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도 물론 이미지 삽입시 contentWidth보다 큰 사이즈의 그림은 contentWidth에 맞추어 들어가지만
가로폭이 다른 스킨으로 변경하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넓어지는 경우는 큰 문제는 없지만 작아지면 좀 곤란한;;

그래서 기본으로 가로폭이 contentWidth를 따라가도록 하고 따로 사이즈를 원하는 경우 사이즈를 입력하는 걸로 바꾸는 게 어떨련지 ^^;


아니면 자바스크립트로 가능한가요? 그림의 사이즈를 폭에 맞추는 게?
제로보드 겔러리 같은 걸 보면 그렇게 구현이 되는 것도 있는 거 같던데...



여튼 이미지 삽입 후에 따로 사이즈를 건드리지 않으면 스킨의 폭에 맞추어 출력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러고보니 1.0.5에도 마찬가지 문제일 듯 한데 (귀찮아서 확인 안해봄;;;)

글 쓸 때 설정에 트랙백, 댓글 금지로 하면 포스팅에 트랙백 주소, 댓글 입력 폼이 안나와야 되는 게 아닌가요?


스킨 설정에서 트랙백, 댓글 펼침으로 설정해 놓으면 포스팅 설정에 트랙백, 댓글 금지로 해도 다 나와요.

트랙백과 댓글이 들어가는지는 역시 귀찮아서 해보지 않았지만... -_-;


그리고 처음부터 트랙백, 댓글 금지로 했으면 펼침을 사용하지 않아도 '트랙백', '댓글' 펼침 링크를 출력 안하는 게 맞지 않나 생각합니다.

댓글 달려고 기껏해서 눌렀더니만 '댓글 금지, 즐~'하면 좀 그렇네요. 아예 막아버리는 게...

통계에서 일별 통계가 하나도 안나옵니다. -_-;;;
물론 수동으로 checkup을 해봤지만 뭐 바뀌는 건 없네요.

저도 구걸해봅니다.. 뮤.뮤

CSS로 하는건.. XHTML 스킨에서만 적용가능 한건가요?

XHTML은 넘 어려워요.. ㅠ.ㅠ

56

(4 답글들, 스킨 및 플러그인에 작성)

http://cfs4.blog.daum.net/upload_control/download.blog?fhandle=MEFuT3FAZnM0LmJsb2cuZGF1bS5uZXQ6L0lNQUdFLzAvMC5qcGc=&filename=0.jpg
위에는 펼치고 닫은 경우... 아래는 닫혀진 상태에서 펼칠 경우입니다. IE(6.0 sp2)에서 제대로 안됩니다.


http://cfs2.blog.daum.net/upload_control/download.blog?fhandle=MEFuT3FAZnMyLmJsb2cuZGF1bS5uZXQ6L0lNQUdFLzAvMC5qcGcudGh1bWI=&filename=0.jpg

저기 '피드 주소를 입력하세요'라는 부분요. 이걸 위로 구독중인 RSS 목록의 최상단으로 옮겼으면 합니다.

이것도 플러그인으로 구현이 가능할지 모르겠습니다만 좀 복잡한 거 같아서 불가능 할 거 같은데;;;


왜냐하면 지금의 스킨 레이아웃으로는 큰 사이즈의 사진을 올리기가 좀 그렇습니다.
보통 일반적인 블로그에서 컨텐츠의 가로 사이즈가 500픽셀 내외인데 사진은 700~800픽셀로 올려버리면
500픽셀대로 리사이즈 되면서 사진이 깨지면서 사실 좀 보기가 싫습니다. 크게 볼려면 일일이 클릭하고 새창이 뜨고 보고 나면 닫아야되고...

그렇다고 원래 사이즈로 블로그에 넣어버리면 레이아웃이 깨집니다.
테이블로 짠 스킨은 좀 나은 편이지만 xhtml은 완전히 깨지거나 아니면 사진이 짤립니다.
그렇다고 컨텐츠의 가로 사이즈를 넓혀 버리면 사진의 경우는 괜찮지만 글만 쓰는 경우는 여백이 너무 많아서 -_-


그래서 카테고리별로 스킨을 지정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갤러리, 사진첩 같은 경우는 가로 폭이 넓은 스킨을 사용할 수 있도록.
여기에 썸네일 이미지 플러그인까지 적용시키면 포토로그가 필요가 없습니다. ^^

그 외에도 글 주제에 따라 스킨을 지정할 수 있으면 여러모로 사용이 가능하겠죠.

