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3에서 fix되었네요!
---------

-----
1. flash 설치 확인
2. 플러그인 사용 활성
-----

아 그렇군요. 다음 버젼에서 꼭 수정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지적한대로 백압 xml의 개별 포스트 영역에는 카테고리가 반영되어 있지만 시작 부분인 카테고리의 고유 영역에 값이 누락되어있어, 임시 방편으로 카테고리가 변경되지 않었다면 이전 1.7.8 백압의 카테고리 영역만을 copy하여 1.8.2에 paste 후 복원시 정상 작동됩니다.

이 카테고리 누락은 작년 말부터 이미 7주나 숙성된 버그로 Changeset 8243을 시작으로 02/02/10까지 진행되었는데 상황이 종료된 것인지 아니면 진행중인지 그리 단순해 보이지만은 않아 보입니다.

버그트랙
Changeset 8243 (http://dev.textcube.org/changeset/8243)
Changeset 8397 (http://dev.textcube.org/changeset/8397)
Changeset 8398 (http://dev.textcube.org/changeset/8398)

소스: Textcube 1.8.2 : Secondary dominant
작업: 데이타 복원/이전
대상: 티스토리 + 텍스트큐브닷컴
문제: 복원 후 분류 정보 누락, 모든 글이 분류없음으로 지정됨.
상황: Textcube 1.8.2 : Secondary dominant의 데이타를 백업한 후 티스토리 또는 텍스트큐브닷컴에 복원하면 제기된 문제 발생.
의문: 상기 문제는 개별 환경에 따른 국소적인 것인지, 의도된 결과인지, 복원 대상 호스트들이 대처/포용해야 할 이슈인지...?

로그인 문제 해결:

centos에서는 문제가 없는데 debian계열/우분투 (karmic 9.10)에서 1년 이상된 bug의 patch가 아직 반영되지 않었군요. 설치되면 당연히 활성화 되어야할 것이... 수정후(ENABLE_MEMCACHED=yes) 로그인 문제는 사라졌읍니다. windows 2008 서버에서와 유사하게 memcached.exe 서비스가 정지된 상태에서 TC의 config.php에서 memcached를 활성화 하면 로그인되지 않었든 것으로 기억됨니다.

{
Package: memcached
Version: 1.2.2
Tags: patch

memcached should be able to be installed, but not enabled by default. The enclosed patch modifies /etc/init.d/memcached to read /etc/default/ memcached and not startup unless ENABLE_MEMCACHED is yes.

diff -uNrb -x CVS -x '*~' -x '*.o' memcached-1.2.2.orig/debian/ memcached.default memcached-1.2.2/debian/memcached.default --- memcached-1.2.2.orig/debian/memcached.default 1969-12-31 16:00:00.000000000 -0800 +++ memcached-1.2.2/debian/memcached.default 2008-02-24 12:59:00.000000000 -0800
@@ -0,0 +1,2 @@
+# Set this to yes to enable memcached.
+ENABLE_MEMCACHED=no
diff -uNrb -x CVS -x '*~' -x '*.o' memcached-1.2.2.orig/scripts/ memcached-init memcached-1.2.2/scripts/memcached-init --- memcached-1.2.2.orig/scripts/memcached-init 2008-02-24 13:01:45.000000000 -0800 +++ memcached-1.2.2/scripts/memcached-init 2008-02-24 12:56:17.000000000 -0800
@@ -24,11 +24,19 @@

set -e

+# Edit /etc/default/memcached to change this.
+ENABLE_MEMCACHED=no
+test -r /etc/default/memcached && . /etc/default/memcached
+
case "$1" in
   start)
        echo -n "Starting $DESC: "
+       if [ $ENABLE_MEMCACHED = yes ]; then
        start-stop-daemon --start --quiet --exec $DAEMONBOOTSTRAP
        echo "$NAME."
+       else
+               echo "$NAME disabled in /etc/default/memcached."
+       fi
        ;;
   stop)
        echo -n "Stopping $DESC: "
}

[##_article_rep_date_modified_##]

그동안 [##_article_rep_microformat_updated_##] 으로 대용하고 있었는데 드디어 반영되었군요. 감사합니다.

1.82에 memcached가 활성화 될 경우의 질문 2개.
(환경: 서버box의 gui에서 testing/debian+centos/opera+firefox/qualifed DNS pointing to localhost box)

1) 1.7x에서 eaccelator+apc  적용에 별 무리가 없었는데,
1.8x에서는 memcached+xcache+zendoptimizer 조건에 상기 조합보다 빠른 느낌이 드나
문제 하나는 로그인하면 다시 로그인 페이지로 돌아와 dashbord에의 접근이 않됩니다.
따라서 로그인이 필요할때 마다 config.php에서 memcached를 비활성하게 되는 반복 작업이
계속되어 혹시 이와 유사한 문제점/해결책이 보고되었는지 문의.

