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2 답글들, 티스토리(TiStory.com)에 작성)

고맙습니다. 역쉬 루나모쓰님은 모르는게 없으셩... ㅡ0ㅡ;

27

(2 답글들, 티스토리(TiStory.com)에 작성)

안녕하세요.

기존에 tisNoteSpring 이라는 스킨을 쓰고 있었습니다. http://danielsdiary.tistory.com

그 스킨의 내용을 살짝 수정해서 자아알 쓰고 있다가, 새로운 스킨인 tisDiary 라는 스킨으로 바꾸어 쓰려고 하는데, 스킨 변경이 안됩니다. 스킨을 변경해서 그걸 다시 수정하려고 하면 기존의 tisNoteSpring 스킨 내용이 엉망으로 깨져서 보이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말인데요...

왜 기존 스킨을 수정해서 쓰다가, 새 스킨으로 바꾸고 나서 다시 수정하려고 하면 "기존의 스킨은 삭제된다. 그래도 계속하겠냐?" 라는 알럿창 뜨고 그뒤로 OK 하면 수정화면이 나타나는데요... 그게 또, 기존의 스킨 내용을 아예 새 내용으로 뒤집어 엎어도 옛날의 스킨 내용이 뜨게 됩니다.

제가 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닌 것 같은데요, 어떻게 해결할 수 있나요? @_@

위에 exif 정보 보기 플러그인 언급이 아주아주 초기에 있었는 것 같은데, 그 뒤로 이 얘기는 쏙 빠진 것 같아서요. 전혀 EXIF 관련 플러그인 추가 계획은 없으신가용? ^^;

RewriteCond %{HTTP_REFERER} !^$
RewriteCond %{HTTP_REFERER} !^http://(www\.)?(justinchronicles.net|letmeshow.info)/.*$ [NC]
RewriteRule \.(gif|jpg|png|bmp|GIF|JPG|PNG|BMP|wav|mp3|wma|WAV|MP3|WMA|mpg|mpeg|avi|asf|wmv|swf|MPG|MPEG|AVI|ASF|WMV|SWF|zip|rar|exe|ZIP|RAR|EXE)$ - [F]

이런 코드를 .htaccess 맨 마지막 부분에 추가했습니다.
목적은 해당 도메인을 제외한 나머지 도메인에서 이미지 무단링크를 막기 위한 것입니다.

그런데, 테스트를 해봤더니만... 음... 안되네요. ㅡㅜ
아래 이미지가 안보여야 정상인데... ㅡㅡ;

http://www.justinchronicles.net/chronicles/attach/1/763530.jpg

저거 맞는것 같은데 말이죠... 아... 망할놈의 정규표현식. ㅡㅡ;

아싸... ㅡㅜ

아무생각없이 dotname.co.kr 계정 관리자 화면에서 외부차단용 .htaccess 파일 생성 버튼 클릭했더니만 기존 태터에서 만들어놨던 .htaccess 파일을 덮어씌워 버렸습니다 그려... ㅡㅜ

.htaccess 파일의 내용은 멀티유저환경에서 path 방식일 경우 어느 태터나 동일한가요?
그렇다면 내용을 좀 올려주시겠습니까?

아씨... 삽질의 연속이여... ㅡ0ㅡ;

inureyes 작성:

그냥 스킨 차원에서 방명록 링크를 다른 걸로 바꿔 다시는게 훨 편하실듯^^

됐다.. 한글. 앗싸~

그나저나... 아무래도... 그래야 하는가보죠? ㅡㅜ
그렇다면 그래야죵. ㅎ

Sorry for typing in English.

I could only find those two events related into "GuestBook":

ViewGuestCommentContent
ViewGuestCommenter

But, I guess they are used for comments handling purpose on "Guestbook." So, I'd like to know if any other event for "GuestBook" which represent the link itself. For example, in my blog, when I click RSS Feed link, the link redirects me to the FeedBurner RSS that is http://feeds.feedbuerner.com/JustInChronicles, rather than the RSS by TatterTools, which is http://www.justinchronicles.net/chronicles/rss.

I used the event, "viewRSS," when I made the plugin, "FeedBurner Redirector" for that purpose. Therefore, in similar way, I'd like to know any event representing the same function on "GuestBook" as "viewRSS."

Thanks.

나니 작성:

무슨 말인지 모르겠..  (......)

모르겠다는 건지 알겠다는 건지... ^^;

왜 그니깐... ViewRSS 인가 하는 이벤트가 있자나요. 그거 이용해서 FeedBurner 플러그인 만들어 뒀는데요, 그런 식으로 방명록 링크에 마우스 올리면 태터의 방명록 대신 다른 곳으로 리디렉션 시킬려고 하거든용.

