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6

(0 답글들, 잡담하기에 작성)

Tistory 등 tatter로 구축된 블로그에서의 문제점 중 한가지는 안부글, 트랙백, 댓글에 대한 정책부재(?)라고 할 수도 있겠습니다.

0. 전체 관리
0.1 사용자가 원할 때 안부글, 트랙백, 댓글에 대해서 블로그 전체를 잠금
0.2 사용자가 인증을 거쳐서 안부글, 트랙백, 댓글을 공개
0.3 안부글, 댓글은 1회 인증을 받은 사용자에 대해 계속 인증을 자동승인하도록 설정 (사용자의 대화명과 암호로 구분)
0.4 사용자의 안부글, 댓글 인증시 1회성 인증인지 영구 인증인지 결정할 수 있도록 설정

1. 트랙백
1.1 트랙백을 받을 수 있는 시간
1.1.1 글을 공개한 뒤에 항상 트랙백을 받는 모드 설정
1.1.2 글을 공개한 뒤에 일정시간 이후 트랙백을 받지 않는 모드 설정
1.1.3 트랙백이 잠긴 글에서 사용자에 의해 트랙백 발송 요청을 받은 뒤에 일정시간동안만 트랙백을 받을 수 있는 모드 설정

1.2 트랙백 공개시간 조정
1.1.1 트랙백을 받은 뒤 항상 공개하는 모드 설정
1.1.2 트랙백을 받은 뒤 사용자의 인증이 있어야 공개되는 모드 설정
1.1.3 사용자 인증 전력이 있더라도 계속 인증 요구 (트랙백의 웹 신뢰성 때문임)

2. 댓글
2.1 댓글을 받을 수 있는 시간
2.1.1 글을 공개한 뒤에 항상 댓글을 받는 모드 설정
2.1.2 글을 공개한 뒤에 일정시간 이후 댓글을 받지 않는 모드 설정

2.2 댓글 공개시간 조정
2.2.1 댓글을 받은 뒤 항상 공개하는 모드 설정
2.2.2 댓글을 받은 뒤 사용자의 인증을 거쳐 공개하는 모드 설정
2.2.3 댓글을 받은 뒤 1회 이상 인증을 받은 사용자의 댓글은 계속 항상 공개하는 모드 설정 (대화명과 암호로 구분)

3. 안부글
3.1 안부글 공개시간 조정
3.1.1 안부글을 받은 뒤 항상 공개하는 모드 설정
3.1.2 안부글을 받은 뒤 사용자의 인증을 거쳐 공개하는 모드 설정
3.1.3 안부글을 받은 뒤 1회 이상 인증을 받은 사용자의 댓글은 계속 항상 공개하는 모드 설정 (대화명과 암호로 구분)

4. 기타
4.1 전체관리 옵션이 각각의 옵션설정에 우선한다.
4.2 ........ 각각의 설정에 시간설정을 만들어  (글의 공개 후) 트랙백이 허용되는 시간, 트랙백 발송요청 뒤에 허용되는 시간, 댓글을 받는 시간을 각각 설정할 수 있도록 만든다.


심심해서 해본 생각입니다. ㅎㅎㅎㅎ
특히 트랙백의 경우에는 평소에는 닫아두는 모드를 사용하면 스팸이 상당히 줄지 않을까요?
웹페이지를 열 때 트랙백요청 단추에 랜덤으로 회신 문자열을 부여해서 자동으로 트랙백을 열지 못하도록 만들면........ (1초 이내 회신 금지 등등.... 자동으로 보내는 측면에서의 부하를 크게 걸어버리면..... 음.... 트랙백 복사할 때 자동으로 승인요청하게 만들어도 될듯하네요.)
(이것도 뚫는 방법을 개발해 낼까요???)

트랙백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었으면 좋겠습니다만....

ohmynews에 있던 제 블로그의 글을 백업받아서 tistory로 복구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었습니다.
음... 거의 하루정도......

그렇게 해서 겨우겨우 글만 올려놓을 수 있었습니다. 문제는 백업시에 태그가 제대로 붙어있질 않았다는 거죠.
logs태그는 왜 열리기만 하고 닫히지는 않았는지?? (그래서 아예 여는 것도 지워버렸습니다.)
방명록 글들에 붙은 contents 태그는 왜 불규칙하게 붙어있는지??? (아직도 수정중..ㅜㅜ)
post 제목에 태그 만들때 쓰는 꺾은괄호나 큰따옴표가 들어가면 에러라고 하면서 인식자체가 왜 안 되는지???
나머지 도무지 알 수 없는 에러들은 왜 나타나는 것인지? ㅜㅜ
일단 업로드 됐는데 왜 모든 글들이 루트 카테고리에 모여있는건지????

