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합니다. 헌데.....그부분은 제가 하다하다 안되서 추가한 부분이고. 역시 다시 수정해도 안되네요. ^^;;
엉뚱하게도. 스킨 문제가 아닌.... 플러그인과의 충돌인거 같은데요.
잿빛미소님의 simple post 플러그인과 마찰이 일어나는듯 합니다. 해당 치환자를 제거했더니 되더군요.;;
왜 충돌이 나는걸까요 ㅜㅜ
아직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로그인 또는 회원 등록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
TNF : Tatter Network Foundation forum » semi327가 작성한 글
페이지 1
감사합니다. 헌데.....그부분은 제가 하다하다 안되서 추가한 부분이고. 역시 다시 수정해도 안되네요. ^^;;
엉뚱하게도. 스킨 문제가 아닌.... 플러그인과의 충돌인거 같은데요.
잿빛미소님의 simple post 플러그인과 마찰이 일어나는듯 합니다. 해당 치환자를 제거했더니 되더군요.;;
왜 충돌이 나는걸까요 ㅜㅜ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도움을 얻고자 들렸습니다.
다름이 아닌.... 평소에 제 블로그에 제가 댓글 달 일이 없어서...ㅡㅡ;;
모르고 있었는데.
오늘에서야 누가 알려줘서 알게 됐네요.
댓글을 달면 . 익스플로러 하단에 페이지 오류라고 뜨면서. 화면이 아무 변화가 없습니다.
재밌는건. 댓글은 또 달려요. 그래서 그 현상을 모르는 사람은 왜 안달리나 하고 여러번 누르게 되고
그러다 보면 여러개가 달려버리죠. (새로 고침 하면 달려 있습니다.)
그래서 어디서 오류가 나나 찾아보려고 해도. 모르겠고 해서.......도움 구합니다.
태터툴즈 1.1 을 사용중입니다.^^
태터툴즈의 포스트 작성시 발행기능이 이올린(www.eolin.com)과 연동되는데에 따른 불편이 생깁니다.
지금 현시각도 마찬가지의 불편이 생겼습니다.
즉, 이올린 사이트의 문제로 마비가 되면......태터에서 포스트 작성시 "저장하기" 를 눌러도...한참동안이나......"저장하고 있습니다." 라고 나오는 덕에...
성격 급한 사람들의 경우 기다리지 못하고 페이지를 벗어나 버립니다. (사실 조금전에 당했지요..;;)
그럼 DB 기록에 문제가 생기는지....그 이후로는......새글 쓰는 창도 열리지 않고.....방금 작성한 포스트는 보이기는 하는데 수정하기 창 역시 나타나지 않게 되버립니다.
왜그런가 했더니.....역시....예전에 몇번 겪었듯이 이올린 사이트가 먹통이더군요...
즉, 포스트 작성시 이올린에 관련 정보를 보내고 그에대한 답을 받아야 완료가 되는것 같은데....
시도때도 없이 뻗는 이올린의 비위를 맞춰가면서......포스팅 해야할 이유가 있을까요?;; 뭔가 어렵지 않은 해결책이 있을것이라 생각되는데...
그렇다고...포스트 작성시 마다 이올린이 정상인가 아닌가 확인해가면서.....발행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를 결정할수는 없지 않겠습니까?;;
메타 사이트(올블로그...등) 같은 다양한 기능은 없더라도.....이올린 사이트에대한 성능적인 강화도 필요해 보입니다...
..........................from 한참을 헤메다 DB 를 뒤집어까서 비정상적으로 작성된 게시물 DB를 삭제하고서야 정상으로 돌아온 이......
다름이 아니라 댓글 알리미를 하위폴더 까지 적지 않고 도메인만 적어서 작동하게 하는방법에 관하여
태터 팁 란에 다음과 같은 것을 찾았습니다.(태터팁 15번 게시물)(하위폴더 tt 일 경우)
RewriteEngine On
RewriteBase /
RewriteRule ^$ tt/ [L]
RewriteRule ^(tt|old|gallery|myphp|photo|tmp|cafe24_data) - [L]
RewriteRule ^(.*)$ tt/$1 [L]
루트에 있는 .htaccess 파일을 이렇게 설정하면 하위 폴더로 바로 접근 가능하고
도메인/글번호, 도메인/글제목 으로 입력을 하여도 자동으로 도메인/하위폴더/글번호 , 제목 으로 이동시켜주면서 알리미 역시 동작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저는 루트에 프레임문서인 index.html 을 거쳐가길 원하기 때문에 (하위폴더 jamie)
RewriteEngine On
RewriteBase /
RewriteRule ^[0-9]+$ index.html [E=SURI:1,L]
RewriteRule ^rss jamie/rss/ [L]
이런식으로 구성이 되어있는데요. 즉, 도메인/글번호 로 주소가 입력되면 프레임문서(index.html)를 거쳐 해당 프레임에 해당문서를 출력되도록 하고 있습니다. rss 도 마찬가지구요...
그래서 두가지를 조합하여 댓글알리미 작동시에는 바로 하위폴더로 연결 시키고 나머지는 프레임문서 index.html 를 거쳐 이동하게끔 하려고 노력해보았는데 쉽지않더라구요.
