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제목과 fancy url을 위한 제목이 따로 있는 것처럼 분류도 그렇게 하면 좋을 거 같습니다.
실제 분류는 숫자 표시를 할 수 없으니 주소에 신경쓰시는 분들은 영문 제목으로 분류를 만들고 치환자 대신 직접 링크를 적으시는 거 같기도 하고요. 필요할 거 같습니다.
아직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로그인 또는 회원 등록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
TNF : Tatter Network Foundation forum » ataiger가 작성한 글
페이지 1
글 제목과 fancy url을 위한 제목이 따로 있는 것처럼 분류도 그렇게 하면 좋을 거 같습니다.
실제 분류는 숫자 표시를 할 수 없으니 주소에 신경쓰시는 분들은 영문 제목으로 분류를 만들고 치환자 대신 직접 링크를 적으시는 거 같기도 하고요. 필요할 거 같습니다.
Textile로 글을 쓰려는데 이전에 TTML로 작성한 글들도 제대로 보이게 하기 위해서 TTML과 Textile 플러그인을 둘 다 활성화 시켜 놓으면 새로 글을 작성할 때 TTML이 선택됩니다.
기본 포매터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하나 더
HTML 모드에서 입력한 "<hr />"이 위지윅이랑 왔다갔다하면 "<hr>"로 바뀌어요.
Firefox에서 확인했습니다.
아, 그렇군요. 앞으로는 글 쓰기 전에 검색을 잘 해봐야겠습니다.
제 첫 글의 아래 두 문제도 잘 아시는 분이 티켓으로 등록해주시면 좋겠어요.
1.6 정식 릴리즈 전에 수정될 수 있으면 좋겠네요.. 전 실력이 안 되는지라^^;;
제가 문제들을 확인한 버전은 TC 1.5.4입니다.
입력되는 html 코드가 Firefox와 IE에서 조금씩 다르네요.
- Firefox에서 에디터 플러그인 설정에서 엔터 입력에 <p> 태그로 문단 구분하게 하는 설정이 먹지 않고요.
- Firefox, html 모드에서 "<p>내용</p>"으로 하나 직접 써 주면 위지윅 에디터에서 엔터로 새로운 <p></p> 블럭을 만들 순 있는데 엔터를 연속해서 치거나 하면 중간에 <br /> 태그가 삽입되기도 하네요. IE에서는 그렇지 않은데.
- Firefox에선 html 코드에 <p> 앞 줄넘김이 되지 않아요. IE에서는 <p> 앞에서 줄넘김이 되고. 줄넘김이 되는 게 html 코드 볼 때 훨씬 좋은 것 같습니다.
- IE에서 위지윅 에디터를 쓸 때 <p>, <br /> 등을 <P>, <BR /> 이렇게 대문자로 쓰던데 XHTML 1.0 strict validation에 걸리는 것 같습니다. 이왕이면 소문자로 쓰는 게 좋을 것 같네요.
작은 문제들인데 해결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수고하세요.
텍스트큐브를 처음 설치했을 때 너무 심심하지 않아서 좋지만
중요하지 않은 기능들은 플러그인으로 빼는 게 좋을 것 같아요.
core만 설치해도 벌써 gallery.js, clipboardPoter.swf, feeder 같이
이것저것을 페이지 로드할 때마다 요청하게 되네요.
특히 clipboardPoter.swf 같은 건 덩치도 큰데 전 쓸 일이 없어요. 대단한 기능도 아닌데..
없애려면 텍스트큐브 코어 파일을 번거롭게 살펴봐야 하고요.
좀 더 가볍게 만드는 게 좋지 않을까요??
Textcube의 캐시 갱신 문제는 1.5.4에서도 여전한 것 같습니다.
글 제목을 수정에도 글 목록 캐시를 갱신하지 않아 문제가 생기네요.
시나리오는,
분류에서 전체를 선택해서 글 목록 보기
글 하나 선택해서 제목 수정하고 저장
다시 분류에서 전체 선택해서 글 목록 보기
제 블로그에서는 이렇게 하면 제목 변경이 반영되지 않습니다.
checkup을 실행해서 캐시를 지워야지 반영되네요. 조금 오래 기다려도 갱신되는 것 같습니다.
캐시가 갱신되는 조건이 정확히 무엇인가요?
제목 목록 출력 문제는 #706티켓에서 수정된 것 같네요. http://dev.textcube.org/ticket/706
그런데 1.5.4에는 반영이 안 되었나요? 1.5.4를 쓰는데 여전하네요.
제목에 '<', '&' 등이 있으면 해당되는 html code로 바꾸지 않고 DB에 그냥 저장하니 영화 제목 등을 제목에 "<Matrix>" 이런 식으로 쓰면 제목 목록 출력이 제대로 출력되지 않는 문제가 생겨요. WordPress는 html entity로 저장합니다.
글 내용의 특수문자는 위지윅 에디터에서 '<', '&' 등으로 저장하는데 말이죠.