결국 백업 xml파일을 여러 개의 xml파일로 나눈 뒤에 하나씩 태그 맞춰서 검증하고 다시 합쳐서 올렸습니다.
물론 위에서 이야기했지만.... 아직 방명록 글들은 태그 수정중이구요....ㅜㅜ

그리고 심각한 문제가 있는 건....
내 블로그 백업 파일에 내 블로그에 들려서 댓글이나 안부글 남겼던 사람들의 비밀번호가 적나라하게 나왔다는거.....
(유노님... ohmynews blog 개발하실 때 암호를 암호화 하셨어야죠...ㅜㅜ)
첨부화일을 첨부한 백업파일이 아니기 때문에 ohmynews에 있는 첨부파일을 불러다가 사용한다는거.....


여기서 건의사항 몇 가지 말씀드립니다.
1. 얼른 부분백업 기능좀 구현해 주시구요....
2. 에러가 있을 때 여러개를 동시에 알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매번 한개씩 수정하고, 다음 메일로 올리고, 다시 블로그에 올리고, 또 수정하고....
이걸 한 30번쯤 했더니 지겹네요. ㅜㅜ
3. 카테고리 숨김 기능좀 빨리 구현해 주세요.
4. 블로그 전체 숨김도 빨리 구현해 주시구요....
5. 업로드때 외부로 링크걸린 첨부파일을 불러와서 server(Tistory)로 저장하는 기능을 구현했으면 좋겠습니다.

1500개나 되는 글 하나하나 들어가서 수정하고 첨부화일 올리려니 아찔하군요. ㅜㅜ
더군다나 이전에 하지 않았던 tag도 다시 정해야 하고, 카테고리 지정도 다시 해야 하고.... 글 하나에 2분씩만 잡아도 최소한 3000분 이상은 걸릴듯하네요. ㅜㅜ

ps. 일반적인 tattertools도 설마 암호가 암호화 되지 않은건 아니겠죠? ㅜㅜ

이 스킨을 계속 사용하다보니 댓글을 달 때도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댓글을 달면 일부 본문까지 가려져 버립니다. 물론 다시보기를 하면 정상적으로 출력을 합니다만.....
왜 그런지 잘 모르겠네요.
수정 부탁드리겠습니다.

엔하늘 작성:

티스토리 스킨들은 수정 및 재배포가 자유로운 것으로 알고 있는데

Tistory 기본스킨들 중에 다수의 스킨이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지 않을까 해서 수정을 부탁드리는 것입니다.

tistory 나무마루 (3단스킨)

이 스킨으로 바꿨는데요...
주석(footnote)에서 문제가 발생하네요.

글의 끝에 주석이 나올 때 모든 주석이 아무런 표식 없이 본문과 섞여서 구분없이 나와버립니다.
나무마루님께 수정을 요청해야 하나 하고 나무마루님 블로그에 가봤습니다만, tistory차원에서 수정해야 하는 것이 아닌가 하고 이 곳에 글을 남겨봅니다.

ps. 나무마루님 스킨 잘 쓰겠습니다. ^^

81

(4 답글들, 아이디어 및 기능 제안에 작성)

lunamoth 작성:

2. 글 제목 옆의 수정/팝업수정/삭제 식으로 로그인 시에만 해당 메뉴를 출력하는식으로 별도 치환자의 추가?가 필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제 짧은 소견으로는 공수를 들일만한 부분인지 생각을 해봐야 될듯 싶습니다.

lunamoth님 말씀이 맞습니다. 제가 보기에는 단추를 두개로 구분할 필요성이 안 느껴저서 개선해 주셨으면 하고 글을 쓴 것입니다.

lunamoth 작성:

3. 게시판, 제로보드 식으로 하단 페이지수를 이동하는 것이 아닌 블로그 페이지를 이동하는 것으로 보고 제작됐다고 보시면 될듯 싶습니다. 물론 어느쪽이 맞는 것이냐 하는 것은 보는이들의 패턴에 따라 다르겠지요. 제 블로그 식으로 떨어뜨려두고 별도의 해당 치환자를 추가하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 될수는 있을듯 싶습니다.

next라는 단추를 볼 때 사람들은 당연히 다음 번호가 아니라 다음 뭉터기로 넘어갈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나요?
현재의 방식이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와 거리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82

(4 답글들, 아이디어 및 기능 제안에 작성)

나머지 하나는... 글을 작성하던 중에 다른 창으로 전환했다가 다시 글을 쓸 때 (alt+tab으로 화면전환할 때 등등) 글쓰기 창에 focus가 사라져서 마우스를 꼭 필요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다른 창으로 갔다 올 때도 글을 그냥 쓸 수 있게 수정해 주셨으면 합니다.