.htaccess 설정도 할줄 모르는데다......댓글 알리미가 어느 폴더로 정보가 전해지는지도 모르니...
별 난리를 쳐도 안되네요..;;; 불가능해 보이지는 않는데.......워낙 지식이 없어서
감사합니다. ^^
네. 전체주소를 남겨야 하는것은 알지만 그렇게 될경우 만약 상대방이 제 이름을 클릭해서 제 블로그를 방문하였을 경우 프레임이 포함되지 않은 장면을 보게 되니 별로더라구요.
그리고 항상 주소칠때 하위폴더까지 적는것도 번거롭구요.^^
www.ideakiss.com 이라고만 남겨도 댓글알리미가 작동하였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다음 버젼에서는 rss나 트랙백주소 댓글알리미받는 주소 같은것도 설정할 수 있는 부분이 있었으면 좋겠네요..
잠깐 생각만해봐도 복잡하게 느껴지지만....^^;;
chester 님의 도움 기다리겠습니다. 저도 계속 연구중인데.....
이놈의 실력으로는 해결이 안되네요..;;
댓글 알리미 작동 원리가 어떻게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BGM 때문이기도 하지만 태터를 루트에 깔면 .htaccess 때문에 다른것은 포기해야 되는경우가 많아.
하위 폴더에 태터를 설치하여 쓰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겨우겨우 루트의 .htaccess 를 수정해서 도메인만 입력해도 하위폴더에 설치된 태터로 가도록(프레임을 포함해서)
또, 도메인/글번호 를 입력해도 도메인/하위폴더/글번호 로 가도록 해두었습니다.
문제는 댓글 알리미가 작동하지 않는 건데요.
다른 블로거의 블로그에 가서 댓글을 남기고 홈페이지 주소에 도메인/하위폴더 까지 적어주어야 댓글 알리미가 작동을 합니다.
이부분은 하위폴더에 설치한 대부분의 블로거들이 겪는 문제라고 생각됩니다.
도메인만 적어도 댓글알리미가 작동하게 하려하는데 아무리 찾아도 모르겠습니다.
.htaccess 를 실력이 없어서 뒤죽박죽 고쳐봤지만 안되더군요.
혼자 판단하기로는 댓글을 남길시에 입력한 홈페이지 주소를 참조하여 특정경로에 있는 파일에 댓글에 대한 정보를 보내주는것 같습니다.
그렇게 되면 그 정보를 받는 파일이 있는 곳의 위치와 .htaccess 에서의 설정법만 알면 해결될듯 한데. 쉽지가 않군요.
혹시 도움을 주실수 있는 분이 계시면 부탁드리겠습니다.
+(.htaccess)
RewriteEngine On
RewriteBase /
RewriteRule ^[0-9]+$ index.html [E=SURI:1,L]
RewriteRule ^rss jamie/rss/ [L]
php_flag register_globals on
CheckURL Off
루트의 .htaccess 설정은 저렇게 되어있습니다. 뒤에 숫자가 입력될 시에 index.html 로 가서 프레임을 나누어 출력되도록 되어있습니다.
이지웍에 담겨있는 more/less 의 기능을 개선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블로그의 포스트 특성상 사진이 수십장 붙어있는 게시물이 내가 찾고자 하는 게시물과 연관이 있어.
같이 출력된다면 (포스팅 출력 개수 xx개...)
그 사진들 덕분에 로딩에 불편을겪기도 하고 스크롤의 압박으로 찾아오기도 합니다.
그런면에서 more/less 기능은 원하는 사람만 눌러서 보게 할 수 있는 유용한 기능이라 할 수 있는데요.
우선 간단한 것 부터 보자면
more/less 를 열기 전 버튼과 열고 나서 닫는 버튼의 위치가 달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더 보시려면 열어주세요] 라는 버튼의 위치는 상관 없지만 [다시 닫아주세요] 라는 버튼은 안에 담긴 내용의 가장 마지막 부분에 있어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스크롤을 수없이 내려서 다 보고 나서 접으려면 되려 위로 한참을 거슬러 올라가 닫아야 하니까요.
또 하나를 추가하자면. more/less 기능이 단순한 레이어 기능이 아니였으면 좋겠습니다.
보통 more/less 기능은 많은 사진들을 넣을때도 유용합니다. 하지만 해당 포스트가 로딩시 단지 숨겨져만 있을뿐 페이지에 포함 되어있으므로
보이지 않는데에도 불구하고 로딩이 되고 있습니다. 즉, 사진 용량이 많다면 그리고 more/less 안에 있는 사진들 부터 읽고 있다면....
정작 포스트에 포함된 다른 사진들은 한참 뒤에나 로딩될 수도 있지요.
그냥 보이기에만 숨겼다 보여주는 형식이 아닌 more/less 를 눌렀을때 그제서야 그부분을 로딩하는 방식이라면 트래픽에도 효과가 있고 방문객들에게도 좀더 편한 서치를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페이지 1
TNF : Tatter Network Foundation forum » semi327가 작성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