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급하신대로 다중의 사용자가 1블로그를 관리하는 다중블로그도 가능하고
관리패널 blog.com/control/blog 에서 사용자를 추가하여 팀블로그 기능이 가능합니다.

설치하고 나면, 그게 블로그 주소가 되어요.
일반적으로 tc폴더에 설치가 되고,
blog.com/tc
가 주소가 됩니다.

일단 트래픽의 경우 요즘 부쩍늘어난 스패머의 방문이 주 이유인 듯 싶습니다.

일전에 비슷한 질문이 있어 댓글의 링크를 덧대어 말씀드립니다.
http://forum.tattersite.com/ko/viewtopi … 133#p42133

언급하신대로 스킨의 로드를 줄이는 방법이나 압축의 방법도 도 도움이 되겠지만, 일단 반복적인 ip정도는 .htaccess 로 차단하는 것도 대안이 될 것 같구요.

한 때 저가형의 호스팅으로 카페24가 날리던 때가 있었습니다. 초창기였었고 그 때의 카페24의 명성은 바닥을 치닫는 시기이기도 했었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요즘 카페24도 저가형이지만 안정성은 괜찮다는 생각입니다.
나름 보안이나 안정성을 생각한다고 1년 10만원의 호스팅을 쓰고 있습니다만, 그다지 차이는 없어보입니다.

도메인의 경우 한 곳에 붙어 있기엔 좀 아쉬운 부분이 있습니다.
물론 업체마다 차이가 난다고 해서 많이 나는 건 아니고 1~2천원 차이일테지만, 그런저런 생각 안하시면 한 곳에 머물러 있거나
10개 이상씩 보유하고 있다보니, 그 천원 차이가 1년 도메인 비가 되는 입장에서 1년단위로 결재를 하고 이벤트 성이나 저렴한 곳으로 매년 갈아타곤 합니다.

간혹 마이그레이션이 안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관리자 페이지에서 데이터를 xml 백업 후 1.8.6 설치 후 복원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캐쉬문제일 가능성이 있습니다만,
지금은 정상작동하는 것 같네요.

내부 메일링으로 확인 중 입니다

82

(1 답글들, 질문과 답변 / 사용자 지원에 작성)

이는 사용중인 스킨에 있습니다.
skin.html을 열어보시면  <s_sidebar_element></s_sidebar_element> 가 하나의 모듈로 등록됩니다.

안녕하세요.
우선 불편함을 드려 죄송합니다.

둘러보니 스팸에 노출이 많이 되신듯 싶습니다.
대부분의 카운트힛이 스팸성인 것 같네요.
우선적으로  EAS나 FAS 플러그인을 활성화 하여 스팸차단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구요.
관리자 페이지의 스팸필터로 반복되는 ip와 구문, 단어, url 차단도 필요합니다.
.htaccess 파일을 이용하여 특정 ip를 차단한다던지. 트랙백을 이용한 외부링크도 차단하여야만 트래픽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실제로 계속해서 페이지를 로드하고 있네요)
리퍼러 로그를 확인하시어 외부에 블로그가 링크되어 있는건 아닌지도 확인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이 역시도 .htaccess를 이용하여 차단이 가능하구요.

https://www.google.co.kr/search?q=.htac … p;ie=UTF-8
에서 .htaccess의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대략적인 사용에 대한 도움은 아래의 링크에서 가능합니다.
http://www.htaccesseditor.com/kr.shtml

호스팅의 트래픽량은 얼마인지 알 수 없으나, 일반적으로 단순히 보여지는 카운트 수나 트랙백의 양만으로는 그다지 많은 트래픽이 소요되지 않습니다만,
하나의 페이지에 다수의 이미지를 포함시켜두어 스패머들의 방문시 무작위로 수많은 이미지가 로드되는것도 트래픽 소모의 큰 원인이라 볼 수 있겠습니다.
이미지의 압축율율 높이거나 웹에 사용하게끔  해상도를 줄이시길 바라며, 이미지가 많을 경우 가능한 블로그의 페이지당 글 수는 1개로 지정하는 것도 트래픽 예방에 적지않은 효과를 줄 것으로 보입니다.

