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skin.html을 skin.php로 변경하면 어떨까 싶습니다.
그렇게 한다면 php코드 사용으로 스킨이 좀 더 다이나믹해지는데 기여하지 않을까 싶네요..
아직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로그인 또는 회원 등록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
TNF : Tatter Network Foundation forum » 버그 보고 및 QA (Quality Assurance) » skin.html을 skin.php로 변경하면 어떨까 싶습니다.
그렇게 한다면 php코드 사용으로 스킨이 좀 더 다이나믹해지는데 기여하지 않을까 싶네요..
그렇게 한다면 php코드 사용으로 스킨이 좀 더 다이나믹해지는데 기여하지 않을까 싶네요..
네 그런 의견이 있었습니다만 ^^^ 저희는 계속해서 기술을 숨겨갈 생각입니다.
일반사용자분들을 위해서 기술을 아시는 분들이 조금더 희생해주시는게 옳을것 같아요 ^^
skin.php 가 아닌 skin.html 이어서 가능하게 된 것들도 많거든요.. 예를 들면... 스킨제작에 있어서 큰 두려움은 안생긴다.. 뭐 이런것들요 ? 일반사용자분들한테는 php 뿐만 아니라 html 도 사실 엄청난 기술인 경우가 많더라구요.
''기술적으로 말도 안된다.!!'' 라는 의견도 만만치 않습니다만, 철학의 문제인것 같습니다. ![]()
앞으로도 skin.html 을 넘어서서 더더욱 편해지는 것이 목표입니다.
php code 는 plug-in 을 이용해 주시기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아마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입니다...
구조상 불가능하며 일부러 불가능하도록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
(클래식 버전부터 초창기에 비슷한 건의가 아주아주 많았더랩니다)
대부분의 스킨제공 웹 페이지들이 그렇듯이, 스킨파일은 확장자는 .html이지만, 실제로는 태터 내부의 skin parser를 거쳐 치환자들이 해석되고 출력됩니다. 일종의 입력 파일이죠. (예를 들어, 서버에서 html파일도 php해석기로 해석하도록 수정한 후에 skin.html 안에 php코드를 집어넣는다고 해도 태터의 parser가 스킨에 추가한 php 코드를 해석하지 않습니다.) 그렇게 한 이유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만, 지금은 보안상의 문제가 제일 클겁니다. (다중 사용자용 블로그인 경우 완전히 블로그 서버측의 대문을 열어놓는 셈이 됩니다.)
사실 스킨 확장자가 .ttskin이라든지 .tsk라든지라도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하지만 .html 확장자를 유지함으로써 태터에 굳이 적용을 시키지 않아도 웹 문서 편집기에서 쉽게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거나 드림위버나 나모웹에디터, nvu로 수정할 수 있다는 점이 유리해지기 때문에 그냥 유지하는 것 뿐일겁니다.
(물론 하위버전 호환성도 있겠죠
)
답글 길게 쓰는 새에 chester님이 먼저 답글 다셨네요 ![]()
답글 길게 쓰는 새에 chester님이 먼저 답글 다셨네요
답변도 위키로 하면 재밌겠다라는 생각이 드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