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전: 11
작성자: egoing
날짜: 오전 11:35:43, 2006년 4월 20일 목요일
메시지:

----
수정됨 : /trunk/blog/owner/entry/attachmulti/item.php
수정됨 : /trunk/lib/view/ownerView.php
수정됨 : /trunk/script/uploader/uploader.swf

egoing님 다중 업로드 작업하고 게시군요^^
재미있네요 소스 변경되는거 보고 있으니까

http://ghj.pe.kr/attach/1/1160206585.png

Ajax를 이용해서 덧글을 달면 리플레시 없이 글이
추가됩니다. 하지만 위에 Comment(1)는 여전이 1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Comment(3)으로 되어 맞겠죠.

http://ghj.pe.kr/attach/1/1144788721.png

F5키를 눌러 리프레시 했습니다. 이제 잘 나오는군요

http://ghj.pe.kr/attach/1/1325032539.png

삭제시도 마찬가지네요 Comment(1) 이되어야 정상인데
Comment(3) 이라고 나오는군요.

[##_article_rep_rp_cnt_##] 에 comment를 찾을수 있게 <span id="Comment고유번호Count">를
추가하여 blog/comment/comment/itme.php 의 script를 적절히 수정하면 될것같은데요.
제가 너무 오바하는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28

(1 답글들, 스킨 및 플러그인에 작성)

    이벤트                               호출한파일
AddComment                     /blog/comment/add/item.php
                               /blog/comment/comment/item.php
AddFeedURLToolbox              /blog/owner/reader/action/feed/add//index.php
                               /blog/owner/reader/index.php
AddGuestComment                /blog/comment/add/item.php
AddNoticeEditorToolbox         /blog/owner/notice/edit/item.php
                               /blog/owner/notice/post/index.php
AddPost                        /blog/owner/entry/add//index.php
AddPostEditorToolbox           /blog/owner/entry/edit/item.php
                               /blog/owner/entry/post/index.php
GetRemoteFeed                  /blog/feeder/index.php
                               /blog/owner/reader/action/feed/add//index.php
ViewAttachedImage              /blog/archive/item.php
                               /blog/item.php
                               /blog/rss/index.php
ViewCommentContent             /blog/comment/add/item.php
                               /blog/comment/comment/item.php
                               /blog/comment/delete/item.php
                               /blog/item.php
                               /blog/tag/index.php
ViewCommenter                  /blog/comment/add/item.php
                               /blog/comment/comment/item.php
                               /blog/comment/delete/item.php
                               /blog/item.php
                               /blog/tag/index.php
ViewGuestCommentContent        /blog/comment/add/item.php
                               /blog/comment/delete/item.php
                               /blog/guestbook/index.php
ViewGuestCommenter             /blog/comment/add/item.php
                               /blog/comment/delete/item.php
                               /blog/guestbook/index.php
ViewLink                       /blog/archive/item.php
                               /blog/category/index.php
                               /blog/guestbook/index.php
                               /blog/index.php
                               /blog/item.php
                               /blog/notice/item.php
                               /blog/tag/index.php
ViewNoticeContent              /blog/notice/item.php
ViewPostContent                /blog/archive/item.php
                               /blog/category/index.php
                               /blog/index.php
                               /blog/item.php
                               /blog/rss/index.php
                               /blog/tag/index.php

fireEvent함수에 eventTrace라는 함수를 집어 넣어서 db에 저장하는 형태로
뽑아 냈습니다.

빠진게 있는지 궁금합니다.
오호 그리고 코드로 저장하니까 Bitstream Vera Sans 폰트를 사용하는 군요.
코딩시 가장좋다는 그폰트^^ 참 세심하네요..

29

(26 답글들, 스킨 및 플러그인에 작성)

{prefix}Plugins 테이블 구조

owner      : {prefix}Users의 userid 값이 들어갑니다.    PK1
name       : 플러그인이름                               PK2
settings   : 플러그인에 필요한 값을 셋팅하라고 여분으로 남겨놓은듯..

settings에 필요한 값을  구분자를 넣어서 넣어주고 잘라먹으면
웬만한환경설정은 다 될것 같은데요.
테이블이 필요하면 만들어서넣어주면 되겠죠.

그리고 activatePlugin deactivatePlugin 이벤트도 지원해주셨음하네요
그때 필요한 작업이 있으면 만들어서 넣어주면 활용할수있는 범위가
늘어날것 같아요.

