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즈음은 문자 코드로 UTF-8을 흔히 쓰는데, 옛 서버의 mysql db에는 한글이 EUC-KR로 들어갔을 것 같습니다.
mysql 백업 파일이 있다면 문서 편집기나 코드 변환기로 UTF-8으로 바꾸어 주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directory라는 방이 텍스트큐브 전체의 고쳐쓰기 규칙이 적용되지 않게 하려면 텍스트큐브가 설치된 경로의 .htaccess에 다음 내용을 끼워 넣어 주면 될 겁니다.

RewriteRule ^directory($|/.*) - [L]

이렇게 하면 만약 directory라는 자료방 안에 .htaccess 파일이 있으면 그 파일에 들어간 고쳐쓰기 규칙이 적용됩니다.
물론 위 내용은 텍스트큐브의 고쳐쓰기 규칙보다 앞에 들어가야 합니다.

저는 인터웍스 제어판을 쓰는 호스팅에서 텍스트큐브를 쓸 때에만 블로그 통계 도표가 나오지 않는 것을 겪었습니다.
그 때에 J.Parker님의 블로그에 달린 덧글을 참고해서 이리저리 시도해 보았지만 glmeet님과 같은 증상만 나타났습니다.
우연이었는지 몰라도 호스팅에서 suPHP를 도입한 뒤에 그런 증상이 나타났기 때문에 호스팅 관리자께 물어 보았지만,
원인을 알아 내지는 못했습니다.
아무튼 호스팅 서버의 환경 때문에 나타나는 문제인 것만은 틀림 없어 보입니다.

29

(1 답글들, 스킨 및 플러그인에 작성)

http://pat.im/816

SNS와 즐겨찾기에 글을 보내는 단추를 붙이는 플러그인입니다.

.htaccess 파일이 숨김 파일이어서 FTP로 파일 목록을 볼 때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FTP 풀그림에서 숨김 파일을 나타내도록 설정하면 보이기도 합니다.
파일질라에서 숨김 파일을 보는 방법을 아래 글에 적어 놓았습니다.

http://pat.im/532

플러그인 자료실에 자료를 올릴 때는 플러그인을 쓸 수 있는 텍스트큐브 판번호(버전)을 태그로 넣게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이 정보가 목록이나 글에는 겉으로 나타나지 않아서 아쉽습니다.
아래처럼 태그 검색 주소로 들어가야 겨우 알 수 있습니다.

http://www.textcube.org/plugin/tag/1.8
http://www.textcube.org/plugin/tag/1.7

이 때문에 판번호를 태그로 한 번, index.xml에 minVersion/maxVersion으로 한 번 넣었어도 자료 설명에 또 적어야 합니다. minVersion 기능은 텍스트큐브 1.8 이상에서만 작동하므로 1.8 이상에서 쓸 수 없는 플러그인은 자료 설명에 더 강조하지 않을 수 없는데, 이미 양식에 맞춰 넣었던 정보는 깜빡하고 설명에서 빠뜨릴 때가 생깁니다. 플러그인 만든 이가 양식에 맞추어 넣은 판번호 정보를 플러그인 자료실이나 블로그 관리 화면에서 쉽게 볼 수 있게 한다면, 쓰는 이가 작동하는 텍스트큐브 판번호를 몰라서 겪는 혼란을 줄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