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찾기 위한 검색 메뉴는 바로 위 메뉴의 '회원 명단' 옆에 있습니다~
TNF는 회사가 아니라 오픈소스 커뮤니티입니다. textcube.org 는 회사에서 운영하는 서비스가 아니라, 커뮤니티에서 개발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2007.1.10) TNF는 해당 포럼 및 위키, trac 저장소상에서 이메일 수집을 금지합니다. 해당 공지 를 포럼 하단에 명기하였습니다.
(2007.2.9) TNF와 태터툴즈/텍스트큐브 코드 수정에 관한 workflow를 정리하였습니다. 안내
(2007.4.5) 공식 소스 버그 리포터 그룹의 일원이 되어주실 분들을 찾습니다. :) 관련 공지
최근소식
(2016.1.18) 텍스트큐브 1.10.9 의 첫 베타 버전을 배포합니다. 내려받기
(2015.11.19) 텍스트큐브 1.10.8 : Tempo primo를 배포합니다. 내려받기
(2015.7.9) 텍스트큐브 1.10.8의 첫번째 발표 후보를 배포합니다. 내려받기
(2015.6.4) 텍스트큐브 1.10.7 : Tempo primo를 배포합니다. 내려받기
태터 플러그인자료실에 올라와있는 부정방지 플러그인은 구버전의 adlogger에서만 동작을 하더군요.. adlogger 1.4 이후 버전을 쓰신다면, 플러그인의 index.php 파일을 다음처럼 수정하시면 됩니다. 추가를 하시려면, 같은 형식으로 하나씩 추가하시면 되구요. index.xml 에서 바인딩할 치환함수 이름을 AdSense1 .... 등으로 써주시면 됩니다.
이거 지원 하지 않는게 아니라 차단하고 있는거 아닙니까? 그냥 skin.html만 태터폴더 밖으로 꺼내서 부르면 php 코드 제대로 해석하는데...
'차단'하는게 아니라 태터툴즈에서 skin.html 을 php 파일로서 취급하고 있지 않을 뿐입니다. php 를 다루실 줄 아는 분이신 것 같은데, include 로 불러오는 것과 fopen 으로 불러오는 것의 차이는 충분히 알고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html 이라는 확장자를 서버에서 php 파일로 취급하도록 설정된 환경이라서 php 코드가 해석이 되는 것일뿐이지, 전혀 관계없습니다.
스킨을 php 시스템으로 변경하면, 이로부터 얻는 장점도 분명 있겠죠. 하지만 그로 인해 잃게 될 것도 생각을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태터툴즈싀 스킨 구조가 초기에 비해 많이 복잡해진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php 를 전혀 모르는 사람에게는 템플릿 구조가 훨씬 낫습니다. 그렇다고 템플릿 스킨 → php스킨 변환기를 만들면 해결될 문제일까요? 그건 썩 옳은 접근 방법은 아닌 것 같습니다.
php 를 다룰 줄 안다면 플러그인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으로도 충분히 강력한 자유도를 누릴수 있습니다. 문제 제기를 한다면 스킨 시스템을 php 로 바꾸자가 아니라, 플러그인을 쉽게 제작해서 붙일 수 있는 간편한 매뉴얼의 부재를 문제삼아야겠지요 (답이 안나오는 이유는, 질문이 잘못되었기 때문). 이번에 플러그인 하나 정말 간단한거 하나 만들어보는데도 대체 어디에 무슨 정보가 있는지 찾을수가 없어서 상당히 헤맸습니다. ㅡ 다행히도, 태터툴즈 온라인 레퍼런스의 제작이 진행중(?예정?)인 것으로 알고 있으니 머지 않아 해결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이 외에도 플러그인을 활용해서 쉽게 자기만의 php 커스텀을 위한 예제 플러그인을 제시하고, 스킨제작 매뉴얼처럼 잘 짜여진 강좌 같은 것만 준비해줘도 충분하리라 생각합니다.
[덧] htna 님은 누차 지적을 해드려도 그놈의 '테더' 호칭은 바꾸실 생각이 전혀 없어보이시네요. 남의 이름을 막부르면서 습관이 되어서요, 라는 말은 전혀 대답이 되지 않는거 아시죠? 잘못된거 아시면 고쳐주세요.
원론적인 답변 같습니다만, 스킨상에서 php 구문들이 그냥 동작하게 놔뒀다가는 각종 웹해킹이 가능해집니다. ;;;
취지는 이해합니다만 플러그인으로 좀더 간단한 방법이 있었으면 좋았을텐데요.
플러그인 ...초심자인 저에게는 어렵습니다..
(플러그인만 켜면 블로그가 로드가 안되요...)
인게이지 님과 같은 의견을 가집니다.
물론 스킨에서 php를 허용하는 것이, 해킹의 위험성이 있는것이 사실입니다만, 이경우 악의적으로 만들어진 스킨을 멋모르고 가져다 쓸 경우에, 혹은 악의적으로 스킨을 만들경우에 "만" 해당하기에, 조심히 가져다 사용하면 문제없을 것이다 보고 있습니다.
특히 대부분의 유저들이 테더홈페이지에 올라오는 스킨을 수정없이 사용하거나, 그 스킨을 수정해서, 혹은 직접 만들어서 사용하리라 봅니다. 문제의 소지가 있는 전자의 경우에, 악의적인 스킨을 공개사이트에 올려놓을 경우도 적을 것이고, 설사 악의적인 스킨이 올라온다 하더라도, 사용자와 개발자들 간의 피드백이 충분히 빠르기에, 이러한 문제에 대한 대응이 충분히 빠를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보다는, 스킨에서의 php 기능을 허용할 경우 가질 수 있는 자유도의 장점이 더 크다고 생각합니다.