83

(4 답글들, 아이디어 및 기능 제안에 작성)

네 가지 건의사항이 있는데 ....
첫번째는 글상자에 관련된 것입니다.
글상자는 색을 띄게 되어있고, 그 안에 글씨가 들어갈 수 있습니다. 문제는 글씨의 색이 본문 전체에 걸려서 한꺼번에 바뀐다는데 있습니다. 그러니까 스킨을 바꾸니까 본문 글씨의 색 전체가 바뀌면서 글상자 안의 글씨를 보기가 힘들어졌습니다. 따라서 글상자 안의 글씨의 색은 글상자의 배경색에 따라서 자동으로 일정한 색을 띄었으면 좋겠습니다. 스킨을 바꾸더라도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없잖아요. ^^ (이 부분을 스킨에서 처리할 수 있는 것인가요? 잘 모르겠네요.)

두번째는 관리자/글쓰기 때문입니다.
login을 하지 않았을 때나 login을 했을때나 똑같이 관리자/글쓰기로 보이는데, 사실상 이것이 두개로 나뉠 필요가 없어보입니다. 그냥 login하지 않았을 때는 login 하나만 보이고, login한 뒤에는 두개로 보이던지 login한 뒤에 관리자로 들어가서 글쓰기를 할 수 있도록 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이 부분에 대해서 좀 더 생각을 해봐야겠습니다. 스킨에서 해결할 수 있는지....)

세번째는 글의 맨 밑에 페이지를 옮길 수 있는 숫자들이 적혀있습니다. 그리고 prev, next가 있지요. 이것들을 누르면 페이지 숫자가 하나 옮겨집니다. 1페이지에서 2페이지로 넘어가죠. 전... 왜 이렇게 만들었는지 의아합니다만... 제가 생각할 때는 prev, next를 누르면 현재 적혀있지 않은 다음 숫자로 넘어가야 하지 않을까요? prev 1,2,3,4,5 .... 500 next에서 next 단추를 누른다면 다음처럼 변해야 할 것 같습니다. prev 1,2,3,4,5,6,7,8,9,10,11 .... 500 next
혹은 6페이지부터 나올 수 있는 11페이지가 화면에 노출되거나요... prev 6,7,8,9,10,11,12,13,14,15,16 .... 500 next

네번째는 (헉... 세가지 적다보니 잊어먹었습니다. -_- ) ........ 다시 생각나면... 그때 다시 적을께요...ㅜㅜ

모두들 즐거운 주말 되세요.

제가 처음 블로그를 시작할 때인 3년 전에는 2단 카테고리를 하는 곳도 없었죠. 포털과 중소블로그 사이트들도 모두 1단 카테고리였습니다. (혹시 제가 모르는 작은 사이트에서는 지원했었는지도...^^; )
제가 블로그를 운영하다보니 2단 카테고리가 절실하게 필요해서 처음 개설했던 친구네 회사 블로그에 2단 카테고리를 요구했었습니다. 친구에게 돌아온 답변이 "그게 꼭 필요하냐?" 였습니다.
불과 몇 달 뒤에 다음 블로그가 새로 개편되면서 2단 카테고리를 지원하게 됐습니다. 당시 중학생이던 조카가 하는 말 "다음 블로그는 대게 이상해요. 카테고리 밑에 또 카테고리가 달려있어요." ...... -_-

그런 과정을 거쳐서 오늘날의 대부분의 블로그 사이트의 2단 카테고리가 정착되었습니다. 처음 2단 카테고리가 만들어졌을 때에는 사용자들조차도 2단 카테고리가 필요한지 알지 못하던 때도 있었다는 것이죠.