두가지는 어떻게 해결해야 될까요?
1. 백업시 플러그인에서 사용하는 테이블의 백업
2. 플러그인에서 사용하는 테이블의 완전삭제

제가 만들려고 하는 플러그인은 통계플러스로 블러그에 상세한 통계정보를 제공할려고 합니다.
테이블 설계도하고 어느정도 코딩도 해두었는데 1번과 2번 문제가 걸리네요..

http://oooko.net/gomme/?p=200

답이 적혀져있네요^^
소스를 보니 쿠키하고 DB를 이용하네요

session table만 적당이 활용하면 현재접속자랑 그사용자가 무슨페이지를 보고 있는지 알수있겠네요

daybreaker 작성:

음.. 제가 시간이 없어서 소스를 직접 수정해서 커밋하는 것을 못하고 있는데..
시간이 없다는 것 말고도 한 가지 문제가 더 있습니다.
localhost에 설치한 게 로그인이 안 됩니다. ㅠ.ㅠ
MySQL의 암호 필드 등등 다 살펴보고, 보안 설정, 쿠키 설정 등등 확인해봤는데, 웹에서 운영하고 있는 제 블로그는 아주 잘 되는 반면 제 노트북의 Windows용 Apache 서버 기반으로 돌리는 sandbox 개발 버전은 로그인이 아예 안 되는군요. (공식 소스트리 버전도 마찬가지입니다)

로그인하고 나면 아무런 화면 변화 없이 다시 빈 로그인창이 나옵니다.

무슨 문제일까요?

참고로 Apache 설정은

Alias /tts "D:/Programming Sources/Daybreaker's PHP/Tattertools_sandbox/trunk"
<Directory "D:/Programming Sources/Daybreaker's PHP/Tattertools_sandbox/trunk">
    Options FollowSymLinks
    AllowOverride all
    Order allow,deny
    Allow from all
</Directory>

이런 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htaccess 파일명이 ".htaccess"가 아닌 "_htaccess"이기 때문에 설치 과정에서 수동으로 파일명을 바꿔줌으로써 설치는 잘 되었습니다.

예전에 1.0.1, 1.0.2 나올 때 chester님께 부탁받아서 설치해봤을 때는 문제가 없었는데...

덕분에 테스트를 제대로 못해보고 있습니다. orz (뭐, login 부분 소스를 조금 들여다보기는 했지만 완전 분석할만큼 시간이 없기 때문에..-_- 내일 모레가 중간고사.. OTL)

D:/Programming Sources/Daybreaker's PHP/
공백이랑 ' 걸리는군요
아래와 같이 해보시죠?
D:/Programming_Sources/Daybreaker_s_PHP/

로그인이 안된다고 하니 세션디렉토리 문제일수도 있겟네요.


php.ini의 session.save_path 를 확인해보세요.

아래와 같이 설정이 되어있는지요 tmp란 디렉토리는 실제로 존재해야 겠죠.
session.save_path = "C:\tmp"

테터툴즈 소스를 분석은 안해봐서 Db로 세션을 처리하는지
File로 처리하는지 아니면 쿠키로 처리하는지는 잘 모릅니다.

어떤 소스를 export해서 테스트를 해야하나요?

Subversion 사용 HOWTO 이재홍 작성:

trunk : 단어 자체의 뜻은 본체 부분, 나무줄기, 몸통 등 입니다.
프로젝트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디렉토리입니다. 모든 프로그램 개발 작업은
trunk 디렉토리에서 이루어집니다. 그래서 위의 구조에서 trunk 디렉토리
아래에는 바로 소스들의 파일과 디렉토리가 들어가게 됩니다.

branches : 나무줄기(trunk)에서 뻗어져 나온 나무 가지를 뜻합니다.
trunk 디렉토리에서 프로그램을 개발하다 보면 큰 프로젝트에서 또 다른 작은
분류로 빼서 따로 개발해야 할 경우가 생깁니다. 프로젝트안의 작은 프로젝트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branches 디렉토리 안에 또 다른 디렉토리를 두어 그 안에서
개발하게 됩니다.

tags : tag는 꼬리표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디렉토리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면서 정기적으로 릴리즈를 할 때 0.1, 0.2, 1.0 하는 식으로 버전을 붙여
발표하게 되는데 그때그때 발표한 소스를 따로 저장하는 공간입니다. 위에서 보면
tags 디렉토리 아래에는 버전명으로 디렉토리가 만들어져 있습니다.

SandBox ? 개발트리실험본이란 무엇입니까?  작성:

Reporter 분들의 다양한 실험을 지원하여 Developer 단계에 이를 수 있도록 도와드리기
위한 일종의 핵실험장(?)입니다.  Reporter 등급 이상의 분들만 Commit 이 가능하시며,
SandBox 에서 원활이 동작하는 코드는 Developer 에 의해서 바로 원본트리에도 반영이
됩니다. SandBox 에서 원본트리로 채택되는 코드가 많아지면 해당 Reporter 는 Developer
의 자격을 얻으시게 되고, 원본트리에 대한 Commit 이 가능해지게 됩니다.
원본소스트리는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대단히 조심스럽게 다루어져야 하는 소스트리입니다.
2중 3중의 commit 절차가 복잡하지만, 안정화된 Tattertools 를 위한 불가피한 조치임을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오늘 SandBox에 있는 내용을 export해서 블러그로 업데이트했습니다.
Trunk에는 #5가 해결되어 있는데 SandBox에는 적용이 되어 있지 않습니다.
한글파일업로드시에 일어나는 문제를 해결했죠.
SandBox를 거치지 않고 바로 Trunk로 들어가게 된것 같은데 SandBox는 Trunk보다
항상 많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야 되지 않나요?
만약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클래스가 SandBox를 거치지 않고 수정되었을 경우 문제가 발생
할것 같습니다.