그리고 에디터에서 스킨을 지정할 때마다 스킨의 index.xml에서 <contentWidth>를 가져와서 바로 위지웍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면 좋을 거 같습니다.




에.. 그리고 위지웍 에디터의 가로폭을 더 넓힐 수는 없을까요? 지금의 이건 가로 사이즈가 600픽셀 정도가 한계인데,
그리고 세로 사이즈도 다른 에디터들을 보니까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한 건지 모르겠는데 사용자가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더군요.

가끔 사진을 크게 넣으면 위지웍에서 수정하기가 난감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위지웍 화면을 사진으로 다 가려서 -_-)



가능할지 모르겠습니다;;;

글 수정 눌렀다가 놀랬습니다. -_-;;

새 창으로 뜨는 글 수정 화면은 xhtml 화가 진행이 안된 거 같습니다. 이것도 손을 좀 보셔야 될 듯;;

59

(4 답글들, 스킨 및 플러그인에 작성)

태터의 리더에 추소 추가 폼을 제일 위로 올려주세요.

피드 주소가 많으면 주소 추가를 위해서 마우스를 한 번 더 굴려야 됩니다. -_-;;




그러고보니 xhtml화 한 관리자 모드에 리더 추소창을 펼치는 부분이 먹통이네요. 리로드를 해야지 적용되네요.

물론 IE에서 입니다. FF는 잘 되는군요 ㅡ.ㅡ

60

(3 답글들, 버그 보고 및 QA (Quality Assurance)에 작성)

뭐 어쩌다 보니까 겨우 수정 버튼이 먹혀서 글을 수정했습니다.

위지웍/html 왔다갔다 하다보니까 되는군요.


아마 범인은 다음 동영상에서 object 태그 전체를 복사해서 붙여넣었더니만 탈이 난 거 같습니다. -_-;

61

(3 답글들, 버그 보고 및 QA (Quality Assurance)에 작성)

entryManager는 null이거나 개체가 아닙니다. line 2403 블라블라/entry/edit

라고 뜨네요. 현재 글 수정이 안됩니다. -_-

어쩌다가 이렇게 되는건지는 모르겠네요.

62

(16 답글들, 잡담하기에 작성)

저도 신청했습니다. 이 기회에 이사를 가볼까요.. -_-a
저는 minitiara@쥐메일입니다.. (쿨럭쿨럭;;)

오늘자 최종 개발버전을 사용중인데 (r164던가;;)

발행시 rss 출력으로 설정해놓고 쓰는데 글 수정에서 공개한 상태에서 발행을 하면 rss 피드에 출력이 되어야되는데

글 수정에서 발행하면 rss에 추가가 되는데 글 관리에서 발행 아이콘을 클릭해서 발행하면 rss에 추가가 되지 않습니다.

드디어 어떤 상황에서 발생하는지 알아냈습니다. -_-

이미지에 자막을 넣고 다시 위지웍으로 돌아와서 r키를 치니까 '저장안했는데 나갈래?'류의 경고창이 뜨는군요.
'자기(wkrl)'를 치는데 r을 누르는 순간 에러가...

하단에도 'ERROR:지정되지 않은 오류입니다. (on line 2439: 블라블라/entry/edit/글넘버)' 라고 뜹니다.

65

(4 답글들, 잡담하기에 작성)

처음에 살 때 들어있는 토너나 잉크양이 정품보다 적을 겁니다. -_-;

서버가 잠시 맛이 갔는지 댓글에 댓글을 다는데 이게 댓글보다 미래의 시간으로 달려 있어서 발생한 헤프닝이었습니다. -_-;

사이드 메뉴에 나오는 최근 코멘트...가 좀 이상합니다.

댓글이 달리고 댓글에 댓글을 다는 경우


댓글에 댓글
댓글


형식으로 처음 단 댓글이 밑에 출력되야 하는데 반대로 출력됩니다(.....)

