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

(2 답글들, 질문과 답변 / 사용자 지원에 작성)

요고 논의가 되었던 것 같기도하고..
되어야 하나 말아야하나.. 에서 포털의 카페도 수정하면 수정시간으로 변경되고,
일반적인 포럼형 게시판에서도 수정시 수정시간을 따로 표시해주고,
코드 수정하면 될 것 같은데, 여쭈어 봐야겠네요.

phpmyadmin 같은 툴로 DB에 집적 접속이 가능하시면 임시로 비밀번호를 111111로 변경 가능합니다.

203

(1 답글들, 질문과 답변 / 사용자 지원에 작성)

워드프레스요? 텍스트큐브겠지요?
이전하기전의 서버 DB의 문자셋이 euc-kr이지 않았나 싶습니다.
이전한 서버는 utf-8이구요.
이전의 관리자페이지에서 데이터 백업한 xml 파일은 없으신가요?

정보 고맙습니다.

요상하네요.. 다시한번 잘 해보시겠어요?

206

(1 답글들, 질문과 답변 / 사용자 지원에 작성)

FTP로 접속하셔서 루트나 블로그가 설치된 곳에 favicon.ico 파일을 업로드해 두시면 될 것 같습니다.
favicon관련 사항은 포털의 검색을 활용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https://www.google.com/#hl=en&sugex … p;bih=1008

이외 블로그 아이콘의 설정은 관리자 블로그 환경설정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207

(1 답글들, 질문과 답변 / 사용자 지원에 작성)

등록을 해야만 검색이 되는건 아닙니다.
등록없이도 요즘은 포털의 검색봇의 기능도 좋고, 더구나 잘 알려진 지속적으로 활동하는 사이트에 대해선 직접 해당 포털에서 등록도 해주기도 합니다.
회사정보를 기입하라고 하셨다고 하시니, 기업 블로그인 듯 싶습니다.
기업사이트의 경우는 위와는 달리 직접 포털에 등록하는게 맞습니다만,
단순히 직접적인 검색을 통한 순위나 품질을 높이기 위함이며, 앞서 언급했듯 시일이 좀 걸리지만 지속적인 블로깅만으로도 검색사이트에서의 검색결과는 거의 비슷하게 보여집니다.

회사정보를 기입의 경우 사용중인 스킨에서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캐쉬문제인 것 같네요.
관리자첫페이지에서 캐쉬삭제해보세요.

단일 블로그일 때와 다중블로그일 때의 .htaccess 설정파일이 다릅니다.
가장 쉽고 정확한 방법은 텍스트큐브 관리자페이지에서 데이터 백업을 이용하여 백업하고 다시금 이전 후 데이터관리에서 복구하는 방법입니다.

환경설정>블로그 에서 숫자로 변경하시면,
domain.com/123 과 같이 사용가능합니다.

plugins/SB_Banner 플러그인 폴더에서
index.php 파일을 열어보세요.

중간쯤에..

$retVal = '<a href="' . $refsrc . '" ><img src="' . $imgsrc . '" /></a>';

이를 아래처럼 수정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retVal = '<a href="' . $refsrc . '" target="_blank"><img src="' . $imgsrc . '" /></a>';

212

(2 답글들, 질문과 답변 / 사용자 지원에 작성)

엔트리를 작성할 때 해당 글이 어느지역과 관련이 있다고 할 때
이를 글 작성에디터 아래쪽에 지역로그를 입력하는 곳에 입력해주면 지역로그(로컬로그)에 지역별로 글이 모아집니다.
더불어 지역로그를 활용하여 구글맵 플러그인을 쓰면 지도안에 해당 글들이 표시가 되구요.

메인코어의 구조는 같습니다.
확장팩에선 추가적인 플러그인이 포함되어있습니다.

네.. 맞게 잘 하셨어요.

215

(1 답글들, 질문과 답변 / 사용자 지원에 작성)

예전버전에 플러그인이 있었으나 지금은 최신버전에 호환이 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블로그 툴이라는 자체가 개인미디어에 최적화된 툴이다보니 회원기능은 미약합니다.

216

(1 답글들, 질문과 답변 / 사용자 지원에 작성)

대략적인 내용은, timestamp 라 하여 UNIX 시간을 기초로 합니다.
timestamp라는 것은 1970년 1월 1일부터 현재까지 흐른 시간을 초 단위로 나타낸 것인데요.
현재시간을 위의 기준시간으로 초단위로 계산하면 해당 숫자가 나옵니다.
자세한 것은 위의 키워드로 검색해보시면 나올 것 같네요.

요는 에디터에서 하기보단 사용중인 스킨에서 하는 것이 일괄적이지 않나 싶은데요.
본문 내에서 위치를 변경하고자한다면, 치환자를 쓰는 외부의 플러그인으로 하나 만드셔도 될 것 같습니다.

아직 이에대한 의견은 없습니다.
논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러게요.
고것만 빠져있네요;;
뒤져봐야겠네요.

처음 보는 증상이네요.
캐쉬 문제가 아닐까 생각이 되는데 다른 브라우져에서 테스트 해보는건 어떨까 싶네요.

500에러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는데 누락된 파일이나 코드상의 에러를 표현하곤 합니다.
업로드 중 누락된 파일이 있는지, 즉 텍스트큐브의 정상적인 폴더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백업파일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을 의심해봐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일반적으로 스팸트랙백이나, 호환성이 미약한 플러그인의 사용에 종종 백업파일의 생성이나 복구에 문제가 되곤합니다.
웹에 올려서 하거나, 로컬이시면 직접 텍스트큐브 백업폴더에 바로 위치하고 복구 시도 해도 될 것 같습니다.

tinyMCE편집기는 아직 테스트 단계입니다.
좀 더 안정적인 방향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224

(1 답글들, 질문과 답변 / 사용자 지원에 작성)

스킨을 바꿔도 똑같다는게 좀 이상합니다.
사용중인 스킨의 도메인이 다름에도, js나 css 파일은 동일한 주소에서 로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네요.
하나텍스트큐브에 다중블로그인가요?
다른 텍스트큐브에를 통한  다른블로그인가요?

가장 쉽고 좋은 방법은 ttxml 구조를 역으로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즉, 신규 텍스트큐브에 데이터를 복구하고 FTP에서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 하는 방법이지요.
만약 정상적으로 ttxml의 백업이 완료되었고 이 파이을 이용해 복구하였다면, 첨부파일이 누락되는 경우는 지극히 드뭅니다.
이미지 파일은 거의 압축이 되지 않으므로 첨부파일의 크기만큼 백업파일도 커지기 나름이니 백업된 파일을 크기를 확인하시어 첨부파일이 포함되어있는 백업파일인지부터 확인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백업파일의 크기가 몇MB 이하라면 첨부파일이 없을 가능성이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