트래픽에 대한 답은 없습니다.
하나의 방문자가 얼마만큼 머무를것이며 몇 페이지를 읽을 것인지, 더불어 얼마의 이미지를 로드할 것인지에 따라 트래픽 사용은 천차만별이 됩니다.
가능한 불필요한 이미지로드를 줄이고, 원치않은 방문객을 줄이는게 가장큰 대안이라 보겠습니다.

가능합니다. GPL 라이센스에 따르면 됩니다.

변조 스팸에 대응하여 코드를 준비중으로 알고 있습니다.
조금만 기다려주세요.

네 캐쉬를 지워도 되지 않는 경우엔 다시금 스킨을 적용해주시면 적용 됩니다.

설명에 있듯 리눅스 서버 설정을 건들여야합니다.
텍스트큐브의 파일에서 작업하는게 아니구요.
서버에 관련된 사항은 각 os의 설명서를 참고하시어 위의 지시대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특정키워드를 차단하지는 않습니다.
소스코드를 봐도 코드에도 문제가 없어보이는데 이상하네요.

관리자 글 목록에 보시면 각 글의 우측끝에 보호글 버튼에서 보호글의 임시 비밀번호를 원하는 비밀번호로 변경하면 됩니다.

비공개는 오로지 관리자 권한을 가진 사용자만 볼 수 있습니다.
관리자 권한의 로그인이 되어있는 상태여야만 합니다.
보호는 글에 임의의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고, 해당 비밀번호를 알면 그 글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

네 확인해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포털에서의 검색이 주된 것일겁니다.
이 경우 지속적인 사이트의 관리가 검색봇의 펌질이 잦아지게 되지요.
하지만, 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사이트의 경우 검색의 조건에 제약을 받는다라고 알고 있습니다.
대부분 유료로 검색사이트에 등록하도록 유도하는 정책이라 보면 맞을겁니다.
일반적인 사이트의 경우 제 경험으로 볼 때도 1주일에 한 두건의 글만 작성한 경우에도 카운팅은 1000회를 거뜬히 넘기던 때가 있었습니다.
(물론  순 방문자는 얼마 되지 않습니다.) 이 차이가 위에 언급했던 사안에 해당되는 것으로 사료되옵니다.

진도가 느린건 저역시도 많이 안타까운 부분입니다.
그래도 손을 놓치 않고 있으니 너그러히 지켜봐주세요..
고맙습니다.

정보 고맙습니다. ^^

여러가지 상황이 있을 것 같습니다.
파일누락이 있었거나. 그로인한 DB연결 중 잘 못된 연산이 빌생했을 수도요.
DB가 정상작동하고 있다면 파일누락 확인하시고 재설치를 해보시는 방법이 있습니다.
로컬에 살치한 경우라면 외부에서의 접속에서 로그인이 가능케 하려면 120.0.0.1로 설치해야 합니다.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만
간단히 루트에 인덱스파일(index.html index.php등)을 올려두고 그 파일에 코드를 아래와 같이 작성하면 될 것 같습니다.

<meta http-equiv="refresh" content="0;url=/tt">

요즘 centOS 문의가 많이 들어오네요.
텍스트큐브가 아직 대응이 안되었나봅니다.
문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config.php를 열어보시면 도메인 주소부분이 제대로 입력되어있는지 보면 될 것 같은데요.
일단 언급하신대로 슬러시를 없애보는 것도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

config.php 를 백업/삭제 후 변경된 도메인으로 접속하여 setup.php를 진행하는 도중에 재설정을 해주시면 변경된 도메인으로 사용가능합니다.

혹시 로컬에 설치한 경우라면 외부의 ip  주소로 설치하셔야 외부에서도 css가 로드됩니다.
텍스트큐브는 설치시 접속한 주소를 그대로 설정에 저장합니다. 192.168.0.1과 같은 로컬 ip일 경우 외부에서 파일 로드가 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