폭은 제한될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라이트박스 플러그인이 인기 플러그인인 만큼, TnC에서 여러 사용자를 고려한 다른 형태로 제작하는 편지 낫지 않은가 합니다. CSS를 비롯한 접근성을 고려해서 제작하는 것이 그다지 어렵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오해하지는 않았습니다. ^^ 새로 제작하자 라는 말씀도 마지막에 하셔서 알고 있습니다. 다만, 새로 제작되기 전엔 사용할 수 없다 라는 말을 하는 겁니다. 그 새로 제작된다는 건 언제 제작될 지 모르니, 현재 태터에서 라이트박스를 사용하는 블로거가 티스토리로 이전했을 경우 기존의 라이트박스 를 사용할 수 없다 라는 말을 할려는 것 입니다.
플러그인은 티스토리 유저가 아닌 태터 유저가 만들지요. 그 중에서 괜찮은 걸 티스토리로 끌어오는 방식이고.. 그렇다고 태터 유저가 티스토리의 공식(?) 에 맞게 플러그인을 제작하지는 않을 겁니다. 결국 태터 유저의 플러그인을 공식적으로 만드는 건 TnF의 몫일 거라 생각듭니다. ^^;;;
그리고, 저는 html 나 css 를 몰라서 그러는데... css 를 끌 수도 있습니까? 현재 태터에서?
유마 (2006-05-27 18:35:48)에 의해 마지막으로 수정
그리고, 저는 html 나 css 를 몰라서 그러는데... css 를 끌 수도 있습니까? 현재 태터에서?
브라우저에서 끌 수도 있을거에요. 파폭이나 오페라는 알겠는데 IE가 돼는지 안 돼는지는...
딘제 (2006-05-28 10:18:54)에 의해 마지막으로 수정
유마 작성:그리고, 저는 html 나 css 를 몰라서 그러는데... css 를 끌 수도 있습니까? 현재 태터에서?
브라우저에서 끌 수도 있을거에요. 파폭이나 오페라는 알겠는데 IE가 돼는지 안 돼는지는...
네 css 를 끄는것은 극소수의 사이트에서 지원하기도 하지만 보통 브라우저에서 끕니다. 파이어폭스, 오페라등의 브라우저에서 가능하며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Add-on 을 써야 가능합니다. Developer's Tool 이라는 add on 을 다운받으시면 가능합니다. 생각해 보니 IE7 도 이부분은 첨가하지 않았군요. ㅡ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