방명록 찍을 때 넘어오는 이벤트가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RSS 찍을 때에는 crizin 님 블로그 참고해서 FeedBurner RSS로 넘겨줬는데, 방명록 찍을 때 다른 방명록 게시판으로 넘길려고 하니까 이벤트를 못찾겠어요. ㅡ0ㅡ;

확인 부탁드려용. ^^;

inureyes 작성:

참고 바랍니다^^

http://forum.tattertools.com/ko/viewtopic.php?id=1350
참고로 1.1 기준입니다 smile

넵! 고맙습니다. ^0^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당. ㅎ

inureyes 작성:

참고 바랍니다^^

http://forum.tattertools.com/ko/viewtopic.php?id=1350
참고로 1.1 기준입니다 smile

아앙... 저게 1.1 기준이었구낭... 어쩐지 집어넣어두 안되드라... ㅋ
1.0.6.1 기준으로 플러그인을 만들고 있는지라... ㅎ

조만간 1.1 나올텐데... 쩝. 구찮아서 또 어케 업구리 한댜... ㅡㅡ;

요즘 들어 자주 쓰게 되네요. ^^;

다중블로그 도메인 방식에서 config.php 파일의 세팅값이 어떻게 되나요?
저는 지금 현재 path 방식을 쓰고 있는지라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 알 길이 없습니다...

특히 $blog['name'] 부분이랑 $service['domain'], $service['path'] 변수 값이 어떻게 되는지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용?

Path 방식일 때에는 URL을 가져오는 방법이 $service['domain'].'/'.$blog['name'] 정도가 될텐데, 도메인 방식에서는 또 다르지 싶어서 그렇습니다용.

부탁드려용~ ^0^

gendoh 작성:
lunamoth 작성:

예 Justin님 말씀도 맞는 것 같습니다. 일단 태터툴즈가 일반 홈페이지에 서브 메뉴 방식으로 블로그를 추가하는 식의 홈페이지 빌더 개념으로 제작되지 않아서 발생한 문제라고 보이고요... 루트 접근시의 고려도 필요할 듯 싶네요.

첫페이지를 어디로 보여줄꺼냐에 대해 일단 "태터툴즈"에서는 시스템 소유자(최초 개설자)로 돌리는 것이 적당하다고 의견이 모여 적용된 것입니다. 현재 상태에서 루트페이지를 임의로 돌려버리면 다른 기능들이 일부 오작동 됩니다.

중규모 이상의 시스템이라면 역시

"방직공장 1.0" 이 되어야... smile

겐도님 말씀도 일리가 있습니다. 블로그 최초 개설자의 블로그로 돌리는 것도 하나의 방향이긴 하죠. 근데, 그 블로그 최초 개설자가 다른 페이지도 운영하고 있다면요? 다중블로그라 하더라도 블로그만 돌리는 것이 아니라 다른 페이지 - 위에서 예를 든 - 도 운영하고 있다면, 거기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먼저 블로그부터 들렀다가 가야 하는 것이 현재의 상황입니다.

다시 말씀 드려서, 블로그'만'을 돌린다고 가정한다면 겐도님 말씀이 일리가 있습니다만, 모든 사용자가 블로그만 쓰지는 않는다고 봅니다. 따라서, 현재와 같이 index.html 파일을가능성을 애초에 원천적으로 차단시키기 보다는 열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저는 /blog/index.php 파일에서 위에 말씀드린대로 $owner=1 부분을 삭제하고 다시 루트의 index.html 페이지로 강제 리디렉션 시켰습니다만 이것은 궁여지책일 뿐이지 바람직한 방법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어쨌든, 1.1 버전에서는 이점을 고려하신다고 하시니... ^^ 기대하고 있겠습니당. ㅎ

inureyes 작성:
gendoh 작성:

메일 전송에 실패하면 추가가 안된다죠;;;

user 테이블에 수동으로 입력하는 방법정도;;;;

메일 하나로 모든 계정에 접근하려면 소스를 좀 손보시면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ownership 체크하는 루틴이 있는데 거기만 뚫으면 되려나.. --?

그게; 실패해도 추가가 됩니다.