68

(57 답글들, 공지사항에 작성)

아... 아직 수정하신 버전을 올리지 않으신거군요. -.-;;
RC2에서는 수정이 되겠네요.. ^^

69

(57 답글들, 공지사항에 작성)

다시 받아서 해봤는데도 안됩니다. 혹시 수정만 하시고 새로 안올리신 건 아니죠??

70

(57 답글들, 공지사항에 작성)

파일질라에서 전송하는데 제대로 전송이 안된 거 같습니다.
다시 전송해보고 트랙백 테스트를 다시 해보겠습니다;;;

71

(57 답글들, 공지사항에 작성)

트랙백 전송이 안됩니다. -_-;;;;;;;;;;;;;

72

(57 답글들, 공지사항에 작성)

어짜피 업글하면 유저가 업글 잘 되었는지 블로그를 확인해볼 거 아닙니까? ^^
ftp 업로딩 중에 접속한 제 3자에게는 묵념(...)

가능하다면 checkup시 1.0.5 버전에서의 수정된 사항을 보여주는 것도 좋을 거 같습니다.

73

(57 답글들, 공지사항에 작성)

PAPACHA 작성:
소필 작성:

checkup 후에 자동으로 onwer 페이지로 돌아갔으면 합니다...(그게더 편할듯?)

1.0.6부터 [되돌아가기] 버튼을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checkup은 구조적인 변경 사항을 반영하기 위한 것으로, 심지어 로그인이 안되는 경우를 해결하기도 합니다.

그럼 로그인이 안되는 경우는 checkup을 하지 못한다는 거 아닌가요?
아.. 물론 수동으로 checkup을 하는 경우는 상관없지만 이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는 대략 GG가..... -_-;

제가 생각한 것은 버전업 체크를 해서 태터가 버전업이 되면 블로그 접속시 자동으로 checkup 페이지로 접속하는 방법이 좋을 거 같습니다.


이 경우는 매번 업글을 체크한다는 게 문제인데 이러면 퍼포먼스에 문제가 될까요..;;;;

74

(57 답글들, 공지사항에 작성)

checkup시 "시스템을 점검합니다" 멘트 수정하신다고 하신 거 같은데 그대롭니다. ;;

사실 댓글 달려고 하면 이름/홈페이지주소/비번을 채워넣는 게 귀찮을 수 있는데

이미 한 번 댓글을 달았으면 쿠키에 저장이 되지만

새로 방문한 블로그나 컴퓨터를 바꾸면 또 적어넣어야 되는 귀찮음(...)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다른 블로그(이글루, 워프, 기타 등등)는 지원이 안되더라도 태터 유저끼리는 유저 정보가 자동으로 채워지는 뭔가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예를 들자면 태터의 내장된 리더에서 구독하고 있는 다른 태터유저의 글을 읽다가 댓글을 달아볼까 싶어서 D를 누르면 새 창이 뜨는데

이 때 어떻게 체크를 해서(내부의 구조는 개발자 분들이;;;) 새 창에 뜨는 태터에 이름/홈피/비번이 딱 박히면 편할 거 같습니다.



이올린에도 이런 기능을 지원하는게 어떨련지요?

이올린에 '이름/태터주소/비번'을 넣어두면 이올린에서 글을 읽다가 읽고 싶은 글을 클릭하면 새창이 뜨면서 사용자 정보가 자동으로 들어가는....



이럴 경우 가장 걱정되는 게 스팸인데

태터의 내부에 인증장치를 만들어서 태터 리더 사용시나 이올린에서 이름/태터주소/비번을 넣을 때 이올린에서 태터유저인지 체크를 하면 되지 않을까요.

아니면 추가로 이메일까지 정보를 넣어서 유저정보를 등록시 이메일로 인증코드가 날라와서 태터에 이 인증코드를 넣는다면 자동으로 유저정보 채우기가 작동한다거나...



이런 식으로 만들면 스팸 대처에도 수월할테고... 스팸 남기는 유저는 차단하면 되니까...

어짜피 수동으로 일일이 입력하는 스팸은 막을 길이 없잖아요;;;




나름 괜찮지 않나요?








제 뜻이 제대로 전달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만... 그냥 귀차니스트의 아이디어였습니다. (_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