현재 Tistory에 있는 제 블로그에는 수도없이 많은 카테고리들이 2단으로 정리되어 있습니다. 조금 불편하긴 하지만 제대로 사용할만한 수준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사용자들이 2단도 부족해서 3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제 경우에는 3단 카테고리가 필요합니다. 어떤 경우에 필요하냐하면....
'과학' 카테고리의 하단에 존재하는 많은 수(6개)의 서브카테고리들이 걸리적거리고 있습니다. "6개가 뭐가 많은가?"라고 말씀하실 분이 계실까봐 말씀드린다면... '과학'의 단일소재를 갖는 글들(시리즈물들)을 단일 카테고리로 만들다보니 서브카테고리의 숫자가 너무 많아져서 만들다 만 것이 6개입니다. 만약 3중카테고리를 지원했다면 좀 더 깔끔한 정리가 될 수도 있었겠죠. 여러가지 방법을 생각해봤는데 결과는 제가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는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렇지만.... 3중 카테고리를 지원하지 않아 좀 불편하기는 하지만 아직까지는 쓸만합니다. 글의 수가 몇 천 개 수준이라면 2중 카테고리로도 충분히 관리가 가능합니다. 문제는 그 이후에 있습니다. 글이 만개에 가까워지게 된다면 저것이 과연 제대로 관리가 될까요?

여러가지를 고려해본 결과 현재의 카테고리 시스템으로는 만개에 가까워지게 되면 글관리가 사실상 힘들어진다는 것입니다. 2단이 아니라 3단으로 된다고 하더라도.... (결국 태그(Tag)도 답이 될 수 없고) 검색엔진에 의존해야 한다는 것이 저의 결론입니다. 물론 언젠가는 -많은 수의 블로그에 만개에 가까워지는 글들이 올라갈 경우에 - 3단을 지원해야겠지요.
하지만 그것보다 검색능력을 확충하는 것이 더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태그(Tag)가 검색대상에서 제외된 태터, 카테고리별로 검색되지 않아서 간단히 검색해도 수십개의 글을 일일히 확인해야 하는 검색능력으로는 글의 숫자가 늘어날수록 문제가 더욱 심각해질 것입니다.

결국 제 결론은....
카테고리 3단 지원은 꼭 필요한 것이지만, 그것보다는 검색능력 강화나 카테고리 숨김기능 지원같은 것을 우선 해결해 주시고, 나중에 혹시나 여력이 남을 때가 있다면 (과연 이럴 때가 있을까요?) 그때 카테고리 3단을 지원해달라는 것입니다. 사실상 TnC에서 일할 주제들을 나열해 놓으면 카테고리 3단 지원을 구현하기로 했다고 하더라도 반년 안에는 어림도 없는 일이 아닙니까?

ps. 많이 불편한 것이 있어서 한가지 더 말씀드리자면.....
카테고리를 볼 때 서브카테고리의 글들이 안 보이게 해줬으면 좋겠습니다. -_- 카테고리 안에 있는 글들 중에서 원하는 것을 찾는 것이 너무 어렵습니다. 그런데 이 모든 것을 다 구현하자면 카테고리 관련 부분을 완전히 새로 짜는 것이 더 편할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만... ^^;;

85

(7 답글들, 아이디어 및 기능 제안에 작성)

수고하셨습니다.
제가 tistory 사용자라서 직접 사용해보지는 못하지만....
언젠가는 사용할 수 있겠죠. ^^

86

(7 답글들, 아이디어 및 기능 제안에 작성)

지난 3.1절에 제 블로그의 로고이미지를 잠시 바꾸었었지요.
그리고 2일에 원래대로 원위치시켰습니다.

TnF 분들은 얼마나 로고이미지를 사용하시는지 모르겠는데요... 간혹가다가 바꾸고 싶은 경우가 있겠지요?
이 로고이미지를 서너개정도 등록해 두고서 바꿔가면서 적용시킬 수 있는 방법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ohmynews blog의 경우에는 스킨을 저장해두고 바꿔가면서 사용하는 기능을 만들었더군요.
스킨까지는 좀 무리인 것 같지만....
로고이미지 정도는 충분히 할만한 가치가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모두들 잘 지내시는지 모르겠네요.
행복한 주말 되세요.

문서 내부링크 사용하기(http://may.minicactus.com/2159)

제가 작성한 글인데.... 약간의 버그가 있어서 신고합니다.

내부링크에 필요한 주소 입력시에.... href="#내부링크" 와 같이 사용하게 되면...
# 앞에 자동으로 글 주소를 입력하게 되는데 그 주소가 제대로 된 글의 주소가 아니라 편집창의 주소가 입력됩니다.
그냥 주소를 삽입하지 않았으면 좋겠네요.

그리고 more/less의 안쪽에 내부링크의 name이 정의됐을 때 정확히 이동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more/less의 안쪽에 내부링크가 있으면 more/less가 펼쳐지고, 그 안으로 이동하는 기능이 있었으면 좋겠네요.