태터스토리 초대를 다 그런 식으로 했으니 확실할거에요;;;

으흙흙~ ㅡㅜ 아니되어요. ㅡㅜ
로컬에다가 SMTP 서버 깔아서 안가도 가는 척 하면 될려나...
무슨 랩탑에 벼라별 걸 다 깔어... ㅡㅡ;

gendoh 작성:

blog/index.php에서 "$owner = 1;"이라는 부분들이 보일 것입니다. (원래는 lib/suri.php에 있던 내용, 서브버전에서 받은 경우 이파일입니다.)

이 owner의 기본값을 변경해 주면 루트 페이지로 접근했을 때 기본 블로그를 변경 할 수 있습니다. skin.html에 적당한 프론트 페이지를 만들어 넣은 블로그를 만들고 그 블로그의 owner id로 위의 값을 수정해 주면 될것입니다.

됐습니다. 알려주신 부분에서 $owner=1 부분을 주석처리하고 그 밑에 header("Location: ../index.php"); 넣어서 초기화면으로 리디렉션 시켜버렸습니다.

--
하지만, 여전히 이해가 안가는건 말입니다. 왜 자동으로 최초개설자 사이트로 강제리디렉션을 시키는지요? 그냥 냅두거나, 최초사용자 환경세팅에서 리디렉션을 시킬지 아닐지 결정해야 하는것 아닐까요?

저기 위에 lunamonth님의 글 같은 경우야 ID 분양하는 블로그 사이트의 메티페이지로서 역할을 한다지만, 보통 도메인 하나로 여러가지 기능들 - 블로그, 자료실, 일반 게시판, 일반 HTML 페이지 등등 - 을 운영하는 사람들은 그것을 안내하는 최초 페이지로서 index.html을 사용할텐데 그걸 가로채는건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예를 들어서, http://www.abc.com 을 운영하는 사람이
- About me (HTML)
- My Portfolio (HTML)
- Blog #1 (태터 - 멀티유저모드, 최초 개설자)
- Blog #2 (태터 - 멀티유저모드)
- 네이버 블로그
- Sources (제로보드)
- 관련 사이트 링크

라는 자신만의 메뉴로 index.html 페이지를 만들어 놨다고 가정했을 때, 누군가 http://www.abc.com 으로 접속했을 경우 저런 모든 것들이 무시되고 http://www.abc.com/blog1 페이지가 마치 http://www.abc.com/index.html 인 것인마냥 보이는 것은 사용자로서는 납득할 수 없는 일이 아니겠습니까?

gendoh 작성:

blog/index.php에서 "$owner = 1;"이라는 부분들이 보일 것입니다. (원래는 lib/suri.php에 있던 내용, 서브버전에서 받은 경우 이파일입니다.)

이 owner의 기본값을 변경해 주면 루트 페이지로 접근했을 때 기본 블로그를 변경 할 수 있습니다. skin.html에 적당한 프론트 페이지를 만들어 넣은 블로그를 만들고 그 블로그의 owner id로 위의 값을 수정해 주면 될것입니다.

흠... 고맙습니다. 또다시 한번 찾아봐야겠네요. .htaccess 파일에서 자동으로 최초개설자 블로그 페이지로 넘겨주는 것 같던데... 이 .htaccess 파일을 수정하면 안되나요?

나니 작성:

주소가 길어지니 이왕 그냥 짧은게 낫지 않을까요?

헙... 나니님 말씀이 무슨 소린지... 이해가 안됩니다. ㅡㅜ

제 말은 별도의 index.html 파일이 있는데, 그게 자동으로 매핑이 안되고 엉뚱하게 태터툴스 최초개설자 블로그가 보이니까 이상하다는 건데용.

inureyes 작성:
Justin 작성:

음... 열심히 클래식 버전에서 1.0.6.1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중입니다. 계속 클래식 버전으로 만족하려고 했으나, 스팸 코멘트와 트랙백의 압박이 결국은... ㅡㅜ

우쨌든둥, 업그레이드 하면서 블로그도 좀 나눠서 써보고 싶고... 그래서 다중 블로그 세팅을 하고 있는 중입니다만...
--

보통 저는 개발환경을 제 랩탑에 구축해 놓고, 거기서 데이터도 관리하고 머 그런 다음에 만족스러우면 운영서버로 옮기는데요, 다중블로그에서 여러개의 블로그를 구성하려면 반드시 초대 기능을 통해야지만 구성이 가능하더라구요. 예전에 다른 글에서도 다중블로그를 이용할 경우에는 반드시 서로 다른 이메일 주소를 사용해야만 하는 제약이 있습니다. 한사람이 여러개의 블로그를 운영한다는 가정은 안 들어있더라구요.