버그 같기도 하네요.
index.xml의 contentWidth에 맞추어 알아서 정확히 들어가는 걸로 알고 있었는데 조금 이상해요.
실제 article의 폭이 500px이 확실한데 FF나 IE 모두 폭이 제대로 맞질 않네요. 실제 출력이나 위지윅에디터 출력(기본 wysiwyg.css 고친 것) 두 개를 글꼴 등 다 같게 만들어주고 contentWidth에 500을 적고 스킨을 다시 설정하면 FF사용시 위지윅 에디터에서 iframe 폭이 564px가 나오는데 줄 넘어가는 걸 보면 폭이 일치하질 않아요.
(FF 2.0.0.8, IE 7)
Firebug로 조금 바꾸어가면서 시험했더니 제 FF에서는 iframe 폭이 537px, 그러니까 contentWidth가 473일 때 실제 스킨에서의 article 폭인 500px에 맞게 정확히 출력됩니다. 이렇게 설정했을 때 IE에서는 또 위지윅 에디터 쪽이 조금 더 넓네요.
wysiwyg.css는 default-wysiwyg.css에 글꼴 설정만 바꾸었을 뿐입니다. 글꼴은 그냥 sans-serif, 크기 0.8em이고 출력도 폭을 제외하면 다 같은데 왜인지 모르겠어요.
텍스트큐브 1.5.3.1 입니다.
전버전에 있었고 수정된 문제라고 어디서 보았던 것 같은데 저는 1.5.3.1에서도 캐시 갱신 문제가 있는 것 같아요.
다른 기능은 안 써서 모르겠지만 제일 눈에 띄는 건, 날짜가 바뀌어도 그 전날의 글 목록 캐시가 남아있어서 전날 쓴 글의 작성일이 전날의 날짜가 아닌 시간으로 뜨는 것과 같은 문제가 있네요. 그리고 스킨을 조금 수정해도 캐시가 갱신되지 않아서 그런지 글 목록 같은 부분은 수정된 게 바로 적용되지가 않는데 전버전의 TT에서도 원래 그랬었나요??
글을 표시하는 화면의 <> bracket은 제대로 표현되지만 글 목록을 출력할 때 <>안에 영어만 들어가 있으면 그냥 없어지네요. HTML 태그로 읽고... 수정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맞는 곳에 글을 쓰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blog)/feeder/index.php
아마도 GetRemoteFeed라는 이벤트와 관련된 것 같은데.. 그럼 태터툴즈 내부 웹 RSS 리더와 관련된 건가요? Textcube 1.5.3을 사용중인데 페이지를 웹브라우저에 띄울 때 이게 매 페이지마다 로드되면서 시간을 가장 많이 잡아먹네요. 웹브라우저의 페이지 로드 시간에는 안들어가지만 Firebug로 보면 1초 정도 항상 떠요. 페이지 로드 시간하고 관련없이 TT의 RSS 리더와만 관련된 것이라면 이걸 안 쓰는 사람은 로드하지 않도록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뭐... 서버 부담도 조금은 줄지 않을까 싶고요.
음... 1.5.3.1로 올렸더니 feeder 시간이 200~300 ms 정도로 짧아졌네요. 왜인지는 모르겠지만..
제가 글을 좀 이상하게 쓰긴 했네요.:/
태터툴즈 1.1.1을 쓰고 있는데 원본크기와 글에서의 크기가 같은데도 리샘플링을 켜면 리샘플링을 하네요. jpg 이미지고요.
그리고 리샘플링 기능과 관련해서 한가지 더 이야기 하자면 기본으로 리샘플링을 사용하게 해 두었을때, 워터마크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삽입되는 이미지들 중 크기가 본문 폭에 맞춰 줄어들지 않는 이미지는 리샘플링을 기본으로 사용하지 않도록 체크되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미지 품질이 많이 떨어지니까요.
제목을 어떻게 적어야 하는지 모르겠네요.
저의 경우에는 이미지 리샘플링과 관련된 체크박스에 체크를 하면 넣는 모든 이미지가 기본으로 리샘플링 체크되고 작동하는데 체크박스를 풀면 기본으로 리샘플링 체크가 되지 않고 작동하지 않습니다. 기본으로 새로 넣는 이미지에 리샘플링을 꺼 놓는 것은 좋은데 그 이미지의 설정에서 리샘플링 체크를 해도 리샘플링이 되지 않네요. 그러니까 블로그 설정의 리샘플링 체크박스가 리샘플링을 '아주' 끄고 켜는 것 같은데 원래 이렇게 작동하는 것인지요?
