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제: 태터&프렌즈의 운영방안

Tatter&Friends 의 역할과 범위에 대해서 빌드업을 하고 있습니다.. 잠시 저녁약속이 생겨서 나갔다 오기 전에 일단 지금까지의 작업을 공유해둡니다. 여러분들의 커멘트를 참고해서 오늘 밤안으로 빌드업을 끝내겠습니다.


Tatter&Friends ( 이하 TNF )
TNF 활동범위
Manual 의 작성 : www.tattertools.com/ko/manual 위키의 update 작업에 참여하며, TNF 의 참여의사가 있으시면 누구나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Manual 작업은 FAQ 의 작성, Tattertools 의 국제판 작업을 위한 영어/중국어/일본어 등 기타언어권에 대한 지원을 해주실 수 있습니다.
Bug Reporting 및 기능개선 요청 수렴  : Support 게시판에 올라오는 내용들을 취합하여 정리된 형태로 TNF Forum 에 이슈제기를 해주시는 역할입니다. 일반 사용자들이 자주 보고하는 버그나, 기능개선 요구를 취합하여 TNF 에 등록토록 하여, 궁극적으로 태터툴즈가 개선될 수 있도록 도와주시는 역할입니다.

TNF 의 참여는 자유입니다.  TNF 의 활동에  따라서 Reporter , Developer 의 지위를 갖으시게 됩니다. Reporter 는 TNF 활동을 통하여 태터툴즈의 기능기획에 직접적으로 참여가 가능하실 정도의 활동력을 지니신 분들을 대상으로 하며, Developer 가 되시기 위해서는 반드시 거치셔야 하는 과정입니다. 얼마동안 거쳐야 한다는 조건같은 건 물론 없습니다. 열정과 참여, 성과로 모든 것을 이야기 하는 것이 오픈소스 개발관행입니다. Developer 는 태터툴즈의 개발을 이끌어온 Tatter&Company 의 모든 구성원이 가지는 지위를 동등하게 갖습니다. 심지어 상업적인 성공에 대한 보상마저도  공유하는 지위입니다.  ( Google AdSense 와는 비교도 안되게 Profitable 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많은 참여.. 여기서 한번 강조해주는 센스^^ ) Reporter/Develper 는 다음과 같은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    Developer : dev.tattertools.com 의 모든 권한을 이용가능 합니다.
- Wiki 의 추가/편집
- Ticket 의 추가/편집
        - Roadmap 의 추가/편집
- 개발트리원본 commit 권한
    •    Reporter : 원본트리수정을 제외한 모든 권한을 이용가능 합니다.
- Wiki 의 추가/편집
- Ticket 의 추가/편집
- sandbox개발트리 commit 권한

<Bug Reporting 체계>
1. 일반유저들은 tattertools.com 의 Support 게시판의 ‘버그리포트’ 게시판을 통하여 버그를 최초리포팅 합니다. ( ‘버그리포트’ 게시판을 통하지 않은 비공식적인 리포팅은 접수되지 않습니다.  blog.tattertools.com 의 댓글이나 방명록 등에 올리시는 버그관련 리포팅은 접수되지 않으니 일반유저분들은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리포팅하신 버그는 TNF 의 전문가들에 의해서 분석되게 됩니다. 이 과정은 정확히 태터툴즈의 문제인가? 사용하고 있는 환경의 문제인가? 아니면 제3의 요소에서 기인한 문제인가의 기준으로 나누어지게 됩니다. 태터툴즈의 문제인 경우 2단계로 넘어가며, 그렇지 않은 경우는 FAQ 에 취합되거나, 채택되지 않습니다. 아울러, 버그 보고시 ‘갑자기 익스플로러가 죽어요..왜그렇죠 ?’ 이런 애매한 리포팅은 채택되기가 매우 힘들다는 점을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어떠한 환경을 사용하고 있으며, 어떠한 기능을 동작중에, 어떠한 오류가 발생한다라는 원칙에 입각하여 최대한 많은 정보를 리포팅 하여주시면 되겠습니다.
2. 확실하게 재현가능한 버그인 경우, TNF 는 이를 Forum 에 이슈화하여 버그를 추적합니다.
3. 확실하게 버그의 원인이 파악된 경우, 이는 dev trac 에 ticket 의 형태로 등록됩니다.
4. 등록된 ticket 이 적절한  Roadmap 에 배정되게 됩니다. 즉, ‘에디터의 사소한 오류’ 와 같은 가벼운 버그들은 바로 다음 배포판에서 해결되게 되며, ‘
5. 적절한 Roadmap 이 없을시에는 새로운 Roadmap 을 등록하여 ticket 을 등록합니다.
6. 등록된 Ticket 은 Roadmap 에 맞추어 Reporter/Developer 들이 처리하도록 합니다.

