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외부스킨용 언어파일의 분리
현재 언어 파일은 language 디렉토리 안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이 언어파일을 설정하는 곳은 "관리자 화면|환경설정" 부분입니다. 그러나, 여기서 언어 설정이 가능한 것은 한 가지 경우임에도 불구하고, 여기서 결정된 언어 파일은 외부 스킨과 관리자 화면 두 곳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구조상 "한글 스킨"을 사용하는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중국어 관리자 화면"을 사용할 수 있는 것처럼 외부 스킨과 관리자 화면은 언어적으로 분리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 현재는 이 둘의 언어 설정을 관리자 화면에서 한 가지 설정으로 일괄적으로 통제하고 있습니다.
이에 문제가 되는 것이 외부 스킨에서 볼 수 있는 자바스크립트 메세지입니다. 예를 들어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라는 메세지를 보겠습니다. 이 문자열은 getCommentView() 함수에서 생성됩니다. 적용되는 영역은 스킨에서 주로 "트랙백 (10) | 댓글 (3)"으로 표시되는 부분입니다. "관리자 화면|글관리|새 글 쓰기"에서 "댓글 입력을 허용" 체크박스를 언체크한 상태에서 저장된 포스트에서 앞의 부분(댓글(3))을 클릭하면 뜨는 자바스크립트 alert 메세지입니다. 이 메세지 역시 language 디렉토리 안의 언어 파일에서 번역되기 때문에 "중국어 관리자 환경의 한글 스킨 블로그"에서 이 메세지를 받으면 "无法使用评论"라고 뜹니다. 제대로 되지 못한 구현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언어 리소스 중 외부 스킨에 적용되는 메세지 부분만 걸러내어 따로 파일로 묶고, "관리자 화면|스킨관리" 부분에서 이 언어파일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블로그에 표시되는 메세지의 언어를 다음으로 설정합니다.
- 한국어
- 중국어
- 일본어
...
지금 현재 언어 리소스는 전부 _t() 함수와 _f() 함수를 통하게 되어 있는데, 외부 블로그에 표시되는 메세지는 _tx() 함수나 _fx() 함수를 통하게 하던가(함수명은 가칭입니다), 현재 _t('문자열'), _f('문자열') 식으로 되어 있는 사용법에 _t('문자열', 'external'), _f('문자열', 'external')처럼 매개변수를 하나 더 추가하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
의견 부탁드리겠습니다. 구현하게 된다면 총대는 제가 매갰습니다.
graphittie (2006-07-01 21:13:01)에 의해 마지막으로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