충분한 버그테스트를 위해 Trunk에 반영되기전 sandBox를 통한 개발및  버그테스트를 마치고
적용되는게 좋을것 같네요.

저의 개인적인 생각은 안정성도 중요하지만 개발의 효율성을 위해서는 trunk에서 작업 하는게
더 좋지않을까 하네요. 공동으로 개발은 해보지 않아서 ^^ 열심히 dev.tattertools.com이 어떻게 돌아가나
유심히 모니터링 하고있습니다.
분리되어서 개발해야될 프로젝트는 branches에서 만들고 작업한후 디렉토리만옮기면
되니가 충돌이 일어나지는 않을꺼구.

먼곳에서 바라보면서 한수 배우고 있습니다.
다들 수고가 많으십니다.^^

트랙백 스팸처리는 1.06으로 넘어갔죠?

한동안 안들어 오길래 오호 개발버젼에서 해결을 했나 싶었는데 또 들어 오는군요..


this is very good.
this is very good 09:44
this is very good.
this is very good 09:13
this is very good.
this is very good 08:59

v1.0.5 개발관련노트
추가될 부분에  다중파일 업로드 부활이란 부분이 있더군요
(플래시를 이용한 업로드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저도 그쪽에 관심이 있어서 업로드및 단일다운로드 까지는 해보았습니다.
아래의 사이트 에서 확인가능합니다.

플래시 업로드 다운로드

이걸 디자이너에게 디자인과 UI변경해 달라고 해서 자료실에 활용을 했습니다.
바로 나오는말이 이거 버그가 있다고 하시더군요. 다운로드가 하나밗에 안된다.
왜 다중파일 다운로드가 안되냐고? ㅠ.ㅠ

플래시는 swf파일 만드는 방법과 F9만 사용할줄 알기에 진행률 및 진행완료된
파일수 표시까지 해보고 다중파일 다운로드는 내공이 부족해 구현을 못했습니다.

이번에 테터툴즈에서 다중파일 업로드를 부활한다고 하니 다중파일 다운로드
같이 개발하는건 어떨까요 ?
고객님들이 이야기가 나올것 같네요.  꼭(???) 필요한 부분 같아요^^

테스트사이트 : http://ghj.pe.kr
리비전 : 15
         svn export http://dev.tattertools.com/sandbox/trunk
         명령어를 실행하여 익스포트된 리비전 15.


suggestion script를 태터툴즈로부터 시작하게 하여
timeout waiting으로 인한 글쓰기 문제

localhosts파일을 조작해서 아래와 같이

127.0.0.1         localhost
10.10.10.1        www.eolin.com
10.10.10.1        eolin.com

접근이 안되게 한다음 글쓰기를 해보았습니다.
이건 전에 제가 제시했던 내용이라
(
  아랑==>webthink로 아이디 변경했습니다.
  forum에서 계정삭제는 안되는군요.
)

오호잘되더군요 태그입력도 잘되고

영어 기본 제공 기능
특별한 문제는 없어보이네요.

운영해보다가 문제 생기면 리포트 하겠습니다.

저도 다운 받아서 설치할 생각입니다.
실제로 운영중인 블러그에서 사용해 보는게 좋겠죠?
물론 백업은 필수^^

svn export http://dev.tattertools.com/svn/trunk tattertools

요런식으로 해서 다운로드 받아가면 현재 개발버전을 받아갈수 있는건가요?
명령어를 실행시키고 나니까 아래와 같이 나오는군요.

익스포트된 리비전 4.
제대로 한건지 모르겠군요.

실험본은 아래 명령어를 통해서 가능하군요^^  오후 06:29분자 업로드중입니다.
svn export http://dev.tattertools.com/sandbox/trunk

익스포트된 리비전 15.

37

(6 답글들, 잡담하기에 작성)

dev.tattertools.com을 보면서 Trac 이라는 프로젝트관리 시스템이 뭐에 쓰는
물건인지 궁금점이 생겼습니다. 구글의 도움을 얻어 어제오늘 제 노트북에 svn과
Trac을 설치하고 checkout update commit export lock 등등을 하면서
즐거운 주말을 보냈습니다. 첨으로 Wiki포멧으로 글을 써보기도 했습니다.
재미있더군요.

이클립스 + PHP + SVN플러그 인 요렇게 설치하면 최적의 개발환경이 될것같은데.
어떤식으로 구축을 하셨는지도 궁금하군요.

38

(7 답글들, 잡담하기에 작성)

메뉴얼에 다중사용자 설치 글올렸습니다.
wiki 사용법을 잘 몰라서 단일사용자 설치 소스를 보면서 따라했습니다.
잘되더군요.
wiki에서 파일업로드 하는게 신기하더군요.
한참을 업로드 버튼을 찾아 헤메었는데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