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lden님의 말씀이 실현불가능한 것이....
도중에 3GB를 복원해야 하는 상황에서... 예를 들어 포털이 Tistory라면... 복원 한도가 1GB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전체를 백업받아서 에디터로 1GB 미만 크기로 자르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블로그 운영 기간이 긴 블로거들이 많이 생기고 있는만큼 이제는 분할백업 또는 백업화일 분할 유틸리티 제작이 긴급과제로 떠오르는 것 같습니다.
아직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로그인 또는 회원 등록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
TNF : Tatter Network Foundation forum » kkom가 작성한 글
golden님의 말씀이 실현불가능한 것이....
도중에 3GB를 복원해야 하는 상황에서... 예를 들어 포털이 Tistory라면... 복원 한도가 1GB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전체를 백업받아서 에디터로 1GB 미만 크기로 자르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블로그 운영 기간이 긴 블로거들이 많이 생기고 있는만큼 이제는 분할백업 또는 백업화일 분할 유틸리티 제작이 긴급과제로 떠오르는 것 같습니다.
글을 작성한 뒤에 저장버튼을 누르면 절반쯤에서 싹뚝 잘려서 앞부분만 저장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작년 4~5월쯤에 Tistory에서 3번 그런 현상이 나타나서 글을 날린 일이 있었는데, 토요일에 Textcube.com에서도 발생했습니다. TT 전체의 엔진에 버그가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곰곰히 생각해보니 네트워크 속도가 느린 컴퓨터에서 저장하면 글을 보내는 신호를 불완전하게 전송한다거나 서버에서 신호가 끊기면 알아서 전송된 부분까지만 저장하고 마무리해 버리는 버그가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하게 됐습니다.
작년에 Tistory에서 에러가 생긴 걸 발견하고 그 쪽에 복구를 요청했었는데 (전에 저장한 글들을 수정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나타났기 때문에 서버에 백업본이 당연히 남아있어야 하는데....) 복구할 수 없다는 통보를 듣고 정말 난감해 했던 생각이 떠오르네요. (원고 줘야 하는데.... -_-) 암튼 문제가 나타나던 며칠을 제외하고 이후에는 문제가 안 나타나더군요.
한 번 확인해 보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ps. tistory에선 ie6을, textcube.com에선 ff3을 사용중에 발생했습니다.
안녕하세요...
백업을 복원하는 일을 자주 하지는 않는 것 같은데 이거 힘드네요.
백업한 것을 어떤 곳(Tistory, Textcube.com, ohmynews 등등 포함)이든 복원할 때 이상하게 글들이 전부 카테고리의 루트에 위치하게 됩니다. 루트에 위치하게 되니 원래대로 다 옮기기 힘들구요....
글 수가 몇 십개만 되도 힘들어지는 건 어쩔 수 없는 것 같습니다.
고쳐주시길 바랍니다. ^^
윗분들의 답변이 이상한 방향으로 흐른 것 같은데....
용량초과로 인한 복구불가는 LonnieNa 님 말씀대로 뾰족한 수가 없고, 블로그 분활 등의 방법밖에 없어 보입니다.
백업화일을 분활하는 유틸리티나 분할백업이 지원되길 기다린지 벌써 몇 년...ㅜㅜ
어쩌면 곧 될 수도 있겠지만,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것과는 별도로 본문 영역의 CSS를 아예 따로 분리하자는 말씀이시죠? 만약 흰 색 바탕인데 검정색 스킨 적용하게 되면 글 부분은 흰 색으로 나오게 되는건가요? T_T 아니면 오피스처럼 컬러셋을 프리셋으로 만들어서 스킨에 맞게 변경되게 하는 쪽인가요?
아무래도 스킨 배경과 글 배경의 조화를 위해서 그 사이에 중간영역을 넣는다거나 하는 작업이 필요하겠죠.
제가 하고싶은 말씀은 글을 작성할 때의 글배경색은 어느정도 유지를 해줘야 하고.... 그래서 스킨을 만들 때의 환경을 글에 포함시켜서 남겨두자는 것이었습니다. (글 배경에 속하는 CSS와 HTML을 남겨두면 되겠죠? ^^)
아무래도 제가 하는 말이 개발을 전부 다 알고 하는 말이 아니라서 명확지 않을 수도 있겠네요. 이 점은 애해해 주시길~~
새로운 대화명으로 돌아와 예전에 올렸었던 글들을 읽고 있자니 추억이 새록새록 하네요. ㅎㅎㅎ
그런데 TnF의 가장 큰 문제점은 역시 검색이 안 된다는 것일듯 싶어요. ^^;
다른 분들은 검색을 지원하지 않아도 불편하시지 않나봐요?
textcube.com을 가입해서 이전에 건의했던 스팸정책(처음 댓글/엮인글 남긴 사람만 주인장의 공개심사를 받는 방식)이 구현된 것을 보니 정말 강력하게 적용되는 것 같더군요. (비록 TnF에서 활동하시는 분의 블로그에 가보니 이를 적용하시지 않는 것 같지만요...)
그런데 이런 방식을 워드프레스 기반의 가입형 블로그 사이트인 http://blog.qrobo.com 에 가입하여 살펴보니 거기에도 구현되어 있더라구요. 원래 워드프레스에서 먼저 구현되어 있었던 것인지... 아무튼 신기하더라구요. ^^
그럼 다른 글들로 가끔 한 번씩 찾아뵙겠습니다. ㅋㅋ
안녕하세요.
이번 문제와 관련하여 오랫동안 생각하다가 이렇게 만드는 것이 어떨까 하여 포스팅해 봤습니다.
http://science.binote.com/95
물론 일이 엄청나게 많아지는 것 같지만 툴 전체를 생각할 때 구현해야 할 점이 아닐까 싶어서요.
TNF : Tatter Network Foundation forum » kkom가 작성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