<Tattertools 기능개선 반영체계>

1. 일반유저들이  Support 항목에 요청하는 부분을 포함하여 TNF의 포럼에서 토론이 이루어지며, Reporter 이상의 권한을 가진 TNF 구성원이 dev.tattertools.com 의 위키에 정리합니다.
2. 정리된 내용은 Wiki 를 통해서 Reporter/Developer 사이에서 토론이 이루어지고, 개선안으로 채택되면 trac 을 통해서 Ticket 으로 등록되고 적절한 Roadmap 으로 배정됩니다.
3. 적절한 Roadmap 이 없을시에는 새로운 Roadmap 을 등록하여 ticket 을 등록합니다.
4. 등록된 Ticket 은 Roadmap 에 맞추어 Reporter/Developer 들이 처리하도록 합니다.

2

답글: 태터&프렌즈의 운영방안

chester 작성:

<Bug Reporting 체계>
1. 일반유저들은 tattertools.com 의 Support 게시판의 ‘버그리포트’ 게시판을 통하여 버그를 최초리포팅 합니다. ( ‘버그리포트’ 게시판을 통하지 않은 비공식적인 리포팅은 접수되지 않습니다.  blog.tattertools.com 의 댓글이나 방명록 등에 올리시는 버그관련 리포팅은 접수되지 않으니 일반유저분들은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리포팅하신 버그는 TNF 의 전문가들에 의해서 분석되게 됩니다. 이 과정은 정확히 태터툴즈의 문제인가? 사용하고 있는 환경의 문제인가? 아니면 제3의 요소에서 기인한 문제인가의 기준으로 나누어지게 됩니다. 태터툴즈의 문제인 경우 2단계로 넘어가며, 그렇지 않은 경우는 FAQ 에 취합되거나, 채택되지 않습니다. 아울러, 버그 보고시 ‘갑자기 익스플로러가 죽어요..왜그렇죠 ?’ 이런 애매한 리포팅은 채택되기가 매우 힘들다는 점을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어떠한 환경을 사용하고 있으며, 어떠한 기능을 동작중에, 어떠한 오류가 발생한다라는 원칙에 입각하여 최대한 많은 정보를 리포팅 하여주시면 되겠습니다.
2. 확실하게 재현가능한 버그인 경우, TNF 는 이를 Forum 에 이슈화하여 버그를 추적합니다.
3. 확실하게 버그의 원인이 파악된 경우, 이는 dev trac 에 ticket 의 형태로 등록됩니다.
4. 등록된 ticket 이 적절한  Roadmap 에 배정되게 됩니다. 즉, ‘에디터의 사소한 오류’ 와 같은 가벼운 버그들은 바로 다음 배포판에서 해결되게 되며, ‘
5. 적절한 Roadmap 이 없을시에는 새로운 Roadmap 을 등록하여 ticket 을 등록합니다.
6. 등록된 Ticket 은 Roadmap 에 맞추어 Reporter/Developer 들이 처리하도록 합니다.

아... 어떤 방향인가를 확실히 알겠습니다. ^_^a

3

답글: 태터&프렌즈의 운영방안

TNF의 역활에 대해 어느정도 방향이 잡힌것같네요 ^^

단, 열정과 성과에 대한 부분을 어떻게, 어느 누가 판단하느냐에 대한것이 약간은 애매한듯 싶습니다.

테터의 모든 사용자분들과 TNC의 현재 구성원들께서 같이 결정하실거라 생각은 합니다만...

Catch the flow~

4

답글: 태터&프렌즈의 운영방안

Commitor에 레벨을 부여하시는 것이군요....
코드를 직접 건드리는 Guru급 Commitor, 코드를 건드릴 내공이 되지않으면 Guru를 지원해주는 Suppot Commitor....

잠수...

5

답글: 태터&프렌즈의 운영방안

JCrew 작성:

TNF의 역활에 대해 어느정도 방향이 잡힌것같네요 ^^

단, 열정과 성과에 대한 부분을 어떻게, 어느 누가 판단하느냐에 대한것이 약간은 애매한듯 싶습니다.

테터의 모든 사용자분들과 TNC의 현재 구성원들께서 같이 결정하실거라 생각은 합니다만...

네... TNF 내부에서 커미티를 만들어야죠..
TNC 가 결정하면 너무 상업적일뿐더러 우습지요..
좋은 의견있으시면 제안해주십시오.. 저도 생각하던 안들을 정리해 올리겠습니다.

6

답글: 태터&프렌즈의 운영방안

설명을 제대로 해주셨습니다. 이제 이해가 확실히 되네요.
아이디어 게시판은 어떻게 운영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여기 가입할때 아무나 가입할 수 있는데, 허가제라도 있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7

답글: 태터&프렌즈의 운영방안

김종찬 작성:

설명을 제대로 해주셨습니다. 이제 이해가 확실히 되네요.
아이디어 게시판은 어떻게 운영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여기 가입할때 아무나 가입할 수 있는데, 허가제라도 있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네 조만간 허가제로 변경할 예정입니다..  아이디어 게시판역시 특별한 형식은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의견을 개진하고, 토론을 통해서 고도화되는 방식이 좋은 것 같습니다.
제로보드, 블로그, 위키 다양한 의견이 나왔습니다만, 포럼비비형태가 가장최적이라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예젤르 보여줄 수 있는 것들을 지속적으로 만들어 나가보도록 하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