게다가, 로컬 개발환경에서는 거의 메일 서버를 구축해 놓지 않기 때문에 초대메일을 보낼 수가 없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어떻게 메일주소를 확보한다손 치더라도 초대메일을 보낼 수가 없기 때문에 또한 무용지물이 되는데요...

이거 수동으로라도 다중블로그 환경 세팅하는 방법은 없는건가요? ㅡㅜ 초대기능이 너무너무 거시기 해요~

메일이 안가더라도 초대한 후 아래에 보면 임시 비번이 적혀 있습니다. 그걸로 로그인해서 비번 바꾸시면 됩니다.

그리고 처음에 설계될 당시 설치가 어렵다는 분들이 많아서 하나 설치하고 여러명이 쓰자는 컨셉으로 만들어져서 위의 부분들이 고려되어 있지 않습니다. 1.1 이후에 멀티 블로그와 팀블로그가 들어갈 예정이니 기다려주세요^^

주신 댓글을 보고 다시 시도해 봤습니다만...
"실패했습니다." 라는 알럿창이 뜨는 것 이외에는 아무 변화가 없는걸요...?

아래 초대명단에는 아무도 없습니다. ㅡㅜ

오늘은 글을 많이 올리네요.

다중블로그 모드로 세팅을 하게 되면 최초사용자의 블로그로 자동으로 이동하게끔 되어 있는듯 싶습니다. 예를 들어서, 최초 개설자의 블로그 주소가 http://www.abc.com/blog1 이고, 다른 추가 사용자들의 블로그가 http://www.abc.com/blog2, http://www.abc.com/blog3... 이렇다면, 기본적으로 http://www.abc.com/ 이라고만 입력해도 저 최초 개설자의 블로그를 보여주게 되어있는듯 싶은데요.

문제는, 저는 그렇게 하고 싶지 않다는 겁니다. ㅡㅡ; 그걸 강제로 그렇게 돌리는데... index.html을 만들어 넣거나 index.php를 만들어 넣고 http://www.abc.com 만 치면 index.html 이나 index.php가 보여야 하는거라고 기대했던 저로서는 상당히 당황스럽습니다.

이거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요? ㅡㅡ? 다이렉트로 http://www.abc.com/index.html 이나 http://www.abc.com/index.php 라고 치면 상관없습니다만, 일반적으로 그렇게 하지는 않잖아요. ^^

inureyes 작성:
Justin 작성:

음... 열심히 클래식 버전에서 1.0.6.1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중입니다. 계속 클래식 버전으로 만족하려고 했으나, 스팸 코멘트와 트랙백의 압박이 결국은... ㅡㅜ

우쨌든둥, 업그레이드 하면서 블로그도 좀 나눠서 써보고 싶고... 그래서 다중 블로그 세팅을 하고 있는 중입니다만...
--

보통 저는 개발환경을 제 랩탑에 구축해 놓고, 거기서 데이터도 관리하고 머 그런 다음에 만족스러우면 운영서버로 옮기는데요, 다중블로그에서 여러개의 블로그를 구성하려면 반드시 초대 기능을 통해야지만 구성이 가능하더라구요. 예전에 다른 글에서도 다중블로그를 이용할 경우에는 반드시 서로 다른 이메일 주소를 사용해야만 하는 제약이 있습니다. 한사람이 여러개의 블로그를 운영한다는 가정은 안 들어있더라구요.

게다가, 로컬 개발환경에서는 거의 메일 서버를 구축해 놓지 않기 때문에 초대메일을 보낼 수가 없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어떻게 메일주소를 확보한다손 치더라도 초대메일을 보낼 수가 없기 때문에 또한 무용지물이 되는데요...

이거 수동으로라도 다중블로그 환경 세팅하는 방법은 없는건가요? ㅡㅜ 초대기능이 너무너무 거시기 해요~

메일이 안가더라도 초대한 후 아래에 보면 임시 비번이 적혀 있습니다. 그걸로 로그인해서 비번 바꾸시면 됩니다.

그리고 처음에 설계될 당시 설치가 어렵다는 분들이 많아서 하나 설치하고 여러명이 쓰자는 컨셉으로 만들어져서 위의 부분들이 고려되어 있지 않습니다. 1.1 이후에 멀티 블로그와 팀블로그가 들어갈 예정이니 기다려주세요^^

엇, 글쓰고 나서 열라 수정했는데, 고새 코멘트가 올라왔네용. ^^; 야튼, 다시 한번 시도해 봐야겠슴당.