비밀댓글 찬성합니다.
특히 이메일주소, 전화번호를 주고받는 경우에는....^^;

분명 제한은 있습니다.
그러나 6개는 아니고 대략 25개정도 될걸요. ^^;

90

(2 답글들, 스킨 및 플러그인에 작성)

리퍼러 플러그인을 보면 리퍼러의 개수 상위 20개 통계를 내주는데요...
플러그인에 전체통계 말고 최근 1~3일 정도의 통계를 보여주는 기능을 추가했으면 좋겠습니다.
어디선가 나와 관련된 무슨 일이 발생한다면 리퍼러 전체를 살펴보지 않아도 쉽게 알수 있지 않을까요?

숨김예약 기능도 있었으면 좋겠어요. ^^
지정된 시간에 공개됐던 글이 감춰지는....

92

(4 답글들, 아이디어 및 기능 제안에 작성)

스팸트랙백에 대해서....
그냥 글 하나 써봤습니다.

http://may.minicactus.com/2050

참고삼아 읽어주세요. ^^

93

(1 답글들, 스킨 및 플러그인에 작성)

키워드를 작성할 때 키워드 제외단어와 연관단어를 설정해 놓을 수 있도록 했으면 좋겠습니다.
제외단어는 키워드를 일부로 포함하는 단어이지만 키워드에 어울리지 않는 단어를 설정할 수 있게 해 주고, 연관단어는 키워드를 포함하지는 않지만 키워드로 표시할 단어로 지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
물론 연관단어에 대해 해당하는 키워드를 작성한 경우에는 키워드 표시가 아니라 연관단어 키워드에 연관단어로서 링크를 걸어주면 좋겠지요.

제외단어는 블로그 주인이 해당 단어를 클릭하여 들어간 상태에서 바로바로 추가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바로바로 추가하지 않으면 제외단어 설정이 무척이나 번거롭고 힘들 것으로 생각됩니다.)

플러그인의 수정으로 구현할 수 있지 않을까요?

DARKLiCH 작성:
작은인장 작성:

초기에 동영상 재생 목적으로 업로드해 놓았던 avi파일들이 현재는 다운로드되지 않고 있습니다.

동영상 같은 경우에는 다음 동영상으로 변화되기 때문에 lunamoth님의 블로그의 글처럼 url snooper이 좋은 방법이 될 것 같습니다.

다음 동영상으로 올려진 것도 아니고, 그냥 avi로 올려진 것들이 지금 문제가 되고 있답니다.
그리고 음....
동영상 뿐만 아니라 다른 업로드 파일들도 약간 문제가 있을수가....

95

(5 답글들, 잡담하기에 작성)

응.. 이론... -_-

초기에 동영상 재생 목적으로 업로드해 놓았던 avi파일들이 현재는 다운로드되지 않고 있습니다.
tattertools와는 다르게 파일을 따로 다운로드 할 수 없는 상황에서 다른 방법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첨부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avi파일 뿐만 아니라 현재의 tistory에서는 지원하는 이미지 파일이 아니면 사실상 다운로드는 거의 불가능합니다. 또한 이미지 파일이라고 하더라도 앨범형식으로 그림을 올리는 이미지갤러리를 만들었을 경우에 이미지가 10개만 되도 다운로드 받는 것이 매우 번거롭기도 합니다.

따라서 여러가지 이용 측면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기능을 추가했으면 좋겠습니다. meme처럼 ftp기능을 구현하기는 물가능하겠지만..... 각 계시물의 첨부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

97

(5 답글들, 아이디어 및 기능 제안에 작성)

부제목 뿐만 아니라 간단한 요약정리를 사용해서 RSS를 보낼 때 보낼 수 있도록 만들었으면 좋겠습니다.
RSS를 보낼 때 일부전송/전체전송/요약전송을 만들고, 요약이 없으면 일부전송/전체전송중 하나를 자동선택되게 했으면 좋겠습니다.

아무래도 이런 기능은 코어에서 처리해야 할듯 싶은데....

98

(10 답글들, 잡담하기에 작성)

저도 아침에 배가 아파서 오전내내 드러누워 있었답니다. ㅜㅜ
건강하세요.

오웃... 빨리 Tistory에도 적용됐으면 좋겠네요. ^^;
파일수 '0'의 카테고리 노출하기 싫어요. ㅎㅎ

100

(9 답글들, 이올린에 작성)

그런데..... 사용자가 너무 적어서 실용성이 있는지 잘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