그리고 만약 원래 이렇게 동작하는 거라면 이 기본 설정의 체크박스를 새로 삽입하는 이미지의 기본 설정에만 영향을 주고 이미지 설정에서 리샘플링 체크를 하거나 하면 동작하게 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죄송합니다만... 오페라는 비표준 덩어리입니다. 오페라에 특화된 코드를 넣어주려면 넣어줄 수도 있겠지만, 으음... 그건 좀 더 고민해 봐야겠군요. 비표준을 지원하는 것은 각개격파를 해야 한다는 소리인데, 현재 저희에게 이런 각개격파를 유지할만한 리소스가 없습니다.ㅡㅡ
오페라가 비표준 덩어리였나요?? Acid2 Test도 그렇고 SVG 지원도 그렇고 최신의 Web Standard를 지원하지 않는 부분이 없어 비표준인 부분에 대해서도 잘 렌더링하지만 웹표준을 지키지 않는 건 아니라 생각했는데 아니었나 보네요.
FCKeditor 같은 웹 WYSIWYG 에디터들도 Opera를 지원하진 않는군요. 제가 잘못 알았나 봅니다.
지금의 위지윅 에디터는 IE와 FF 등에서만 작동하고 오페라에선 작동하지 않는데요.. (개발자분들 중에 맥OS 쓰시는 분들도 있는 듯 하던데 그럼 사파리도 지원?? 아님 다들 FF로 통일인가요?)
앞으로 Opera 지원을 위한 개선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웹에서 찾을 수 있는 다른 공짜 에디터들은 Opera를 비롯해서 웹표준을 준수하는 대부분의 브라우저에서 쓸 수 있는데 태터의 위지윅 에디터는 많이 부족해보여 안타깝습니다. 이런 에디터들을 쓸 수 있게 하면 안될까요?
그것 때문에 오늘 Wordpress로 한번 옮겨볼까 하고 xml로 글을 옮긴 다음에 sql문으로 댓글을 옮기는 중 moderation approval이 잘 안되서 포기한 상태에요..
구지 그게 아니더라도 Wordpress보다는 태터툴즈가 더 좋은데 에디터가 발목을 잡네요.
최근까지 FF 2.0를 쓰다가 Opera를 다시 쓰기 시작했는데요, 태터툴즈 홈페이지의 유저 공간에 들어가면 이미지 로딩이 끝나지 않고 브라우저가 버벅이네요.
(MS Windows XP SP2 Kor, Opera 9.10 International)
IE와 FF에선 별 문제가 없는 걸로보아 Opera만의 문제라고 생각되고, Opera 사용자가 얼마 없는 것이 사실이지만 고쳐졌으면 좋겠네요:P
어디에 이야기를 쓸지 모르겠어서 여기에 적어봅니다.
thumbnail이 만들어지면 tattertools의 cache 디렉토리 하위의 thumbnail안에 그림 파일이 생기기는 하지만 실제로 접속 경로는 %tt설치경로%/thumbnail/파일 이런식으로 접속이 됩니다. (글에서 보이는 thumbnail은 이런 경로로 연결되어 있어요)
하지만 RSS에서는 %tt설치경로%/cache/thumbnail/파일 이런 경로로 되어 있어서 접속되지 않습니다. 이렇게 입력하면 blog/cache/thumbnail로 redirect 되고요.
저한테만 생기는 문제가 아니라면 RSS에서의 image 경로에 대한 수정이 필요할 듯 합니다.
문제가 일어나는 RSS는 http://ataiger.byus.net/tt/rss 입니다. tt 내부를 제외하고는 redirectrule을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지금은 resampling을 꺼 놓은 상태입니다.
자세한 건 확인해보지 못했습니다.
위치로그가 아래와 같이 되어 있는 글을
"대한민국 - 서울 - 서울대학교"
아래로 바꾸었더니,
"대한민국 - 서울특별시 - 서울대학교"
위치로그 화면에서는 '대한민국 - 서울특별시 - [글]'로 표시되었습니다.
다른 테스트를 못해봐서 잘 모르겠습니다. 원인이 보이시나요?
[##_rplist_conform_##]과 매우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치환자로 [##_list_conform_##]가 있죠.
실제 의미의 차이를 보자면 전자는 댓글 검색시 검색어를 '검색어' 형태로 표시하고 후자는 글 검색이나 아카이브, 태그 등을 클릭해서 나오는 페이지에서의 검색어를 검색어 형태로 표시합니다.
이렇다면 [##_rplist_conform_##]는 왜 있는 건가요? [##_rplist_conform_##]가 필요한 경우는 [##_list_conform_##]와 같은 내용을 단지 '' 안에 넣어서 출력합니다. 실제 대부분의 스킨에 검색해보면 이 둘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아
검색어 에 해당하는 글 (글 갯수) 개
(글 목록)
'검색어' 에 해당하는 댓글 (댓글 갯수) 개
(댓글 목록)
이런 식의 출력이 됩니다.
별로 예쁘지도 않고 의미 없는 것 같은데 아예 [##_rplist_conform_##]를 없애거나 하위 버전의 스킨들과의 호환성을 고려하자면 적어도 출력 방식(작은 따옴표 안에 검색어를 넣는 방식)을 고치는 게 어떨까요?
페이지 1
TNF : Tatter Network Foundation forum » ataiger가 작성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