(서버box의 gui에서 testing되어 그러는지? 서버가 아닌 다른 PC에서 로그인 시도를 아직 않해보아서..
윈도우2008서버에서는  Zend Optimizer가 php5.3 버전이 없어 memcached+xcache 상황에
TC의 페이지cache를 비활성화하여야만 로그인 되었든 것으로 기억됩니다.)

2) memcached 활용 예로써 서버에 2개 이상의 TC가 운영될때 config.php에 적용될 수 있는
$memcached['server'] 의 올바른 syntax의 예를 들어 주십시요.

하나더

3) php.ini에서 'session.save_handler'의 성공적 활용 예?

default인
'session.save_handler = files'
;session.save_path =

아니면

session.save_handler = memcache
session.save_path = "tcp://localhost:11211?persistent=1&weight=1&timeout=1&retry_interval=15"

와 같이 files 대신 memcache와 path의 지정?. 현재 후자에 에러가 나와서 default로 이용.

1.8x부터 TC에서 memcached의 정식 지원을 위해 준비된 테스트 결과가 있으리라 보고 여기에 최적화된 개발 환경의
변수들이 궁금합니다.

[문제]
엔트리 페이지 범위 내에서 생성된 Named Anchor가 첨부된 full url 접속시
1) 브라우저상에서 정상 작동
2) html view 에서 404에러 발생

[상황]
특정 개별 포스트(에트리id=111)에 목차 작성을 위해 아래의 형식으로 Named Anchor를 생성하고
<a name="anchorname">text to be linked</a>

페이지 내에서 anchor로의 이동이나
브라우저 주소란에 mydomain.com/111#anchorname 으로 직접 접속하면 anchor의 위치로 정상 이동하지만

HTTP request viewer인
http://www.rexswain.com/httpview.html 에서 상기 문제의 anchor가 첨부된 가상주소를 확인하면
페이지 존재하지 않는다고 HTTP/1.0·404·Not·Found가 출력됩니다.

url에 anchor가 첨부되어도 페이지 전체가 출력되고 헤더의 상태도 HTTP/1.1·200·OK로 반응하는 것이 정상이 아닌지요.

TC에서 지원하는 접속 통계와 검색엔진 관련 질문입니다:

#1 텍스트큐브 소스에서 검색엔진의 종류나 세션에 대한 통제를 하는 부분이 있나요.
#2 없다면 방문자/접속 통계에 계산되는 근거는 각종 검색에진을 포함하는 것인지요.
#3 있다면 제어 가능한 tc 소스 파일과 영역은 어디인지요.
(상용/공개 접속통계 프로그램 제외)

브로그의 이용 목적에 따라서 일반 기사에서 볼 수 있는 입력과 수정/편집을 출력함으로 특히 날짜에 민감하게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 글은 상당한 혜택을 얻을 수 있다고 봅니다. 이 경우 날짜의 갱신기능을 적용하면 뿌리를 손실하게 되고 글 전체 내용이 와전되어 어긋날 수 있어 추후 버젼에 수정날짜를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면 감사하겠읍니다.

각 포스트에 입력과 수정된 날짜를 함께 보이려 하는데
입력날짜는 skin.html에 [##_article_rep_date_##] 이고
수정날짜는 해당 코드가 있는지요?

::

수고 + 감사합니다

::

1.6.2부터 태그와 카테고리 주소에서 '숫자'를 적용하였읍니다.

[문제 - 카테고리 주소 숫자/문자 혼선]

1) 각 포스트별로 출력되는 해당 분류는 문자 주소가 나옴
2) 한편 사이드바의 분류 리스트에는 숫자로 정상 출력됨
3) 태그는 포스트와 사이드바에서 모두 숫자로 정상 출력

[환경]

# 1.5.4 --> 1.6.2 업그레이드
# 분류제목char: 한글
# 스킨: coolant
# 플러그인: off

참고로 CheckURL  on/off, 그리고 스킨의 종류에 영향 없는 듯 함

감사합니다. 기본스킨에 있는 것을 괸실히 엉둥한 곳에 삽질을 하였읍니다.

포스트가 삭제된 후 요청되어 뜨는 '존재하지 않는 페이지입니다' 의 수정방법이 궁금합니다. 사용하고 있는 스킨에서는 색상때문에 글씨를 전혀 읽을 수 없읍니다.

<div id="content">
      <div style="text-align:center;font-size:14px;font-weight:bold;padding-top:50px;margin:50px 0;color:#333;background:url(/image/warning.gif) no-repeat top center;">존재하지 않는 페이지입니다.</d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