예전에 다른 글(티스토리 섹션)에서도 언급했다시피 현재 태터툴스 다중블로그에 해당하는 business assumption 중 하나는 한사람이 하나의 블로그만을 운영한다는 것으로 보입니다. 다시 말해서, 한사람이 다중블로그로 구성된 여러개의 블로그를 운영할 수는 없게 되어 있습니다. 정확하게 말해서, 하나의 이메일 주소로 여러개의 블로그를 동시에 운영할 수는 없게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한사람이 여러개의 블로그를 관리하려면 반드시 단일사용자모드를 이용해야만 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현재 블로그 하나당 테이블 갯수가 30개가 넘는데, 블로그 세개를 운영한다면 테이블이 100개 가까이 된다는 말이 됩니다. 일종의 redundancy 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또 한가지 문제는, 로컬 개발환경(데스크탑 또는 랩탑)에서 테스트 모드로 구동할 때에는 역시 다중블로그 세팅을 할 수가 없습니다. 초대기능 때문인데요, 초대기능을 통하지 않고서는 절대로 다중블로그 모드로 두개 이상의 블로그를 만들 수가 없게 되어 있네요. 그런데, 이 초대기능은 상대방에게 메일을 보내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로컬 개발환경에서 메일을 보낼 수 있게 세팅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생각합니다. 메일 송수신 기능을 구상하고 있다면 모를까, 일반적인 블로그 세팅 확인을 위해서 구성한 개발환경에 메일서버 세팅까지는 거의 하지 않을까 싶은데요. 그 덕분에 현재 다중 블로그를 구성중인데, 많이 애매해 졌습니다.

다시 정리해서 제가 궁금한 것은
- 로컬 개발환경에서 다중블로그모드를 통해 추가 블로그를 개설하려면 초대하는 방법 이외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 같은 이메일 주소로 다중블로그를 운영할 수 있게는 할 수 없는가?

입니다.

암... 제가 말하고자 하려는 의도는 이게 아니었는데... ;;

위에 의견 올려주신 분들처럼, 분명히 한사람이 여러개의 티스토리를 운영하는 것에 대해 현실적으로 막을 방법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굳이 이메일계정을 여러개 사용해서 관리하게 할 필요가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요. 그냥 로그인 한번 하면 자기가 관리하는 티스토리가 주루룩 리스트로 떠서 하나하나 관리하게 하는 것이 사용자 편의성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당.

엉뚱이님께서 두개 예를 올려주셨으니까 그걸 예로 들께요. 괜찮죠? ^^

"엉뚱이"로 로그인 하면 내가 관리하는 블로그 리스트 해서
- 육아블로그
- 개인블로그

요렇게 리스트가 나타나고 각각 관리하는 화면으로 들어갈 수 있게끔... 그렇게 하는 것이 낫지 않을까용? @_@

오랜만이죠? ^^
어젯밤 꿈속에서 갑자기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만약에 blogspot이나 파란블로그처럼 한사람이 티스토리를 두개 이상 사용한다면 로그인할 때에는 각각 서로 다른 이메일 주소를 사용해야 하는 걸까?

만약 그렇다면, 티스토리용 이메일주소를 만들어 놓는 것도 일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현재로서는 "일인당 티스토리 블로그 하나" 라는 정책이잖아요. 정확하게는 "이메일 주소 하나당 티스토리 하나"겠지요.
이부분에 대해서 역시 내부적으로 논의가 있으셨을텐데요. 계속 이 정책을 유지하실 계획이신가용? ^^

자바스크립트로 validation 체크를 하고 있는데,
IE에서는 잘 먹는 것이 FF에서는 not defined 됐다고 하면서 아예 작동을 안하네용... ㅡㅡ;

<input type="text" id="text_1" name="text_1" value="111">

이거 나중에 밸류값 받아올 때
text_1.value 하면 되는거 아닌가요? ㅡㅡ?

50

(14 답글들, 티스토리(TiStory.com)에 작성)

궁금해서 그러는데요, Windows 환경에서는 지역별 세팅에 보면 타임존이 있자나요. 거기서는 그저 표준시간대를 선택하고 - 서울의 경우 GMT+9.00, 멜번의 경우 GMT+10.00 - 그 아래에 DST 적용 가능 등의 체크박스가 하나 있는데요. 그렇게 하면 머시냐 좀 더 쉽지 않겠습니까? 아닌가...? ^^;

또한가지, 타임서버가 따로 있는걸로 알고 있는데요, 그거 이용해서 그냥 적용시키면 쉽게 해결 가능하지 않을까요? 그것도 아닌가? ^^;

세상물정 모르는 소리 한다고 타박하지 마시길...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